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어

(터키어에서 넘어옴)
지구 아이콘(흰색).svg 세계의 언어
[ 펼치기ㆍ접기 ]
▪ 관련 문서: 언어외국어 · 언어 관련 정보
간다어갈리시아어게일어 · 과라니어광동어 · 고아 콘칸어구자라트어그리스어 · 그린란드어
남부 소토어냔자어노르웨이어 · 네덜란드어네팔어
다리어도그리어독일어돌간어 · 덴마크어디베히어
라파누이어 · 라다크어 · 러시아어 · 라오어라트비아어라틴어 · 루샤이어룩셈부르크어르완다어루마니아어 · 리투아니아어링갈라어루툴어
몰타어 · 몽골어 · 마인어 · 마니푸리어마케도니아어 · 마푸체어 · 마라티어마오리어마이틸리어만주어맨어말라가시어말라얄람어말레이어몽어미얀마어마리어모르드비어
바스크어 · 벵골어 · 베트남어 · 벨라루스어 · 불가리아어밤바라어보스니아어북부 소토어바시키르어부랴트어
사모아어산스크리트어세르보크로아트어 · 스웨덴어 · 스와힐리어 · 스페인어 · 스코트어 · 슬로바키아어 · 슬로베니아어 · 소닝케어 · 소말리어서부 프리지아어세부아노어세르비아어소라니 쿠르드어쇼나어순디어싱할라어
영어 · 이누이트어 · 이디시어 · 일본어 · 아파르어 · 아랍어 · 아람어 · 암하라어 · 아이슬란드어 · 아일랜드어 · 에스토니아어 · 우르두어 · 우크라이나어 · 웨일스어 · 알바니아어 · 아디게어 · 아이누어 · 이탈리아어 · 오어 · 요루바어 · 이보어아삼어아이마라어아이티어아제르바이잔어아칸어아르메니아어아프리칸스어에스페란토어에웨어오로모어오리아어우즈베크어위구르어이그보어이로코어인도네시아어 · 알류트어 · 압하스어오세트어야쿠트어인구시어아굴어
중국어 · 저지 독일어 · 조지아어 · 자바어줄루어
체코어총가어추바시어차후르어
카자흐어 · 카탈루냐어 · 콥트어 · 콘월어 · 코만치어칸나다어케추아어카렐어코르시카어코사어쿠르드어크로아티아어크메르어키르기스어크리오칼미크어코미어카바르디어카라차이-발카르어카라칼파크어
타밀어타지크어타타르어티베트어 · 튀르키예어 · 통가어 · 태국어텔루구어투르크멘어투바어티그리냐어타타르어
파슈토어폴란드어 · 핀란드어 · 프랑스어 · 포르투갈어 · 펀자브어 · 페르시아어 · 페로어 · 풀라어 · 프리지아어필리핀어
한국어 · 헝가리어 · 힌디어 · 히브리어 · 하우사어하와이어호즈푸리어
기타 관련 문서 통역 · 번역 · 사전
Türkçe
튀르키예어
주요사용국튀르키예, 북키프로스
원어민약 8,800만 명
어족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
서오구즈어군
튀르키예어
문자로마자
언어 코드
ISO-639-1TR
ISO-639-2TUR
ISO-639-3TUR
주요 사용 지역
서아시아(튀르키예,북키프로스,등)

개요

튀르키예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1조 한국어 해석: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그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다. 인간은 천부적으로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하여야 한다.

튀르키예어는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 서오구즈어군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아나톨리아 반도에 위치한 튀르키예공용어이다. '튀르키예어'라는 말은 경우에 따라 튀르크어족의 모든 언어를 가리키는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튀르키예 공화국에서 주로 쓰이는 튀르키예어로 의미를 한정할 경우에는 이스탄불 튀르키예어(İstanbul Türkçesi, Istanbul Turkish) 혹은 아나톨리아 튀르키예어(Anadolu Türkçesi, Anatolian Turkish)라고도 한다.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교착어적 특성을 띠는 언어로 화자수는 약 7400만 명이다.

공용어로 사용되는 나라는 튀르키예키프로스가 전부지만, 오스만 제국 시절 때 영토였던 국가에서 여전히 튀르키예어 화자들을 찾아볼 수 있는데 특히 불가리아, 알바니아,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루마니아, 조지아 일대가 그렇다. 또한 1960년대 이후 대규모 이민으로 독일, 벨기에, 프랑스에도 튀르키예어 화자가 상당수 존재하며 러시아에도 존재한다. 특히 독일은 튀르키예계 독일인들이 많이 거주하므로 이들 사이에서 튀르키예어가 많이 쓰이고, 튀르키예 음식을 판매하는 식당도 많다.

중앙아시아 국가 가운데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은 튀르크계 국가들이고, 타타르스탄, 가가우지아, 동튀르키스탄 등 튀르크계 언어를 쓰는 지역은 꽤 많거니와, 언어적으로 비교적 가깝기에 배우기가 쉬워서 이들 지역에서는 튀르키예어를 익히는 사람들이 많다. 다만 같은 튀르크어족 계통의 언어를 쓴다고 해도 시베리아 쪽 튀르크계 종족들이 쓰는 언어(사하어, 투바어, 알타이어, 하카스어, 돌간어 등)와 추바시어는 튀르키예어와 차이가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튀르키예어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튀르키예어를 몽골어와 같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은데, 이 둘은 애초에 어족 차원에서 다르기에 문법과 발음이 모두 꽤나 다르다. 몽골어의 경우 한국인이 발음하기 어려운 발음이 몇 개 존재하지만 튀르키예어는 어려운 발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중세 한국어에 존재했지만 현재는 많이 없어진 모음조화가 튀르키예어에는 존재해서 모음조화 법칙이 좀 까다롭지만 법칙만 알면 쉽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