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도니아어

지구 아이콘(흰색).svg 세계의 언어
[ 펼치기ㆍ접기 ]
▪ 관련 문서: 언어외국어 · 언어 관련 정보
간다어갈리시아어게일어 · 과라니어광동어 · 고아 콘칸어구자라트어그리스어 · 그린란드어
남부 소토어냔자어노르웨이어 · 네덜란드어네팔어
다리어도그리어독일어돌간어 · 덴마크어디베히어
라파누이어 · 라다크어 · 러시아어 · 라오어라트비아어라틴어 · 루샤이어룩셈부르크어르완다어루마니아어 · 리투아니아어링갈라어루툴어
몰타어 · 몽골어 · 마인어 · 마니푸리어마케도니아어 · 마푸체어 · 마라티어마오리어마이틸리어만주어맨어말라가시어말라얄람어말레이어몽어미얀마어마리어모르드비어
바스크어 · 벵골어 · 베트남어 · 벨라루스어 · 불가리아어밤바라어보스니아어북부 소토어바시키르어부랴트어
사모아어산스크리트어세르보크로아트어 · 스웨덴어 · 스와힐리어 · 스페인어 · 스코트어 · 슬로바키아어 · 슬로베니아어 · 소닝케어 · 소말리어서부 프리지아어세부아노어세르비아어소라니 쿠르드어쇼나어순디어싱할라어
영어 · 이누이트어 · 이디시어 · 일본어 · 아파르어 · 아랍어 · 아람어 · 암하라어 · 아이슬란드어 · 아일랜드어 · 에스토니아어 · 우르두어 · 우크라이나어 · 웨일스어 · 알바니아어 · 아디게어 · 아이누어 · 이탈리아어 · 오어 · 요루바어 · 이보어아삼어아이마라어아이티어아제르바이잔어아칸어아르메니아어아프리칸스어에스페란토어에웨어오로모어오리아어우즈베크어위구르어이그보어이로코어인도네시아어 · 알류트어 · 압하스어오세트어야쿠트어인구시어아굴어
중국어 · 저지 독일어 · 조지아어 · 자바어줄루어
체코어총가어추바시어차후르어
카자흐어 · 카탈루냐어 · 콥트어 · 콘월어 · 코만치어칸나다어케추아어카렐어코르시카어코사어쿠르드어크로아티아어크메르어키르기스어크리오칼미크어코미어카바르디어카라차이-발카르어카라칼파크어
타밀어타지크어타타르어티베트어 · 튀르키예어 · 통가어 · 태국어텔루구어투르크멘어투바어티그리냐어타타르어
파슈토어폴란드어 · 핀란드어 · 프랑스어 · 포르투갈어 · 펀자브어 · 페르시아어 · 페로어 · 풀라어 · 프리지아어필리핀어
한국어 · 헝가리어 · 힌디어 · 히브리어 · 하우사어하와이어호즈푸리어
기타 관련 문서 통역 · 번역 · 사전
Македонски јазик
마케도니아어
주요사용국북마케도니아
원어민 약 300만 명
어족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
동부 남슬라브어군
마케도니아어
문자키릴 문자
언어 코드
ISO-639MK
주요 사용 지역
동유럽(북마케도니아)

개요

마케도니아어는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이자 북마케도니아의 공용어이다. 북마케도니아 인구의 80% 정도의 모어이며 전체 화자수는 300만 명 정도이다. 불가리아, 그리스, 세르비아, 루마니아에 소수 모어 화자가 존재한다.

비교적 근세기에 독자성이 형성된 언어이다. 20세기 들어서 크르스테 미시르코프(Крсте Мисирков, 1874–1926), 코초 라친(Кочо Рацин, 1908–1943), 블라제 코네스키(Блаже Конески, 1921–1993)와 같은 민족 문학작가들의 노력에 의해 독자적인 언어로서의 정서법, 문법 등이 확립되었기 때문이다.

북마케도니아가 슬라브화되기 전인 마케도니아 왕국 시절에 오늘날의 마케도니아 지역(그리스의 마케도니아와 북마케도니아 모두)에서 쓰였던 고대 마케도니아어 마케도니아 왕국의 그리스 통일을 기점으로 마케도니아 왕국의 언어가 고대 아테네어로 바뀌었다가 이후 다시 코이네 그리스어로 바뀌었다.와는 엄연히 별개의 언어다. 고대 마케도니아어가 고전 그리스어의 방언이었던 것과 달리 현대 마케도니아어는 현대 북마케도니아가 이미 조상 대에 슬라브화된 상태라서 상술한 것처럼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에 속한다. 다만 오늘날의 그리스 지역과 북마케도니아 지역 모두 발칸 반도의 정교회 문화권이고 마케도니아 왕국, 로마 제국, 오스만 제국 시절에 한 나라의 영토였던 역사도 있는 만큼 현대 마케도니아어와 그리스어 계통의 언어들은 언어동조대 관계이다. 북마케도니아는 지리적인 이유로 구 유고슬라비아 국가들 중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가장 강하게 받은 나라이기도 하니 말이다. 흔히 그리스의 전통의상으로 알려진 푸스타넬라는 북마케도니아의 전통의상이기도 하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