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어

지구 아이콘(흰색).svg 세계의 언어
[ 펼치기ㆍ접기 ]
▪ 관련 문서: 언어외국어 · 언어 관련 정보
간다어갈리시아어게일어 · 과라니어광동어 · 고아 콘칸어구자라트어그리스어 · 그린란드어
남부 소토어냔자어노르웨이어 · 네덜란드어네팔어
다리어도그리어독일어돌간어 · 덴마크어디베히어
라파누이어 · 라다크어 · 러시아어 · 라오어라트비아어라틴어 · 루샤이어룩셈부르크어르완다어루마니아어 · 리투아니아어링갈라어루툴어
몰타어 · 몽골어 · 마인어 · 마니푸리어마케도니아어 · 마푸체어 · 마라티어마오리어마이틸리어만주어맨어말라가시어말라얄람어말레이어몽어미얀마어마리어모르드비어
바스크어 · 벵골어 · 베트남어 · 벨라루스어 · 불가리아어밤바라어보스니아어북부 소토어바시키르어부랴트어
사모아어산스크리트어세르보크로아트어 · 스웨덴어 · 스와힐리어 · 스페인어 · 스코트어 · 슬로바키아어 · 슬로베니아어 · 소닝케어 · 소말리어서부 프리지아어세부아노어세르비아어소라니 쿠르드어쇼나어순디어싱할라어
영어 · 이누이트어 · 이디시어 · 일본어 · 아파르어 · 아랍어 · 아람어 · 암하라어 · 아이슬란드어 · 아일랜드어 · 에스토니아어 · 우르두어 · 우크라이나어 · 웨일스어 · 알바니아어 · 아디게어 · 아이누어 · 이탈리아어 · 오어 · 요루바어 · 이보어아삼어아이마라어아이티어아제르바이잔어아칸어아르메니아어아프리칸스어에스페란토어에웨어오로모어오리아어우즈베크어위구르어이그보어이로코어인도네시아어 · 알류트어 · 압하스어오세트어야쿠트어인구시어아굴어
중국어 · 저지 독일어 · 조지아어 · 자바어줄루어
체코어총가어추바시어차후르어
카자흐어 · 카탈루냐어 · 콥트어 · 콘월어 · 코만치어칸나다어케추아어카렐어코르시카어코사어쿠르드어크로아티아어크메르어키르기스어크리오칼미크어코미어카바르디어카라차이-발카르어카라칼파크어
타밀어타지크어타타르어티베트어 · 튀르키예어 · 통가어 · 태국어텔루구어투르크멘어투바어티그리냐어타타르어
파슈토어폴란드어 · 핀란드어 · 프랑스어 · 포르투갈어 · 펀자브어 · 페르시아어 · 페로어 · 풀라어 · 프리지아어필리핀어
한국어 · 헝가리어 · 힌디어 · 히브리어 · 하우사어하와이어호즈푸리어
기타 관련 문서 통역 · 번역 · 사전
Wikis logo!.pngHallo Wikis! Hallo Welt! 더 나은 번역이 있다면 수정 바랍니다.
Hello, Wikis! Hello, World!
Deutsch
독일어 또는 독어라고도 불린다.
언어 기본 정보
주요사용국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벨기에,
덴마크, 프랑스, 이탈리아 등
원어민약 9000만여 명
어족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
독일어
문자로마자
언어 코드
ISO-639DE
주요 사용 지역
중부유럽, 동유럽, 남아프리카
독일어Deutsche Sprache 여성형 / Deutsch 중성형
영어German language
프랑스어Langue allemande
스페인어Idioma alemán
러시아어Немецкий язык
스웨덴어Tyska språk
덴마크어Tysk
핀란드어Saksan kieli
터키어Almanca
네덜란드어Duits
중국어德語/德语
일본어ドイツ語, 独語
라틴어Lingua Theodisca 또는 Lingua Germanica라고 해도 된다.
이탈리아어Lingua Tedesca
에스페란토Germana lingvo
몽골어Немец хэл
인도네시아어Bahasa Jerman

독일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25조 한국어 해석: 1. 모든 사람은 의식주, 의료 및 필요한 사회복지를 포함하여 자신과 가족의 건강과 안정에 적합한 생활수준을 누릴 권리와, 실업, 질병, 장애, 배우자 사망, 노령 또는 기타 불가항력의 상황으로 인한 생계 결핍의 경우에 보장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2. 어머니와 아동은 특별한 보호와 지원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모든 아동은 적서에 관계없이 동일한 사회적 보호를 누린다.

개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의 국어이자 스위스, 룩셈부르크, 벨기에, 이탈리아 북부 쥐트티롤의 공용어이고, 아프리카 나미비아의 공인 지역어이며, 그 외에도 미국, 캐나다, 루마니아, 슬로베니아와 폴란드 일부 지역 관청에서 접수받는 언어로 지정된 지역어 중 하나이다. 독일과 인접한 프랑스에서는 알자스-로렌 주에서 이 언어를 사용한다.

구 공산권 지역(러시아, 체코, 헝가리, 불가리아 등), 브라질, 아르헨티나, 구소련(특히 우크라이나,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에도 모어로서의 독일어 화자그룹이 존재한다. 유럽에서 가장 사용 인구 수가 많은 언어이며 EU에서도 공용어 중의 하나이면서도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등과 함께 주요 국제어의 지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특히 19세기 초중반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전까지 주요 학문의 발전이 독일어권 국가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학문적으로도 중요한 언어이다. 현재도 독어독문학, 철학, 역사학, 음악사학, 신학 등의 인문학 분야와 법학, 음악실기(연주, 작곡)에서 필수적인 언어로 여겨지고 있다. 모국어 화자는 1억 명이 조금 넘는다.

독일은 1871년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통일을 이룬 뒤에 독일 제국의 황제로 즉위한 빌헬름 1세의 팽창 정책으로 인해 뒤늦게 다수의 식민지를 개척했다. 이 때 독일어는 카메룬, 부룬디, 나미비아, 탄자니아, 르완다 등 아프리카 국가와 파푸아뉴기니,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사모아, 팔라우 등 오세아니아 국가에 전파됐다. 그러나 독일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한 결과, 모든 해외 식민지를 잃으면서 짧은 점령 기간 탓에 독일어를 쓰는 나라는 줄어들었다.

반대로 벨기에의 경우 독일의 제1차 세계 대전의 패전 결과 독일 라인 지방의 일부를 할양받으면서 독일어가 공용어로 추가 지정되었다. 루마니아의 경우는 1990년까지 한동안 사용이 금지되었지만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로 사용이 합법화되었으며, 최근에는 지방 언어로 지정되었다.

계통

독일어는 서게르만어계의 언어이며 게르만어 중 사용 인구가 두번째로 많다.

알파벳과 발음 설명

문자 명칭 발음
a a a
b be b, p[발음 1][발음 2]
c ce c
d de d, t[발음 1][발음 2]
e e e
f ef(f) f
g ge g
h ha h, 묵음[발음 3]
i i i
j jot j
k ka k
l el l
m em m
n en n
o o o
문자 명칭 발음
p pe p
q qu 반드시 뒤에 u가 함께 쓰임[발음 4]
r er r
s es(s) z, s[발음 1]
t te t
u u u
v vau f, v(외국어)
w we v
x ix ks
y ypsilon y
z zet(t) ts
ä ä, a-Umlaut ɛ,æ
ö ö, o-Umlaut œ
ü ü, u-Umlaut ʏ
ß Eszett s
이중자모음 발음
eu, äu ɔʏ̯
ie
ei, ey, ai, ay aɪ̯
ch x (a,o,u 앞에서)
ç (나머지)
k(고어)
sp, st ʃp, ʃt[발음 5]
sch ʃ
pf p͡f
qu kv

각주:

  1. 1.0 1.1 1.2 단어 끝에 올 때의 발음
  2. 2.0 2.1 뒤에 모음이 올 때의 발음
  3. 앞에 모음이 올 때의 발음
  4. 이중자모음 참조
  5. 단어 앞에 올 때의 발음

공인 시험

2013년 현재에는 유럽언어기준(CEFR)에 따라서 독일어도 언어 구사 능력 수준이 6단계로 나뉘어 있다. A1, A2, B1, B2, C1, C2까지로 되어 있다. 뒤로 갈수록 난이도가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인문/자연대학의 수학을 위해서는 최소 c1 이상, 음대나 미대 혹은 체대 입학을 위해서는 b1 내지는 b2 이상의 어학수준을 요구한다. 덕분에 외국인이 보는 독일어 교재들도 전부 이것에 맞추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어떤 교재가 어떤 수준인지 알기는 매우 쉽다.

독일문화원에서 치를 수 있는 Goethe Zertifikat, 테스트다프 인스티투트에서 시행하는 TestDaf, 각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대학입학을 위한 독일어능력시험 (DSH, Deutsche Sprachprüfung für Hochschulzugang) 등이 대표적인 시험이다. DSH는 예전에는 대학별로 수준이 달라 서로 인정해 주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밖에도 뮌헨에 위치한 통번역학원에서 치뤄지는 자체시험도 공인된 시험이지만 수강생을 제한적으로 받고, 뮌헨 지역에서만 실시하기 때문에 인지도는 낮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