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

지구 아이콘(흰색).svg 세계의 언어
[ 펼치기ㆍ접기 ]
▪ 관련 문서: 언어외국어 · 언어 관련 정보
간다어갈리시아어게일어 · 과라니어광동어 · 고아 콘칸어구자라트어그리스어 · 그린란드어
남부 소토어냔자어노르웨이어 · 네덜란드어네팔어
다리어도그리어독일어돌간어 · 덴마크어디베히어
라파누이어 · 라다크어 · 러시아어 · 라오어라트비아어라틴어 · 루샤이어룩셈부르크어르완다어루마니아어 · 리투아니아어링갈라어루툴어
몰타어 · 몽골어 · 마인어 · 마니푸리어마케도니아어 · 마푸체어 · 마라티어마오리어마이틸리어만주어맨어말라가시어말라얄람어말레이어몽어미얀마어마리어모르드비어
바스크어 · 벵골어 · 베트남어 · 벨라루스어 · 불가리아어밤바라어보스니아어북부 소토어바시키르어부랴트어
사모아어산스크리트어세르보크로아트어 · 스웨덴어 · 스와힐리어 · 스페인어 · 스코트어 · 슬로바키아어 · 슬로베니아어 · 소닝케어 · 소말리어서부 프리지아어세부아노어세르비아어소라니 쿠르드어쇼나어순디어싱할라어
영어 · 이누이트어 · 이디시어 · 일본어 · 아파르어 · 아랍어 · 아람어 · 암하라어 · 아이슬란드어 · 아일랜드어 · 에스토니아어 · 우르두어 · 우크라이나어 · 웨일스어 · 알바니아어 · 아디게어 · 아이누어 · 이탈리아어 · 오어 · 요루바어 · 이보어아삼어아이마라어아이티어아제르바이잔어아칸어아르메니아어아프리칸스어에스페란토어에웨어오로모어오리아어우즈베크어위구르어이그보어이로코어인도네시아어 · 알류트어 · 압하스어오세트어야쿠트어인구시어아굴어
중국어 · 저지 독일어 · 조지아어 · 자바어줄루어
체코어총가어추바시어차후르어
카자흐어 · 카탈루냐어 · 콥트어 · 콘월어 · 코만치어칸나다어케추아어카렐어코르시카어코사어쿠르드어크로아티아어크메르어키르기스어크리오칼미크어코미어카바르디어카라차이-발카르어카라칼파크어
타밀어타지크어타타르어티베트어 · 튀르키예어 · 통가어 · 태국어텔루구어투르크멘어투바어티그리냐어타타르어
파슈토어폴란드어 · 핀란드어 · 프랑스어 · 포르투갈어 · 펀자브어 · 페르시아어 · 페로어 · 풀라어 · 프리지아어필리핀어
한국어 · 헝가리어 · 힌디어 · 히브리어 · 하우사어하와이어호즈푸리어
기타 관련 문서 통역 · 번역 · 사전
Lingua Latina
라틴어
주요사용국바티칸 바티칸 시국에서도 그나마 종교적, 법적 용도로만 쓸 뿐(이를테면 교황청의 중요한 공문서를 발표할 때 라틴어본이 정본으로 작성된다), 일상적인 공용어로는 이탈리아어가 쓰인다. 라틴어를 일상적인 용도로 쓰는 나라는 없다.
원어민불명 종교 및 학술 언어로는 명맥을 잇고 있다. 원어민의 정의에 따르면 라틴어 원어민으로 분류되려면 아기가 태어나서 처음 습득한 언어가 라틴어여야 한다. 세계에서 그나마 제일 활발하게 라틴어가 쓰이는 지역이 바티칸 시국인데 여기서마저 업무적인 용도 빼고는 이탈리아어 등이 통용되고 그나마도 라틴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대부분 결혼하지 않는 가톨릭 성직자수도자들이기 때문에 그런 환경에서 아기가 자라나서 라틴어를 모국어로 가지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에스페란토의 경우 부모가 각각 다른 국적으로 에스페란토 화자라서 에스페란토를 가정 내 일상어로 쓰는 환경에서 자란 모어 화자가 약 3000명 정도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라틴어도 비슷한 상황이라면 모어 화자가 있을 수는 있다.
어족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
라틴팔리스크어군
로망스어군
라틴어
문자로마자
언어 코드
ISO-639LA
주요 사용 지역
유럽(바티칸), 그외 일상생활에선 쓰진 않지만 학술 언어로써 전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

개요

라틴어(Latin語)는 이탈리아어파의 언어 중 하나이다. 본래 라티움 지역(현대의 라치오)에서 쓰이던 언어로, 로마 공화국이 팽창함에 따라 이탈리아 반도의 주류 언어가 되었으며 나아가 로마 제국 전역, 그리스어아람어가 공용어 구실을 했지만, 국가 행정과 사법 등에선 라틴어가 널리 쓰였다. 가령 로마법 대전은 서로마가 망한지 100년 지나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나왔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틴어 법전이다. 동로마의 탈라틴어화는 헤라클리우스(이라클리오스) 시절까지 점진적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서로마 지역에 널리 퍼져 사용되었다.

고대 로마의 문화적인 영향력이 매우 컸기 때문에, 고전 라틴어의 구어인 민중 라틴어로부터 분화된 로망스어군 계통의 언어들 또한 상당한 영역과 수억 명에 달하는 사용자수를 자랑하며, 로망스어가 아닌 언어권에서도 라틴어에서 기원한 차용어나 중고급 어휘들을 다수 사용하는 등, 예를 들어 영어는 로망스어군이 아닌 게르만어파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고급어휘 대부분이 라틴어 혹은 그리스어가 기원이다. 라틴어에서 직접 들여온 어휘도 존재하고 특히나 중세 시대에 초기 프랑스어를 잉글랜드 상류층에서 공용어급으로 사용하면서 초기 프랑스어로부터 받아들인 어휘와 단어가 상당하다. 당장 영어에서 흔하게 쓰이는 ~tion계열의 단어들은 그냥 모조리 라틴어 계통이라고 봐도 좋다. 지금도 영향력이 막강한 고전 언어이다.

이런 역사적 이유로 오늘날 서·남유럽의 언어들은 직·간접적으로 라틴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거니와, 라틴어의 직계 후손격인 이들 언어의 화자들은 서로의 언어를 상당히 쉽게 배우는 편이다. 그러나 해당 지역들에서도 정작 그 뿌리인 라틴어 자체는 어려워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가 한자문화권 일본어나 중국어의 한자는 더듬더듬 읽어내고 서양인보다 일본어 중국어를 쉽게 습득할 수는 있어도 정작 그 뿌리인 고전 한문은 어려워하는 것과 유사하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