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tarça | |
타타르어 | |
주요사용국 | 러시아, 중국, 튀르키예, 폴란드 |
원어민 | 약 520만 명 |
어족 | 튀르크어족 킵차크어파 킵차크-불가르어 타타르어 |
문자 | 키릴 문자(러시아), 로마자(폴란드,튀르키예), 아랍 문자(중국) |
언어 코드 | |
ISO-639-2 | TAT |
ISO-639-3 | TAT |
주요 사용 지역 | |
서아시아(튀르키예), 중앙아시아(러시아,중국), 동유럽(폴란드,러시아) |
개요
러시아의 타타르스탄 공화국을 중심으로 한 볼가 타타르인 사이에서 쓰이는 언어. 카잔, 아스트라한, 바시키르 공화국의 타타르인들도 사용한다.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튀르키예, 우크라이나 크림 반도의 크림 타타르인은 볼가 타타르어와는 다른 크림 타타르어를 쓴다. 한편 우크라이나 서부 지역은 과거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를 받았던 영향으로 립카 타타르인이 산다.의 타타르인들도 사용하고 있고, 중국에 거주하는 소수의 타타르족들도 쓰고 있다.
바시키르어와 함께 튀르크어족 킵차크어파 킵차크-불가르어군에 속하며, 사용자 수는 약 500만여 명이다. 2010년 통계에 의하면 러시아에 거주하는 타타르인 중 69%가 타타르어를 할 수 있으며, 타타르스탄 내에서는 그 비율이 93%에 달한다고 하지만 공식적인 언어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
시베리아 타타르어나 크림 타타르어와는 서로 다른 언어로, 킵차크-불가르어군에 속하는 타타르어와 달리 시베리아 타타르어는 카자흐어와 같이 킵차크-노가이어군으로, 크림 타타르어는 카라차이발카르어나 쿠미크어와 같이 킵차크-쿠만어군으로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