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ыва дыл | |
투바어 | |
주요사용국 | 러시아 (투바 공화국) |
원어민 | 약 28만 명 |
어족 | 튀르크어족 시베리아어파 남시베리아어군 투바어 |
문자 | 키릴 문자 |
언어 코드 | |
ISO-639-2 | tyv |
ISO-639-3 | tyv |
주요 사용 지역 | |
러시아(투바 공화국) |
개요
러시아의 투바 공화국, 몽골, 중국에 거주하는 투바인들에 의해 사용되는 언어. 사하어, 알타이어, 하카스어 등과 함께 튀르크어족의 시베리아 튀르크어에 속한다. 옆동네가 몽골인 연유로 몽골어의 영향을 받아 몽골어에서 비롯한 단어가 많이 있고 구 소련 시절부터는 러시아어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과거엔 몽골 문자로 표기했으나 1930년 라틴 문자가 도입되었고, 이후 1943년부터는 키릴 문자로 표기하고 있다. 키릴 문자는 러시아어와 거의 비슷하나 ө, ң, ү의 세 글자를 추가로 사용하고 있다. 참고로 발음에 세세한 차이가 있긴 하지만 키르기스어와 거의 같은 문자를 사용한다. 모음엔 장단 외에 특이하게 인두음화된 모음이 존재하는데, 경음 부호 ъ를 써서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