벵골어

지구 아이콘(흰색).svg 세계의 언어
[ 펼치기ㆍ접기 ]
▪ 관련 문서: 언어외국어 · 언어 관련 정보
간다어갈리시아어게일어 · 과라니어광동어 · 고아 콘칸어구자라트어그리스어 · 그린란드어
남부 소토어냔자어노르웨이어 · 네덜란드어네팔어
다리어도그리어독일어돌간어 · 덴마크어디베히어
라파누이어 · 라다크어 · 러시아어 · 라오어라트비아어라틴어 · 루샤이어룩셈부르크어르완다어루마니아어 · 리투아니아어링갈라어루툴어
몰타어 · 몽골어 · 마인어 · 마니푸리어마케도니아어 · 마푸체어 · 마라티어마오리어마이틸리어만주어맨어말라가시어말라얄람어말레이어몽어미얀마어마리어모르드비어
바스크어 · 벵골어 · 베트남어 · 벨라루스어 · 불가리아어밤바라어보스니아어북부 소토어바시키르어부랴트어
사모아어산스크리트어세르보크로아트어 · 스웨덴어 · 스와힐리어 · 스페인어 · 스코트어 · 슬로바키아어 · 슬로베니아어 · 소닝케어 · 소말리어서부 프리지아어세부아노어세르비아어소라니 쿠르드어쇼나어순디어싱할라어
영어 · 이누이트어 · 이디시어 · 일본어 · 아파르어 · 아랍어 · 아람어 · 암하라어 · 아이슬란드어 · 아일랜드어 · 에스토니아어 · 우르두어 · 우크라이나어 · 웨일스어 · 알바니아어 · 아디게어 · 아이누어 · 이탈리아어 · 오어 · 요루바어 · 이보어아삼어아이마라어아이티어아제르바이잔어아칸어아르메니아어아프리칸스어에스페란토어에웨어오로모어오리아어우즈베크어위구르어이그보어이로코어인도네시아어 · 알류트어 · 압하스어오세트어야쿠트어인구시어아굴어
중국어 · 저지 독일어 · 조지아어 · 자바어줄루어
체코어총가어추바시어차후르어
카자흐어 · 카탈루냐어 · 콥트어 · 콘월어 · 코만치어칸나다어케추아어카렐어코르시카어코사어쿠르드어크로아티아어크메르어키르기스어크리오칼미크어코미어카바르디어카라차이-발카르어카라칼파크어
타밀어타지크어타타르어티베트어 · 튀르키예어 · 통가어 · 태국어텔루구어투르크멘어투바어티그리냐어타타르어
파슈토어폴란드어 · 핀란드어 · 프랑스어 · 포르투갈어 · 펀자브어 · 페르시아어 · 페로어 · 풀라어 · 프리지아어필리핀어
한국어 · 헝가리어 · 힌디어 · 히브리어 · 하우사어하와이어호즈푸리어
기타 관련 문서 통역 · 번역 · 사전
বাংলা
벵골어
주요사용국방글라데시, 인도
원어민약 2억 5,000만 명
어족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인도아리아어군
아르다마가디어군
벵골아삼어
벵골어
문자동부 나가리 문자
언어 코드
ISO-639-1bn
ISO-639-2ben
ISO-639-3ben
주요 사용 지역
남아시아(벵골 지역)

개요

방글라데시의 공용어로서 방글라데시 사람들은 자기들의 모국어를 '방라(বাংলা ['baŋla])' 라고 부른다. 인도서벵골, 트리푸라 전 지역, 아삼, 자르칸드, 오디샤, 비하르, 메갈라야, 아루나찰프라데시 일부 지역, 방글라데시 전 지역, 그리고 미얀마로힝야족 거주지에서 쓰이는 언어. 로힝야족들이 쓰는 언어는 로힝야어라고 부르며 벵골어와 매우 가깝다. 인도유럽어족에 속한다. 인접 지역에서 사용되는 아삼어(아삼)와 계통적으로 아주 가깝고, 하술하듯 표기 문자도 공유한다. 아삼어 화자와 벵골어 화자가 아무런 준비 없이는 대체로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지는 않지만 마치 스페인어포르투갈어 간 관계처럼 두 언어는 기초 어휘부터 공유하는 것이 많으므로 상대의 말에 주의 깊게 집중하면 약간은 가능하다. 구어체 벵골어 기준으로, 아삼어 화자는 콜카타 등 서부 방언보다는 방글라데시 다카 등의 동부 방언을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이해하는 편이다., 서로의 언어를 쉽게 배울 수 있다. 인근 지역의 오리야어(오디샤), 보지푸리어, 마이틸리어(비하르)와도 계통상 같은 동부인도아리아어군으로 가까운 편이다. 아삼, 오디샤, 비하르 지역에서 벵골어 모어 화자가 아닌 사람 중 벵골 문화에 노출되어 벵골어를 학습하거나 수동적인 벵골어 이해가 가능한 사람도 많다. 그러나 많은 벵골인은 이들 지역을 벵골보다 문화적으로 뒤떨어진 곳으로 인식해 왔으며, 이는 영국 식민지 시대, 어쩌면 그 이전(무굴 제국 시대 벵골 나와브는 비하르와 오디샤를 지배했다)부터 내려온 고정 관념이다. 오늘날 이는 많이 희석된 편이지만, 오늘날까지도 벵골인은 이 지역에 갈 경우에도 공용어 힌디어영어를 사용하면 사용했지 이들 지역의 아삼어, 오리야어, 보지푸리어 등을 기초 회화 이상으로 진지하게 배우려고 하는 경우는 드물다.

사용 지역의 면적으로 보면 한반도와 비슷하지만, 높은 경작가능지 비율로 인한 매우 높은 인구 밀도 덕분에 세계에서 6~8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로 사용 인구가 무려 2억 5천만 명에 달한다. 하지만 방글라데시가 인구 규모에 비해 경제력이 약해 국제적인 위상이 낮고 인도에서는 힌디어영어에 세력이 밀리는지라 다른 세계 10대 언어와 달리 2021년 현재 한국에 벵골어만 따로 가르치는 학과는 없다. 다만 한국에서는 특수외국어로 지정되어 있다.

벵골어의 문자는 얼핏 보기에는 데바나가리 문자처럼 생겼지만 미묘하게 다른 문자로 동부 나가리 문자를 사용하며 이 문자로 아삼어마니푸르어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비슈누프리야 마니푸르어와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메이테이어로 나눈다. 마니푸르는 원래 중국티베트어족 계열이다. 등을 표기하기도 한다.

옆 동네에서 쓰이는 힌디어와는 같은 인도아리아어군에 속하지만, 고대부터 다른 언어로 분리되어 변이를 겪었으므로 차이가 크다. 벵골어는 동부에서 널리 쓰이던 마가디 프라크리트가 기원이며, 힌디어는 북중부에서 널리 쓰이던 샤우라세니 프라크리트가 기원이다.

벵골어는 고전어에서 다양한 음운론, 형태론적 단순화 과정을 겪었다. 힌디어와 달리 모음에 장단이 거의 사라졌고 아직까지 벵골어(적어도 표준 문어)에 모음의 장단으로 의미가 달라지는 최소대립쌍은 존재하지만, 예외적인 경우이다. 마찰음과 비음 체계가 대폭 단순화되었다. 문법적 성 구별 원래는 성 구별이 있었지만 사라졌다. 아삼어, 오리야어, 호와르어, 칼라샤어와 같으며, 벵골어는 성 구별이 없는 인도아리아어 중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과 단수, 복수에 따른 동사 변화도 사라졌다. 다만 인칭에 따른 동사 변화는 존재한다. 즉 1인칭 단수와 1인칭 복수에 모두 1인칭 어미가 나타나는 식이다.

인도 국가인 자나 가나 마나가 본래 처음에는 벵골어로 쓰였으며, 실제 벵골어 발음은 Jôn gôn môn(전 건 먼)이다. 방글라데시 국가인 아마르 쇼나르 방라(나의 황금빛 벵골)도 물론 벵골어로 쓰였고 벵골어로 불린다. 두 곡 모두 벵골어가 모어였던 시인 라빈드라나트 타고르가 작사, 작곡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