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편집 요약 없음 |
||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왜좀사마귀]]로도 불리며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사마귀]] 중 최소종이다. 국내에서는 [[여서도]], [[제주도]], [[거제도]] 등 남부 지역에서만[* 제주도, 여서도, 거제도 내에서 희귀하지는 않다. 다만 낙엽층에서 살고 덩치가 작기 때문에 찾기 힘들다.] 서식하며 일본 혼슈 남부와 오키나와, 대만 등지에 서식한다. 생태정보 연구가 더 필요한 종으로, 정보가 부족하다. | [[왜좀사마귀]]로도 불리며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사마귀]] 중 최소종이다. 국내에서는 [[여서도]], [[제주도]], [[거제도]] 등 남부 지역에서만[* 제주도, 여서도, 거제도 내에서 희귀하지는 않다. 다만 낙엽층에서 살고 덩치가 작기 때문에 찾기 힘들다.] 서식하며 일본 혼슈 남부와 오키나와, 대만 등지에 서식한다. 생태정보 연구가 더 필요한 종으로, 정보가 부족하다. | ||
==상세== | |||
크기는 수컷은 13~17mm 암컷은 15~20mm이며 몸은 황갈색 또는 암갈색이며 어두운 얼룩무늬가 흩어져 있다. 날개는 암컷과 수컷 모두 퇴화되어 작은 흔적만 남아있지만 대만에서 긴 날개가 달린 수컷이 발견된 바 있다. | |||
주로 후박나무, 구실잣밤나무 등이 우거져 그늘진 상록활엽수림의 나무나 바위, 낙엽층에서 발견된다. 유충은 보통 7월에서 8월, 성충은 8월에서 12월에 주로 볼 수 있다. 알집은 작고 바위나 나무껍질 등에 만들며 길게 늘어진 실 모양 돌기가 있다. 약간의 서식환경 변화에도 매우 민감하며 [[일본]]에서는 서식지 분단과 고립 등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가 진행중이다. 파리나 [[귀뚜라미]] 약충 등 활엽수림의 작은 곤충들을 사냥한다. 활동 및 사냥 장소로는 풀이나 나무 위보다는 땅바닥을 선호한다. | |||
---- | ---- | ||
[[분류:좁쌀사마귀속]] | [[분류:좁쌀사마귀속]] |
2024년 1월 15일 (월) 21:06 판
좁쌀사마귀 (왜좀사마귀) - | ||
---|---|---|
학명 | Amantis nawai (Shiraki, 1908) | |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
문 | 절지동물문Arthropoda | |
강 | 곤충강Insecta | |
목 | 사마귀목Mantodea | |
과 | 사마귀과Mantidae | |
속 | 좁쌀사마귀속Amantis | |
종 | 좁쌀사마귀A. nawai |
개요
왜좀사마귀로도 불리며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사마귀 중 최소종이다. 국내에서는 여서도, 제주도, 거제도 등 남부 지역에서만 제주도, 여서도, 거제도 내에서 희귀하지는 않다. 다만 낙엽층에서 살고 덩치가 작기 때문에 찾기 힘들다. 서식하며 일본 혼슈 남부와 오키나와, 대만 등지에 서식한다. 생태정보 연구가 더 필요한 종으로, 정보가 부족하다.
상세
크기는 수컷은 13~17mm 암컷은 15~20mm이며 몸은 황갈색 또는 암갈색이며 어두운 얼룩무늬가 흩어져 있다. 날개는 암컷과 수컷 모두 퇴화되어 작은 흔적만 남아있지만 대만에서 긴 날개가 달린 수컷이 발견된 바 있다.
주로 후박나무, 구실잣밤나무 등이 우거져 그늘진 상록활엽수림의 나무나 바위, 낙엽층에서 발견된다. 유충은 보통 7월에서 8월, 성충은 8월에서 12월에 주로 볼 수 있다. 알집은 작고 바위나 나무껍질 등에 만들며 길게 늘어진 실 모양 돌기가 있다. 약간의 서식환경 변화에도 매우 민감하며 일본에서는 서식지 분단과 고립 등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가 진행중이다. 파리나 귀뚜라미 약충 등 활엽수림의 작은 곤충들을 사냥한다. 활동 및 사냥 장소로는 풀이나 나무 위보다는 땅바닥을 선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