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지크어

지구 아이콘(흰색).svg 세계의 언어
[ 펼치기ㆍ접기 ]
▪ 관련 문서: 언어외국어 · 언어 관련 정보
간다어갈리시아어게일어 · 과라니어광동어 · 고아 콘칸어구자라트어그리스어 · 그린란드어
남부 소토어냔자어노르웨이어 · 네덜란드어네팔어
다리어도그리어독일어돌간어 · 덴마크어디베히어
라파누이어 · 라다크어 · 러시아어 · 라오어라트비아어라틴어 · 루샤이어룩셈부르크어르완다어루마니아어 · 리투아니아어링갈라어루툴어
몰타어 · 몽골어 · 마인어 · 마니푸리어마케도니아어 · 마푸체어 · 마라티어마오리어마이틸리어만주어맨어말라가시어말라얄람어말레이어몽어미얀마어마리어모르드비어
바스크어 · 벵골어 · 베트남어 · 벨라루스어 · 불가리아어밤바라어보스니아어북부 소토어바시키르어부랴트어
사모아어산스크리트어세르보크로아트어 · 스웨덴어 · 스와힐리어 · 스페인어 · 스코트어 · 슬로바키아어 · 슬로베니아어 · 소닝케어 · 소말리어서부 프리지아어세부아노어세르비아어소라니 쿠르드어쇼나어순디어싱할라어
영어 · 이누이트어 · 이디시어 · 일본어 · 아파르어 · 아랍어 · 아람어 · 암하라어 · 아이슬란드어 · 아일랜드어 · 에스토니아어 · 우르두어 · 우크라이나어 · 웨일스어 · 알바니아어 · 아디게어 · 아이누어 · 이탈리아어 · 오어 · 요루바어 · 이보어아삼어아이마라어아이티어아제르바이잔어아칸어아르메니아어아프리칸스어에스페란토어에웨어오로모어오리아어우즈베크어위구르어이그보어이로코어인도네시아어 · 알류트어 · 압하스어오세트어야쿠트어인구시어아굴어
중국어 · 저지 독일어 · 조지아어 · 자바어줄루어
체코어총가어추바시어차후르어
카자흐어 · 카탈루냐어 · 콥트어 · 콘월어 · 코만치어칸나다어케추아어카렐어코르시카어코사어쿠르드어크로아티아어크메르어키르기스어크리오칼미크어코미어카바르디어카라차이-발카르어카라칼파크어
타밀어타지크어타타르어티베트어 · 튀르키예어 · 통가어 · 태국어텔루구어투르크멘어투바어티그리냐어타타르어
파슈토어폴란드어 · 핀란드어 · 프랑스어 · 포르투갈어 · 펀자브어 · 페르시아어 · 페로어 · 풀라어 · 프리지아어필리핀어
한국어 · 헝가리어 · 힌디어 · 히브리어 · 하우사어하와이어호즈푸리어
기타 관련 문서 통역 · 번역 · 사전
Забони тоҷикӣ
타지크어
주요사용국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원어민약 840만 명
어족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이란어군
동이란어군
페르시아어
타지크어
문자키릴 문자
언어 코드
ISO-639-1tg
ISO-639-2tgk
ISO-639-3tgk
주요 사용 지역
중앙아시아(타지키스탄)

개요

타지크어는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등지에 거주하는 타지크인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이란어군 페르시아어 방언에 속하는 언어이기 때문에 '타지크 페르시아어(Форсии тоҷикӣ / تاجیکی‎ فارسی)'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원래는 페르시아어의 한 방언 정도로 취급되었으나 소련의 언어정책에 의해 '타지크어'가 만들어졌다. 소련은 튀르크계가 주 민족인 지역을 지배하면서 자국 내의 다른 튀르크 언어들(카자흐어, 키르기스어, 우즈베크어, 투르크멘어)을 모두 표준화했는데 저 구분은 모두 소련이 인위적으로 정하고 표준화했다. 그러나 이 경우는 카자흐어-키르기스어 사이 정도를 제외하면 서로 말이 안 통할 정도로 상당히 다르긴 한데 페르시아어와 타지크어는 큰 차이가 없다.

그래서 아프가니스탄의 다리어와 더불어 이란의 페르시아어와 매우 흡사하다. 하지만 페르시아어와 다리어는 아랍 문자를, 타지크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두 문자를 다 알지 않는 한 봐도 거의 같은 언어인 줄 모를 것이다. 반대로 아랍 문자가 사용되는 반면 키릴 문자는 사용되지 않는 언어들 중 비슷한 케이스로는 벵골어의 한 방언인 치타공어(로힝야어)가 있는데, 방글라데시의 치타공인들은 동부 나가리 문자를 쓰고 미얀마로힝야족은 아랍 문자를 쓴다.

타지크어는 원래 페르시아어와 마찬가지로 아랍 문자를 차용해 문자를 표기했다. 이후 소련 시절인 1928년에 라틴 문자로 문자개혁을 실시했다가 1939년에 키릴 문자로 다시 문자개혁을 실시한 후, 오늘날까지 키릴문자로 표기하고 있다. 타지키스탄

주요 사용국가는 타지키스탄우즈베키스탄이다. 간혹 중국, 러시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에도 소수의 사용자가 존재한다. 타지키스탄에서는 타지크어가 국어이며, 내전을 거치며 많은 러시아인들이 다른 나라로 이주했기 때문에 타지크어 사용 비율이 매우 높다. 그럼에도 국내 경제사정이 좋지 않아 매우 많은 타지키스탄인들이 러시아로 일하러 가기 때문에 러시아어는 타지키스탄 국민들에게 중요한 언어다.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공식 통계와 달리 실제로는 훨씬 많은 타지크인들이 살고 있다는 것이 공공연한 사실인데, 추정치에 따라서는 우즈벡에 사는 타지크인이 타지키스탄 전체 인구보다 더 많다고 할 정도다. 이런 우즈벡 타지크인들이 특히 많이 몰려사는 사마르칸트, 부하라, 카슈카다리오, 수르혼다리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은 타지크인 비율이 높긴 하지만 아프가니스탄에서 타지크인들이 쓰는 말은 타지크어보다는 다리어라고 주로 부르는 편이다. 사실 타지크어나 다리어나 이란어나 거기서 거기인지라... 중국의 타슈코르간 타지크 자치현에도 타지크족이 꽤 많이 살고 있지만, 사실 엄밀히 분류하면 해당 지역에서 쓰이는 '타지크어'는 사리콜리(Sarikoli)어라는 동부 이란어군에 속하는 별개의 언어라고 한다. 가령 1~4까지의 숫자를 보면, 이란어는 "옉, 도, 세, 처허르"(یک، دو، سه، چهار)처럼 세고, 타지크어는 "약, 두, 세, 차호르"(як, ду, се, чаҳор)라고 이란어와 거의 똑같이 세는 반면, 사리콜리어에서는 "이우, 다, 아로이, 차부르"(iw, δa, aróy, cavúr)처럼 다르게 센다. 서수의 경우에도 -ـُم (-om), -ум(-um)을 붙이는 이란어나 타지크어와 달리 튀르크어처럼 -inči를 붙인다. 흔히 타지크어로 알려진 페르시아어 방언은 표준 페르시아어와 같은 서부 이란어군에 속한다.

파키스탄도 타지크인 인구가 있긴 하지만 친척뻘 민족인 파슈툰인발루치족에 비해 존재감이 떨어지는 편이다.

한국어로 된 타지크어 자료는 여기

한국에서는 배우기가 쉽지 않은 언어이지만, 특수외국어에 포함되어 있는 언어중의 하나이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