"대조선국 성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대조선국 국왕}}
 
{{분류:대조선국 국왕}}
 +
{{분류:대조선국 왕세자와 왕세손}}
 
||<width=100><#972000><-999> {{{+2 {{{#ffffff '''조선 제3대 국왕''' }}}}}} ||
 
||<width=100><#972000><-999> {{{+2 {{{#ffffff '''조선 제3대 국왕''' }}}}}} ||
 
||<width=100><#972000><-999> {{{+1 {{{#ffffff '''성종 | 成宗''' }}}}}} ||
 
||<width=100><#972000><-999> {{{+1 {{{#ffffff '''성종 | 成宗''' }}}}}} ||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999> [[파일:성종어진]] ||
+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999> [[파일:성종어진.png]] ||
 
||<-3><#972000> {{{#ffffff 출생}}} || 2022년 12월 27일 [br] {{{-1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자선당}}} ||
 
||<-3><#972000> {{{#ffffff 출생}}} || 2022년 12월 27일 [br] {{{-1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자선당}}} ||
 
||<-3><#972000> {{{#ffffff 즉위}}} || 2023년 3월 10일 [br] {{{-1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근정전 }}} ||
 
||<-3><#972000> {{{#ffffff 즉위}}} || 2023년 3월 10일 [br] {{{-1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근정전 }}} ||
9번째 줄: 10번째 줄:
 
||<-3><#972000> {{{#ffffff 재위기간}}} || 2023년 3월 10일 ~ 2023년 7월 1일 (114일) ||
 
||<-3><#972000> {{{#ffffff 재위기간}}} || 2023년 3월 10일 ~ 2023년 7월 1일 (114일) ||
 
||<-3><#972000> {{{#ffffff 본관}}} || 전주 이씨 ||
 
||<-3><#972000> {{{#ffffff 본관}}} || 전주 이씨 ||
||<-3><#972000> {{{#ffffff 휘}}} || 제() ||
+
||<-3><#972000> {{{#ffffff 휘}}} || 제() ||
 
||<-3><#972000> {{{#ffffff 부모}}} || 부왕 [[대조선국 인종|인종]], 모후 [[휘빈이씨]] ||
 
||<-3><#972000> {{{#ffffff 부모}}} || 부왕 [[대조선국 인종|인종]], 모후 [[휘빈이씨]] ||
 
||<-3><#972000> {{{#ffffff 형제자매}}} || 없음 ||
 
||<-3><#972000> {{{#ffffff 형제자매}}} || 없음 ||
 
||<-3><#972000> {{{#ffffff 배우자}}} || [[원경왕후]] ||
 
||<-3><#972000> {{{#ffffff 배우자}}} || [[원경왕후]] ||
||<-3><#972000> {{{#ffffff 자녀}}} || 장남 이호 ||
+
||<-3><#972000> {{{#ffffff 자녀}}} || [[대조선국 명종|명종]] ||
 
||<-3><#972000> {{{#ffffff 종교}}} || 유교 ||
 
||<-3><#972000> {{{#ffffff 종교}}} || 유교 ||
 
||<-3><#972000> {{{#ffffff 신장}}} || 183cm ||
 
||<-3><#972000> {{{#ffffff 신장}}} || 183cm ||
 
||<-3><#972000> {{{#ffffff 묘호}}} || '''성종(成宗)''' ||
 
||<-3><#972000> {{{#ffffff 묘호}}} || '''성종(成宗)''' ||
||<-3><#972000> {{{#ffffff }}} || '''인문헌무흠성공효대왕(仁文憲武欽聖恭孝大王)''' ||
+
||<-3><#972000> {{{#ffffff 시호}}} || '''인문헌무흠성공효대왕(仁文憲武欽聖恭孝大王)''' ||
 +
||<-3><#972000> {{{#ffffff 연호}}} || '''광덕(光德)''' ||
  
{{인용문| '''시대는 안 좋았지만 국가의 모든 부분을 성장시킬려고 적극적으로 노력하셨으며 성과 또한 많았다. 그래서 그 공로를 보아 묘호는 성종이 가장 좋다.''' | '''2023년 7월 2일, 성종의 묘호가 확정될 때''' }}
+
'''조선의 제3대 국왕.''' 묘호는 성종(成宗), 시호는 인문헌무흠성공효대왕(仁文憲武欽聖恭孝大王), 휘는 제(䄢), 연호는 광덕(光德).
  
'''조선의 제3대 국왕.''' 묘호는 '''성종(成宗)''', 시호는 '''인문헌무흠성공효대왕(仁文憲武欽聖恭孝大王)'''이고 휘는 '''제()'''이다.  
+
[[대조선국 인종|인종]]과 [[휘빈이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할아버지 [[대조선국 태조|태조]]와 어머니 [[휘빈이씨]]의 갈등을 원손 시절 겪었고, 결국 어머니가 폐서인 되고 사망한 뒤, 할아버지 [[대조선국 태조|태조]]의 엄격한 견제를 거쳐 겨우 왕세손(王世孫)으로 책봉되었다. 아버지 [[대조선국 인종|인종]]이 즉위한 이후엔 왕세자(王世子)에 책봉되었으며 비교적 조용한 삶을 살았다.
  
[[대조선국 인종|인종]][[휘빈이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45세의 나이로 즉위하였으며 부왕처럼 백성의 총애와 사랑을 받았으며 부왕과 성격이 매우 닮았으며 공로도 커 백성들이 역사상 가장 휼륭한 성군이라 칭하였다. 역사상 가장 오래 재위하고 장수한 끝에 향년 109세로 훙서하였다.
+
아버지 [[대조선국 인종|인종]]때부터 조선의 문화 컨텐츠가 대부분 붕괴되고 있었는데, 그러던 중 2023년 3월 10일, 아버지 [[대조선국 인종|인종]]의 승하로 45세의 나이로 보위에 올라 흔들리던 조선을 겨우 유지시켰다. 실질적으로 세운 큰 업적은 없으나, '''조선의 존립'''을 위해 쉬지 않고 일한 '''버팀목이 되었던 국왕'''이다. 성종은 무려 '''114일'''간 재위하였으며, 이는 '''조선 역사상 가장 오래 재위한 국왕'''이다.
  
==[[파일:현재2.png|width=30]] '''즉위전 생애'''==
+
==[[파일:조선왕조.png|width=30]] '''업적'''==
  
2022년 11월 8일, [[대조선국 태조|태조]]와 [[현빈심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27일간 왕세손으로 있다가 증조부 [[환종]]이 왕위에서 내려오며 아버지 [[대조선국 태조|태조]]가 왕위에 올랐다. 이후 12월 11일 조선의 왕세자로 공식 책봉되었다. 이후 12월 17일에 광주 이씨의 [[휘빈이씨]]를 세자빈으로 맞이한다.
+
'''〈 문화 〉'''
 
+
・ 국왕컵 개최
{{인용문| '''세자 저하께서 몸이 편찮아지셨으며 고열(高燒)이 나셨다. 세자 저하께선 동궁전 자선당 침전에 저녁부터 누우셨으며 병상이 악화(惡化)되고 있었다.''' |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1권''' }}
+
・ EPL 개최
{{인용문| '''세자 저하께서 오후 4시 40분 진찰을 하였는데 고열(高燒)이 지속되고 정신이 혼미하시고 기침은 날이 갈수록 커졌고 이목구비에 출혈이 반복되어 주상전하께서 내의원(內醫院)을 만드셨으며 혜민원 어의가 겸직하게 하셨다. 초대 어의인 정어의가 밤에 급히 도착하여 세자저하에 몸을 진찰(診察)하고 탕약(湯藥)을 올렸다.''' |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1권''' }}
+
・ 야구리그 개최
{{인용문| '''세자저하께서 병상이 회복(回復)되고 있으나 아직 완전히 회복(回復)되진 않았다. ''' |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1권''' }}
 
 
 
인종은 '''왕세자일 때부터 많은 병'''을 겪고 있었으며 아픈일이 많아 세자시강원을 빼먹는 일도 많았다. 세자빈이던 [[현빈심씨]]가 세자를 잘 간호하였다고 전해져내려온다. 내의원이 동궁전에 설치된 만큼 어의가 세자의 거처인 자선당으로 가는일이 날이 갈수록 많아졌다고 한다. 그러다 12월 27일, 아들 [[대조선국 성종|성종]]을 얻게된다. 아들을 얻은 세자는 빠르게 회복되어갔다. 하지만 세자빈 [[휘빈이씨]]가 당시 주상이던 아버지 [[대조선국 태조|태조]]와 왕후 [[신덕왕후]]와 사이가 멀어지고 있었으며, [[신덕왕후]]가 화난 채로 자선당에 찾아와 [[휘빈이씨]]의 종아리를 칠려하자 [[대조선국 인종|인종]]과 [[대조선국 성종|성종]]이 말렸다고 한다.
 
 
 
결국 부인 [[휘빈이씨]]가 1월 5일 세자빈 지위에서 폐위되고 병이 걸려 사망한다. 1월 7일 문경 서씨의 [[정안왕후]]를 새 세자빈으로 맞이하였다. 하지만 [[정안왕후]]는 왕실 적응이 어려워 '''각종 정신 질환'''을 겪었기 때문에 인종은 탐탁치 않아하였다. 이후 2월 1일부터 2월 5일까지 대리청정을 하며 '''텍사스 전쟁을 승전'''으로 이끌었다.
 
 
 
2월 10일에는 지밀상궁 백씨가 인종의 승은을 입어 세자후궁이 되었으며 그녀는 훗날 [[현덕왕후]]가 된다.
 
 
 
==[[파일:현재2.png|width=30]] '''조선 국왕 즉위'''==
 
 
 
2월 10일, 아버지 [[대조선국 태조|태조]]가 훙서하며 '''조선 제2대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즉위한 인종은 부친의 상을 치루고 국정을 돌보기 시작했다. 이때 운영부의 실수로 마인크래프트 서버가 날라가며 '''컨텐츠 기반이 붕괴되는 참사'''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2월 23일에 부인 [[정안왕후]]의 정신질환이 심해질대로 심해지며 [[정안왕후]]가 '''궁인들을 폭행하고 환각'''을 보는 일 까지 발생하였다. 이에 왕대비던 [[신덕왕후]]의 조언으로 인종은 [[정안왕후]]를 교태전에 유폐시켰다. 결국 [[정안왕후]]는 유폐된 교태전에서 극심한 스트레스로 훙서하였다. 기록에 따르면 인종은 [[정안왕후]]의 훙서를 기뻐한 듯하다. 왕후로써 본분을 다하지 못하여 '''왕실에 있어서 걸림돌'''이기 때문이다.
 
 
 
상이 다 치루어지지도 않은 바로 다음날인 24일, 숙원 품계를 달고 있던 승은후궁 [[현덕왕후]]가 계비로 책봉되었다. 얼마안가 3월 10일, 오후 10시에 강녕전에서 향년 72세로 훙서하였다. 이틀간 국상이 진행되었으며 묘호는 자비와 너그러움을 베푼 군주라는 의미로 '''인종(仁宗)'''으로 정해졌다.
 
 
 
==[[파일:현재2.png|width=30]] '''가족 관계'''==
 
----
 
||<tablebordercolor=#972000; width=600px; table align=center><#972000><:> {{{#ffffff '''자녀'''}}} ||<#972000><:> {{{#ffffff '''이름'''}}} ||<#972000><:> {{{#ffffff '''출생'''}}} ||<#972000><:> {{{#ffffff '''배우자/자녀'''}}} ||
 
||<#E6FFFF> 1남 ||<#E6FFFF> [[대조선국 성종|성종]] ||<#E6FFFF> 2022년 12월 27일 ||<#E6FFFF> [[원경왕후]] <br> 주상 이호 ||
 
 
 
==[[파일:현재2.png|width=30]] '''평가'''==
 
 
 
・학구열 : 공부나 학업에는 관심이 아주 적었다고 하였으나, '''천문학과 우주사는 아주 총명'''하였다고 한다. 세자던 시절 경복궁 후원에 천문학과 관련된 여러 기계를 설치하고 직접 관측하기도 하였으며 밤을 새서 별의 이동 모습을 지켜봤다고 한다.
 
 
 
・성품 : 감정적일때도 있고 이성적일때도 있으며, 늘 백성들의 수준에 맞출려고 노력하였고 그 결과 많은 백성의 지지를 얻었다. 재위한지 얼마 되지 않은 채 인종이 훙서하자 많은 백성이 슬퍼하였다.
 
 
 
・치적 : 재위기간이 짧아 사실상 없다.
 
 
 
・외모 : 피부색이 매우 밝았다고 하며 눈 또한 크고 이뻐 당시 시대에서 미남에 속하였다.
 
 
 
・가정사 : 세명의 부인중 첫째 부인인 [[휘빈이씨]]는 폐위당하고, 둘째 부인인 [[정안왕후]]는 정신병으로 사망했으며, 셋째 부인인 [[현덕왕후]]와는 말 한번 거의 안 섞어본 사이였다고 한다. 한마디로 아내복이 없다.
 

2023년 12월 5일 (화) 01:32 기준 최신판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국왕
[ 펼치기 · 접기 ]
초대
태조
제2대
인종
제3대
성종
제4대
명종
제5대
문종
제6대
영조
제7대
헌종
제8대
시호 미정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왕세자
[ 펼치기 · 접기 ]
태조 대
이경
인종 대
이제
성종 대
이연
명종 대
이행
문종 대
이역
영조 대
이산
헌종 대
이향
이향 대
이율
조선 제3대 국왕
성종 | 成宗
성종어진.png
출생2022년 12월 27일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자선당
즉위2023년 3월 10일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근정전
사망2023년 7월 1일 (향년 109세)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강녕전
헌릉(獻陵)
재위기간2023년 3월 10일 ~ 2023년 7월 1일 (114일)
본관전주 이씨
제(䄢)
부모부왕 인종, 모후 휘빈이씨
형제자매없음
배우자원경왕후
자녀명종
종교유교
신장183cm
묘호성종(成宗)
시호인문헌무흠성공효대왕(仁文憲武欽聖恭孝大王)
연호광덕(光德)

조선의 제3대 국왕. 묘호는 성종(成宗), 시호는 인문헌무흠성공효대왕(仁文憲武欽聖恭孝大王), 휘는 제(䄢), 연호는 광덕(光德).

인종휘빈이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할아버지 태조와 어머니 휘빈이씨의 갈등을 원손 시절 겪었고, 결국 어머니가 폐서인 되고 사망한 뒤, 할아버지 태조의 엄격한 견제를 거쳐 겨우 왕세손(王世孫)으로 책봉되었다. 아버지 인종이 즉위한 이후엔 왕세자(王世子)에 책봉되었으며 비교적 조용한 삶을 살았다.

아버지 인종때부터 조선의 문화 컨텐츠가 대부분 붕괴되고 있었는데, 그러던 중 2023년 3월 10일, 아버지 인종의 승하로 45세의 나이로 보위에 올라 흔들리던 조선을 겨우 유지시켰다. 실질적으로 세운 큰 업적은 없으나, 조선의 존립을 위해 쉬지 않고 일한 버팀목이 되었던 국왕이다. 성종은 무려 114일간 재위하였으며, 이는 조선 역사상 가장 오래 재위한 국왕이다.

조선왕조.png 업적

〈 문화 〉
・ 국왕컵 개최
・ EPL 개최
・ 야구리그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