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로아스터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73번째 줄: 73번째 줄:
 
조로아스터교의 몰락은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했던 사산 왕조의 멸망과 궤를 같이 한다. [[아나톨리아]]와 유럽 지방을 지켜낸 [[동로마 제국]]과 달리 이란은 모든 영토가 궁극적으로 [[이슬람]] 세력에 정복당했고, 사산 왕조의 국가종교였던 조로아스터교의 입지는 크게 약화되었다.
 
조로아스터교의 몰락은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했던 사산 왕조의 멸망과 궤를 같이 한다. [[아나톨리아]]와 유럽 지방을 지켜낸 [[동로마 제국]]과 달리 이란은 모든 영토가 궁극적으로 [[이슬람]] 세력에 정복당했고, 사산 왕조의 국가종교였던 조로아스터교의 입지는 크게 약화되었다.
  
 +
===이슬람 시대===
 +
조로아스터교와 이슬람 사이의 악연은 예언자 [[무함마드]] 때부터 시작되었다. [[니샤푸르]]에서 의학을 배워와서 [[메카]]에 병원을 차린 안 나디르 빈 알 하리스(An Nadhir Ibn Al Harith)는 무함마드가 이슬람을 포교할 때 잠자코 듣고 있다가, 무함마드의 설교가 끝나면 그 자리에 있던 아랍인 청중들에게 카야니아 왕조[* 페르시아 신화에 나오는 전설상의 왕조] 연대기에 나오는 에스판디야르 왕이나 로스탐 신화를 들려준 후
 
----
 
----
 
[[분류:조로아스터교]]
 
[[분류:조로아스터교]]

2023년 12월 9일 (토) 18:54 판

조로아스터교 拜火敎
مزدیسناㅣ Zoroastrianism
100%
계통 인도-이란 계통의 종교
└ 이란 계통의 종교
유형 일신론
유일신교
창시 창시자 자라투스트라(조로아스터)
창시 시기 기원전 1800년경 ~ 기원전 640년경
페르시아
규모 약 12만 명[1]

개요

3049-1.webp
페르세폴리스 유적의 파라바하르 부조

조로아스터교(Zoroastrianism), 마즈다교(Mazdaism) 또는 배화교(拜火敎)는 페르시아 지역에서 발원한 이란 계통의 종교로, 자라투스트라의 가르침을 따르며 인류 역사상 최고(最古)[2]일신교로 꼽힌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로 보면 선한 신과 악한 신을 두고 이원적으로 세상을 보는 단일신교에 해당한다. 조로아스터교는 창조신 아후라 마즈다를 중심으로 선과 악의 질서 및 세계를 구분하는 것이 특징이다.

'배화교'라는 명칭은 중국에서 묘사한 이들의 모습이 주로 을 숭상한다 하여 붙은 이름인데, 실제로는 조로아스터교도가 하루에 5번 진행되는 의식을 신성히 여기기 때문에 의식에 쓰이는 성화를 보존하려고 한 것이지, 토속 신앙에서처럼 불을 숭배하는 종교는 아니었다. 오늘날의 이란이슬람 국가이지만, 이란 국민들에게는 전통적인 페르시아를 상징하던 유서 깊은 종교로 여겨지고 있다. 다만 현재는 이슬람 근본주의에 묻히게 되어 조로아스터교를 죄악으로 여기게 되었다. 오히려 본고장인 이란보다 저 멀리 유럽에서 더 인기가 많을 정도.[3]

경전은 아베스타이다.

신화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png 자세한 내용은 이란 신화 문서에서 참고하십시오

역사

중동의 박트리아 지방에서 자라투스트라(Zaraϑuštra, 조로아스터)가 세운 종교라고 알려져 있다. '조로아스터교'라는 이름은 창시자인 자라투스트라에게서 유래한다. 본래 이름은 아베스타어로 '자라수슈트라(𐬰𐬀𐬭𐬀𐬚𐬎𐬱𐬙𐬭𐬀Zaraϑuštra)'인데, 이게 그리스에서 전사라는 뜻의 '조로아스트레스(Ζωροάστρης, Zōroastrēs)'가 되었고, 그것이 라틴어를 거쳐 영어로 '조로아스터(Zoroaster)'가 되었다. 창시 시기와 자라투스트라의 생존 연대에 대해서는 기원전 2,000년에서 기원전 550년경 등으로 의견이 다양하다.[4]

고로 조로아스터교의 역사적 기원에 대한 연구는 창시자로 알려진 자라투스트라의 생년에 집중될 수밖에 없는데, 문제는 자라투스트라에 대한 고고학적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19세기 말까지는 소위 '전통적인 연대'라고 하는 기원전 6세기의 주장이 지배적이었으나 19세기 말 이후부터 바르톨로메아(Bartholomea)와 크리스텐센(Christensen)과 같은 학자들이 '전통적인 연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이들은 자라투스트라의 글로 알려진 가타스의 고대 아베스타 언어와[5] 리그베다의 언어인 산스크리트어의 유사성에 주목하고 언어학적 분석을 통해 가타스와[6] 리그베다의 언어가 비슷한 시기의 언어라고 주장했다.[7] 즉 조로아스터교의 경전 중 가장 오래된 언어로 쓰여진 가타스부분은 인도 브라만교리그베다[8]보다 기원이 오래되었다는 주장이다.[9]

다만 이런 언어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한 주장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아베스탄어에 대한 자료가 조로아스터교 자료 외에는 현존하지 않는다
아베스탄 문자 자체가 4세기 사산제국 당시 구전으로만 전해지던 조로아스터 경전과 노래를 기록하기 위해 만들어진 문자다. 아베스탄 언어는 그 이전에도 사용되어 온 것으로 추정되지만, 조로아스터교 자료 외에는 이에 대해 현존하는 증거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살아남은 아베스탄 문자 기록 중 가장 오래된 것은 1288년경 자료이다. # 물론 이 부분은 이 주장의 타당성 문제라기 보다는 고고학적 연구의 한계에 해당하는 문제라고 봐야 한다.

2. 구 아베스탄어의 기원 시점을 확실하게 입증할 증거가 없다
1번 문제와 함께 이 주장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남아있는 구 아베스탄어(Old Avestan) 자료는 위에서 언급한 가타스 뿐인 데다가, 이 언어가 구 아베스탄어이고 신 아베스탄어(Young Avestan)와 구분되는 이전 언어라는 근거는 Vedic 산스크리트어와의 발음적 유사성 뿐이다.[10]

하지만 기원전 7세기 설을 주장하는 학자가 없는 건 아님에도 불구하고, 조로아스터의 활동시기에 대한 현재 학계의 주류 의견은 기원전 제2천년기 말에서 제1천년기 초 사이이다.[11]

기원전 5세기에는 이미 그리스 지방에까지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창시와 전파

창시자 자라투스트라(조로아스터)의 생몰연도는 확실치 않으나, 기원전 2000년에서 600년으로 다양하다. 이란 동부 지역에서 활동했다고 하며, 박트리아 출신이라고도 한다. 조로아스터교는 동부 이란을 중심으로 여러 이란계 종족들에게 전파되기 시작하고, 조로아스터교를 추종하는 메디아아케메네스 왕조가 서아시아의 패권을 쥐면서 급성장했다. 하지만 아케메네스 왕조는 안정적 통치를 위해 토착종교와 관습을 용인하는 태도를 견지했고, 조로아스터교는 이란계 종족들의 범위 이상으로 전파되지 못했다. 일부 소수민족들은 출세를 위해 자발적으로 조로아스터교로 개종하는 경우도 있긴 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으로 아케메네스 왕조가 패망하자 조로아스터교 역시 국교의 지위를 잃고 약화되었다. 이후 헬레니즘 시대와 파르티아의 지배를 거치면서 아나히타미트라 등 하위신격들을 숭배하는 변종 분파들이 널리 퍼졌다. 특히 미트라 숭배는 헬레니즘 세계를 거쳐 이후 로마 제국까지 전파되기도 했다.

사산 왕조 시대

이 추세가 반전된 것이 사산 왕조의 등장이다. 사산 왕조는 그 이전 400년 동안 이란을 지배한 파르티아인들의 유목민적 전통과 느슨한 봉건제도, 타 종교나 문화(특히 헬레니즘)에 대한 호의적 태도 등을 비난하면서 강력한 중앙집권 국가 건설을 주창했으며, 이 과정에서 조로아스터교를 국가권력 강화와 사회 통합의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사산 왕조 초기 조로아스터교는 정통 교리와 경전을 확립하는 작업, 국가권력과 연계된 관료적 성직기구의 정비 작업 등을 진행하며 다시 한번 국교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이때 파르티아 동부에서 번영했던 불교는 조로아스터교의 대대적인 탄압을 받으며 중동에서 몰락했다.[12] 이후 제국의 정통 교리에 반하는 마니교,[13] 마즈다크교 등이 등장하여 세력을 늘리거나 고위 성직자들을 견제하려는 황제들의 지원을 받기도 했지만, 결국 조로아스터교의 이단으로 몰려 탄압당했다.

사산 왕조 시대 조로아스터교는 사산 제국 영내에서 국교로서 확고히 자리매김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조로아스터교 교리가 폐쇄적으로 배타적으로 변하면서 사산 제국 영토 바깥에서는 힘을 쓰지 못하게 되었다. 사산 왕조가 파르티아를 무너트리는 시점에 등장한, 기독교와 유대교, 조로아스터교와 불교, 자이나교를 혼합한 마니교가 기존 조로아스터교 대신에 중앙아시아 각지에서 번성하게 되었다.

조로아스터교의 몰락은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했던 사산 왕조의 멸망과 궤를 같이 한다. 아나톨리아와 유럽 지방을 지켜낸 동로마 제국과 달리 이란은 모든 영토가 궁극적으로 이슬람 세력에 정복당했고, 사산 왕조의 국가종교였던 조로아스터교의 입지는 크게 약화되었다.

이슬람 시대

조로아스터교와 이슬람 사이의 악연은 예언자 무함마드 때부터 시작되었다. 니샤푸르에서 의학을 배워와서 메카에 병원을 차린 안 나디르 빈 알 하리스(An Nadhir Ibn Al Harith)는 무함마드가 이슬람을 포교할 때 잠자코 듣고 있다가, 무함마드의 설교가 끝나면 그 자리에 있던 아랍인 청중들에게 카야니아 왕조[14] 연대기에 나오는 에스판디야르 왕이나 로스탐 신화를 들려준 후


  1. 신자의 대부분은 인도·이란 지역에 거주 중이다. 다만 이란의 경우 이슬람 근본주의로 인해 신자 수가 적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2. 가장 오래된 유일신 신앙은 이집트의 아케나톤 파라오의 종교개혁이 꼽히지만, 아케나톤 사후 지속되지 못했기 때문에 제대로 체계를 갖춘 종교라고 보기는 힘들다. 또한, 바빌론 유수 이전의 유대교는 일신교라 보지 않는다. 당시 유대인들의 인식은 "유대인들은 야훼만을 섬겨야 한다"였지 "다른 민족의 신들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아니었다.
  3. 서양은 현대에 들어 오리엔탈 판타지 바람이 불며 동양 철학, 동양 종교 붐이 주기적으로 돌고 있다. 히틀러가 인도 사상에 심취했다는 말도 있듯 이런 현상은 그리 최근만의 일도 아니다. 아무래도 구시대적 기독교적 가치나 물질적인 가치관에서 벗어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꽤 된다는 모양. 오컬트적 요소에 대한 관심도 있다. 이건 불교도교 등도 같은 현상을 겪고 있다. 정작 본토에선 힌두교, 이슬람교, 공산주의 등에 밀려 사장되었으나 서양에선 뜨고 있는 아이러니.
  4. 고고학적 한계도 있지만 원래 존재하던 이란계 민족의 토속 신앙에 기반해서 성립된 종교라 기존의 토속 신앙과 신화의 많은 부분을 이어받았기 때문에 어느 시기부터 유일신 종교로 변화했는지 알기 어렵다. 창시자에 대한 명확한 기록의 부재와 더불어 조로아스터교의 정확한 성립시기를 구분하기 어려운 이유.
  5. 아베스탄어는 고대와 신대 아베스탄어로 나뉘는데, 고대 아베스탄어는 베다 경전이 쓰여진 산스크리트어와 동일한 어족인 동시에 같은 시대에 자매어로써 존재하였다.
  6. 조로아스터교 경전 중 하나인 가타스는 전통적으로 자라투스트라가 직접 작곡한 17곡의 찬송가로 알려져 있다.
  7. 신양섭. (2009). 페르시아 문화의 동진과 조로아스터교. 한국중동학회논총, 30(1), p44.
  8. 기원전 1500-1000년 사이에 쓰여진 가장 오래된 브라만교 베다경전
  9. 신규섭. (2018). 전이과정에서 본 고대 문학의 원형 연구. 세계문학비교연구, 62, p178-179.
  10. 애초에 Vedic 산스크리트어 자체도 기원 시점이 불분명하다. 언어학적 추론으로 기원전 1,500년 이전이라고 추정할 뿐이다. #
  11. Bruce Lincoln. Death, War, and Sacrifice, 1991, pg 150
  12. 혜초왕오천축국전 같은 사료를 보면 페르시아 일대에도 불교 사찰이 있으나 몇 안 되는 사찰들마저 승려 한두 명이 초라하게 지낸다는 서술이 나온다.
  13. 탄압 받고 몰락한 페르시아의 불교 세력을 흡수했다.
  14. 페르시아 신화에 나오는 전설상의 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