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편집 요약 없음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노린재목]] 노린재아목 소금쟁이과에 속하는 반수서군 [[수서곤충]][* 반수서군 곤충이란 물 안에서 살다가 특정시기에 물 밖에서 사는 곤충 혹은 물 속이 아닌 물 위에서 생활하는 곤충을 이른다. 반대되는 개념으로는 물 속에서 생활하는 진수서군 곤충이 있다.]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는데 56속 450여 종이 기록되었고 한국에는 5속 9종이 서식한다. | [[노린재목]] 노린재아목 소금쟁이과에 속하는 반수서군 [[수서곤충]][* 반수서군 곤충이란 물 안에서 살다가 특정시기에 물 밖에서 사는 곤충 혹은 물 속이 아닌 물 위에서 생활하는 곤충을 이른다. 반대되는 개념으로는 물 속에서 생활하는 진수서군 곤충이 있다.]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는데 56속 450여 종이 기록되었고 한국에는 5속 9종이 서식한다. | ||
==특징== | |||
몸길이는 수컷이 11∼14 mm, 암컷이 13∼16 mm이다. 날개가 긴 것과 짧은 것이 있다. | |||
몸은 긴 반달 모양이고 방수털이 조밀하게 덮였다. 머리는 튀어나와 있으며 겹눈은 크고 반구 모양. 홑눈은 작거나 없다. 더듬이는 4마디, 주둥이 또한 4마디이다. 무시형(無翅形)과 유시형(有翅形)이 있는데 유시형은 앞날개에 특이하게 막질부가 없다. 제7배마디옆판은 뒤쪽으로 튀어나와 가시 모양이고, 제7배마디배판의 뒷가장자리는 앞쪽이 V자 모양으로 굴곡이 졌다. 외부생식기의 밑마디는 원통형이다. | |||
앞다리는 비교적 짧고 넓적다리마디의 중앙부가 약간 부풀었으며 뒷다리 허벅지마디는 배 길이보다 길고, 가운데다리는 앞다리보다 뒷다리에 가까이 있다. 발목마디는 2마디이며 발목마디에 잔털이 많아서 물 위에서 몸 앞쪽을 떠받치는 데 사용된다. 가운뎃다리와 뒷다리는 가늘고 긴데, 뒷다리가 가장 길고 가운뎃다리가 미는 힘으로 물 위를 성큼성큼 걸어다닐 수가 있다. 발에 나 있는 잔털에는 기름 성분이 묻어 있어 물과의 반발작용을 일으켜 물을 퉁기는 역할을 한다. 뒷다리는 방향을 바꿀 때 사용된다. 앞다리가 나머지 다리에 비해 상당히 짧아서 모르는 사람은 소금쟁이 다리가 4개인 줄 안다. | |||
얘도 엄연한 노린재 그룹에 속하는 놈이다보니 취선이 있어서 특유의 구린 냄새를 풍긴다. 다만 노린재 하면 떠오르는 고약한 냄새가 아니라서 사람에 따라서는 오히려 달달한 향기 같다고 좋아하기도 한다고. 이 때문에 사투리에 따라서는 '엿장수'라고로 부르기도 한다. 일본어 명칭인 아멘보(飴ん坊)도 같은 맥락에서 나온 이름이다.[[http://www.jasa.pe.kr/pulmuchi/insect/gerridae.htm|참고]] | |||
흔히 [[표면장력]]의 예를 설명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벌레지만, 다리에 기름이나 비눗물을 떨구면 물에 젖은 종이배마냥 가라앉는다. 다리가 아닌 몸통부터 빠뜨리거나 발과 몸에 나 있는 털들을 밀어버리면 당연하게도 일반적인 물에서도 뜨지 못해 가라앉는다.[* 스펀지에서도 이런 실험을 한 적이 있는데, 식용유로도 실험했지만 같은 기름이라서 가라앉았다.[[https://m.youtube.com/watch?v=y-xmf_o4R6c&feature=youtu.be|#]]] 다리에 있는 기름을 닦아버리면 가라앉지 않기 위해 물 위에서 계속 폴짝폴짝 뛰기도 한다. 마요네즈 같은 기름을 다리에 발라 준다면 다시 뜬다. 기름이나 비눗물을 붓는 거 외에도 [[우유]]처럼 표면장력이 약한 [[액체]] 위에 아무것도 안 하고 올려놔도 금방 가라앉는다. 그 외에도 일상생활에서 쓰다가 버리게 되는 폐수 같은 안 좋은 [[물]]도 소금쟁이에게 어떤 악영향을 주는지도 금방 알 수 있게 된다. | |||
대부분 소금쟁이를 날지 못하는 곤충으로 인식하지만, [[날개]]도 있고 날 수 있다. 장소를 옮기거나 할 때 날아 다닌다. 다만 보통 고인 물에서만 활동하고, 광대소금쟁이는 날개가 퇴화되어 흔적만 있기에 제대로 날지 못한다. | |||
---- | ---- | ||
[[분류:소금쟁이속]] | [[분류:소금쟁이속]] |
2024년 1월 15일 (월) 18:34 판
소금쟁이 (엿장수, 엿쟁이) Water strider[1] | ||
---|---|---|
학명 | Gerridae (Leach, 1815) | |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
문 | 절지동물문Arthropoda | |
강 | 곤충강Insecta | |
목 | 노린재목Hemiptera | |
과 | 소금쟁이과Gerridae |
개요
노린재목 노린재아목 소금쟁이과에 속하는 반수서군 수서곤충 반수서군 곤충이란 물 안에서 살다가 특정시기에 물 밖에서 사는 곤충 혹은 물 속이 아닌 물 위에서 생활하는 곤충을 이른다. 반대되는 개념으로는 물 속에서 생활하는 진수서군 곤충이 있다.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는데 56속 450여 종이 기록되었고 한국에는 5속 9종이 서식한다.
특징
몸길이는 수컷이 11∼14 mm, 암컷이 13∼16 mm이다. 날개가 긴 것과 짧은 것이 있다.
몸은 긴 반달 모양이고 방수털이 조밀하게 덮였다. 머리는 튀어나와 있으며 겹눈은 크고 반구 모양. 홑눈은 작거나 없다. 더듬이는 4마디, 주둥이 또한 4마디이다. 무시형(無翅形)과 유시형(有翅形)이 있는데 유시형은 앞날개에 특이하게 막질부가 없다. 제7배마디옆판은 뒤쪽으로 튀어나와 가시 모양이고, 제7배마디배판의 뒷가장자리는 앞쪽이 V자 모양으로 굴곡이 졌다. 외부생식기의 밑마디는 원통형이다.
앞다리는 비교적 짧고 넓적다리마디의 중앙부가 약간 부풀었으며 뒷다리 허벅지마디는 배 길이보다 길고, 가운데다리는 앞다리보다 뒷다리에 가까이 있다. 발목마디는 2마디이며 발목마디에 잔털이 많아서 물 위에서 몸 앞쪽을 떠받치는 데 사용된다. 가운뎃다리와 뒷다리는 가늘고 긴데, 뒷다리가 가장 길고 가운뎃다리가 미는 힘으로 물 위를 성큼성큼 걸어다닐 수가 있다. 발에 나 있는 잔털에는 기름 성분이 묻어 있어 물과의 반발작용을 일으켜 물을 퉁기는 역할을 한다. 뒷다리는 방향을 바꿀 때 사용된다. 앞다리가 나머지 다리에 비해 상당히 짧아서 모르는 사람은 소금쟁이 다리가 4개인 줄 안다.
얘도 엄연한 노린재 그룹에 속하는 놈이다보니 취선이 있어서 특유의 구린 냄새를 풍긴다. 다만 노린재 하면 떠오르는 고약한 냄새가 아니라서 사람에 따라서는 오히려 달달한 향기 같다고 좋아하기도 한다고. 이 때문에 사투리에 따라서는 '엿장수'라고로 부르기도 한다. 일본어 명칭인 아멘보(飴ん坊)도 같은 맥락에서 나온 이름이다.참고
흔히 표면장력의 예를 설명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벌레지만, 다리에 기름이나 비눗물을 떨구면 물에 젖은 종이배마냥 가라앉는다. 다리가 아닌 몸통부터 빠뜨리거나 발과 몸에 나 있는 털들을 밀어버리면 당연하게도 일반적인 물에서도 뜨지 못해 가라앉는다. 스펀지에서도 이런 실험을 한 적이 있는데, 식용유로도 실험했지만 같은 기름이라서 가라앉았다.# 다리에 있는 기름을 닦아버리면 가라앉지 않기 위해 물 위에서 계속 폴짝폴짝 뛰기도 한다. 마요네즈 같은 기름을 다리에 발라 준다면 다시 뜬다. 기름이나 비눗물을 붓는 거 외에도 우유처럼 표면장력이 약한 액체 위에 아무것도 안 하고 올려놔도 금방 가라앉는다. 그 외에도 일상생활에서 쓰다가 버리게 되는 폐수 같은 안 좋은 물도 소금쟁이에게 어떤 악영향을 주는지도 금방 알 수 있게 된다.
대부분 소금쟁이를 날지 못하는 곤충으로 인식하지만, 날개도 있고 날 수 있다. 장소를 옮기거나 할 때 날아 다닌다. 다만 보통 고인 물에서만 활동하고, 광대소금쟁이는 날개가 퇴화되어 흔적만 있기에 제대로 날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