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카 프랜시스 스펜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width=100><#000000><-999> {{{+2 {{{#ffffff '''Queen Erika''' }}}}}} ||
||<width=100><#000000><-999> {{{+2 {{{#ffffff '''Queen Erika''' }}}}}} ||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999> [[파일:에리카2.png]] ||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999> [[파일:에리카3.png]] ||
||<-3><#8699ba> {{{#ffffff '''이름'''}}} || 에리카 프랜시스 스펜서 [br] {{{-1 Erika Frances Spencer}}} ||
||<-3><#8699ba> {{{#ffffff '''이름'''}}} || 에리카 프랜시스 스펜서 [br] {{{-1 Erika Frances Spencer}}} ||
||<-3><#8699ba> {{{#ffffff '''출생'''}}} || 2023년 2월 21일 [br] {{{-1 프로이센 베를린 국립병원}}} ||
||<-3><#8699ba> {{{#ffffff '''출생'''}}} || 2023년 2월 21일 [br] {{{-1 프로이센 왕국 베를린 베를린궁전}}} ||
||<-3><#8699ba> {{{#ffffff '''사망'''}}} || X [br] {{{-1 X}}} ||
||<-3><#8699ba> {{{#ffffff '''사망'''}}} || X [br] {{{-1 X}}} ||
||<-3><#8699ba> {{{#ffffff '''장례식'''}}} || X [br] {{{-1 X}}} ||
||<-3><#8699ba> {{{#ffffff '''장례식'''}}} || X [br] {{{-1 X}}} ||
18번째 줄: 18번째 줄:


대영제국 [[찰스 1세]]의 왕비.
대영제국 [[찰스 1세]]의 왕비.
2023년 7월 1일 72세의 나이로 왕비로 즉위한 [[대영제국 국왕의 배우자]]. 역대 영국 국왕 중 '''가장 고령(73세)'''으로 즉위한 [[찰스 1세]] 처럼 카밀라 역시 역대 영국 왕비 중 '''가장 고령(72세)'''으로 즉위한 왕비다. 또한 역사상 최초로 외국인 출신 왕비이다.
2023년 7월 1일 72세의 나이로 왕비로 즉위한 [[대영제국 국왕의 배우자]]. 역대 영국 국왕 중 '''가장 고령(73세)'''으로 즉위한 [[찰스 1세]] 처럼 에리카 역시 역대 영국 왕비 중 '''가장 고령(72세)'''으로 즉위한 왕비다. 또한 '''역사상 최초로 귀족 및 외국인 출신 왕비'''이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서론'''=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서론'''=


'''엘리자베스 왕비'''는 2022년 12월 30일, 다람쥐 가문의 토그와 디보 사이에서 태어나 부유하게 자랐으며 2023년 1월 16일, 웨일스의 공자던 조지와 결혼하여 왕실에 입성한 인물이다. 귀족에 준하는 영애였으며 훗날 시아버지 헨리 3세의 서거로 영국 왕비가 되지만 67세라는 이른 나이로 세상을 떠나게 된다. 그녀는 스포츠에 열정적이였다.
'''에리카 왕비'''는 2023년 2월 21일, 프로이센 왕국의 공녀로 태어나 귀족으로 부유하게 자랐으며 2023년 4월 2일, 웨일스 공이던 찰스와 결혼하여 왕실에 입성한 인물이다. 에리카 왕비의 시기때는 영국 '''사교계'''가 다시 활성화되고 있었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작위'''=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작위'''=
{{인용문|'''어니스트 왕실훈장 수훈자, 헨리 3세 왕실훈장 수훈자, 국왕 폐하의 영광스러운 추밀원의 위원이신 엘리자베스 왕비 폐하'''|공식적인 칭호 }}
{{인용문|'''가터 훈장의 기사, 엉겅퀴 훈장의 기사, 로열 빅토리아 훈장의 수훈자, 어니스트 왕실 훈장의 회원, 찰스 왕실 훈장의 회원, 국왕 폐하의 영광스러운 추밀원의 위원이신 에리카 왕비 폐하'''|공식적인 칭호 }}


|| '''문장''' || [[파일:보우스라이언23.png]] ||
|| '''문장''' || [[파일:왕비문장3.png]] ||
|| '''모노그램''' || [[파일:엘리자베스1.jpeg]] ||
|| '''스코틀랜드 문장''' || [[파일:왕비문장4.png]] ||
|| '''모노그램''' || [[파일:카밀라에리카모노그.jpeg]] ||
|| '''영국 표준 왕비기''' || [[파일:웨일스공비기.png]] ||
|| '''스코틀랜드 표준 왕비기''' || [[파일:웨일스공비기3.png]]] ||
|| '''영국 왕비 가터배너''' || [[파일:웨일스공비가터배너.png]] ||


'''* 아너러블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The Honourable Elizabeth Bowes-Lyon (2022년 12월 30일 ~ 2023년 1월 16일)'''
'''* 프로이센의 에리카 공녀 전하 Her Royal Highness Princess Erika of Prussia (2023년 2월 21일 ~ 2023년 4월 2일)'''
'''* 웨일스 공자비 전하 Her Royal Highness Princess Elizabeth of Wales (2023년 1월 16일 ~ 2023년 2월 10일)'''
'''* 웨일스 공비 전하 Her Royal Highness The Princess of Wales (2023년 4월 2일 ~ 2023년 7월 1일)'''
'''* 웨일스 공비 전하 Her Royal Highness The Princess of Wales (2023년 2월 10일 ~ 2023년 3월 10일)'''
  '''· 체스터 백작 부인 Countess of Chester (2023년 4월 2일 ~ 2023년 7월 1일)'''
  '''· 체스터 백작 부인 Countess of Chester (2023년 2월 10일 ~ 2023년 3월 10일)'''
'''* 콘월 공작 부인 전하 Her Royal Highness The Duchess of Cornwall (2023년 4월 2일 ~ 2023년 7월 1일)'''
'''* 콘월 공작 부인 전하 Her Royal Highness The Duchess of Cornwall (2023년 2월 10일 ~ 2023년 3월 10일)'''
  '''* 스코틀랜드에서는 로스시 공작 부인 전하 Her Royal Highness The Duchess of Rothesay (2023년 4월 2일 ~ 2023년 7월 1일)'''
  '''* 스코틀랜드에서는 로스시 공작 부인 전하 Her Royal Highness The Duchess of Rothesay (2023년 2월 10일 ~ 2023년 3월 10일)'''
   '''· 캐릭 백작 부인 Countess of Carrick (2023년 4월 2일 ~ 2023년 7월 1일)'''
   '''· 캐릭 백작 부인 Countess of Carrick (2023년 2월 10일 ~ 2023년 3월 10일)'''
   '''· 렌프루 남작 부인 Baroness of Renfrew (2023년 4월 2일 ~ 2023년 7월 1일)'''
   '''· 렌프루 남작 부인 Baroness of Renfrew (2023년 2월 10일 ~ 2023년 3월 10일)'''
   '''· 아일즈의 레이디 Lady of the Isles (2023년 4월 2일 ~ 2023년 7월 1일)'''
   '''· 아일즈의 레이디 Lady of the Isles (2023년 2월 10일 ~ 2023년 3월 10일)'''
   '''· 스코틀랜드 왕자비 겸 섭정공 Princess of Scotland and a Regent (2023년 4월 2일 ~ 2023년 7월 1일)'''
   '''· 스코틀랜드 왕자비 겸 섭정공 Princess of Scotland and a Regent (2023년 2월 10일 ~ 2023년 3월 10일)'''
'''* 왕비 폐하 Her Majesty The Queen (2023년 7월 1일 ~ 현직)'''
'''* 왕비 폐하 Her Majesty The Queen (2023년 3월 10일 ~ 2023년 4월 19일)'''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생애'''=
 
{{인용문| '''소임(所任)은 성품(性品)과 인품(人品)을 다스려서 세손 전하가 영국 국왕이 되시면 왕비(王妃)로써의 책무(責務)를 다할것입니다.''' | '''간택 단자를 넣은 이유''' }}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어린 시절'''==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어린 시절'''==


[[파일:어린시절엘리자베스왕비.png]]  
[[파일:에리카유년시절.png]]  
{{인용문|'''유년기 시절''' }}
{{인용문|'''유년기 시절''' }}


2022년 12월 30일, 다람쥐 가문의 장남인 토그와 그의 부인 디보 사이에서 장녀로 태어났다. 아버지 도그가 귀족에 준하는 공직자였기 때문에 자신 또한 귀족적인 삶을 살수 있었으며, 곱게 자랐다고 알려져있다. 런던 시민들중 높은 상류층에 속했고, 동물 사업 및 부동산 사업 등을 통하여 자신의 재산을 꾸려나가기 시작한다.
프로이센의 에리카 공녀는 2023년 2월 21일 프로이센 베를린 궁전에서 태어났다. 공녀라 엄연히 귀족이지만, '''왕실 공주 대우'''를 받았다. 에리카 공녀는 프로이센 왕궁에서 귀족 영애로서의 삶을 평범하게 보냈다. '''그러다 영국 왕실과 프로이센 왕실이 정략 결혼 계약을 맺게 되었다.''' 에리카와 찰스는 거의 만나보지도 못했으나, [[어니스트 1세]] 국왕의 지지와 승인하에 정략 결혼이 이루어졌다. 에리카 공녀는 베를린에서 런던으로 향했으며, [[클래런스 하우스]]에서 웨일스 공 찰스를 만났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결혼'''==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웨일스 공비'''==
 
2023년 1월 4일, 왕위계승서열 2위던 왕세손 조지가 20대가 다가오자, 에드워드 5세 국왕의 지지와 승인을 얻은 캐롤라인 왕비가 왕세손빈 간택단자를 공지하였다.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다람쥐는 왕세손빈 간택단자를 넣었으며 버킹엄궁전에 입궁하였다. 캐롤라인 왕비와 시녀들은 용모와 상식 등을 고려하여 후보들을 간추렸는데,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다람쥐를 주시하던 캐롤라인 왕비는 당시 11세던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다람쥐를 영국의 왕세손빈으로 책봉하였다. 세손빈의 재산 대부분이 왕실에 흡수되었는데, 그중 라인코리아의 돈도 속해져 있어 소송이 있기도 하였다.
 
1월 중순부터 진행되던 [[텍사스 공화국]]과의 전쟁 우려속에서, 엘리자베스 공자비의 어머니던 디보가 텍사스의 간첩으로 밝혀지며 직위를 상실하고 노역형을 받아 왕실과 정부로부터 가문이 위기를 맞이한다. 에드워드 5세와 캐롤라인 왕비는 직접 나서 디보를 엄벌하였으며 다람쥐 가문을 영국 사회에서 고립 시키고자 하였다.
 
[[파일:어니스트와 엘리자베스결혼식.png]]
{{인용문|'''웨일스 공자 조지와 웨일스 공자비 엘리자베스의 결혼식''' }}


2023년 1월 16일, 결혼식이 버킹엄 궁전내에서 비공개로 치루어졌다. 이때 엘리자베스 공자비의 어머니던 디보 부인이 에드워드 5세 국왕과 캐롤라인 왕비에게 시비를 털고 무례없는 짓을 하자 궁인들이 디보 부인의 '''머리채'''를 잡고 버킹엄 궁전 밖으로 끌여냈다. 왕세손빈의 친모가 그리 끌려 나가는 모습에 참석객들이 당황했으나 엘리자베스 공자비는 어머니를 부끄러워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자신의 가문과 연을 끊을려고 준비를 시작했다. '''실제로 그녀가 죽기전까지 다람쥐 가문과 접촉 한번 없었다.'''
[[파일:찰스에리카결혼식.png]]
{{인용문|'''웨일스 공 찰스와 웨일스 공비 에리카의 결혼식''' }}


결혼식이 끝나고 합궁을 치룰려하였는데 조지 공자가 엘리자베스 공자비를 보고도 무시한채 먼저 자러가며 당시 신부던 엘리자베스 공자비가 큰 모욕감을 받아, '''자신의 거처에서 차마 말할수 없는 행위들을 하였다.''' 정식 합궁이 있기 전 한양 곳곳에 천민촌에 가 불순한 행위들을 하였다.
당시 영국은 [[어니스트 1세]] 국왕의 장남이자 장차 미래의 국왕이 될 [[웨일스 공]] 찰스가 과연 어떤 여성을 비(妃)로 맞이할지가 초미의 관심사였다. 영국 왕실은 2023년 4월 1일 웨일스 공 찰스와 에리카 공녀의 약혼을 공식 발표하였다.


그리고 당일 어머니던 디보가 웨일스 공자비인 엘리자베스에게 자신의 딸이란 이유로 반말, 품위 없는 짓을 계속하였다. 아무리 자신의 장녀여도 계급제 국가인 영국에서 '''미래 왕비''' 에게 그리 무엄하게 구는 것은 '''위법행위'''였다. 이에 캐롤라인 왕비는 왕실의 법도를 바로 세우고자 디보를 영국 귀족사회에서 완전히 배제시킨다고 여러 제재를을 내렸다. 엘리자베스 공자비는 사실 이러한 명령으로 꼴보기 싫은 가문과 대화도 안해도 되니 좋아했던 것 같다.
다음날인 4월 2일 전세계 수백 명의 인구가 지켜보는 가운데 웨스트민스터사원에서 웨일스 공 찰스와 웨일스 공비 에리카의 결혼식이 거행되었다. 이때 '''찰스는 21세, 에리카는 20세였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웨일스 공비'''==
[[파일:메리공녀탄생.png]]  
{{인용문|'''메리 공녀의 탄생''' }}


[[파일:엘리자베스웨일스공비1.png]]  
2023년 4월 8일, 결혼한지 일주일이 되던날 에리카 공비는 장녀로 웨일스의 메리 공녀를 낳았다. 여성 후계자가 태어난 것은 [[엘리자베스 6세]] 이후 거의 '''1년만이였다.''' 다음날 메리의 세례식이 웨스트민스터사원에서 거행되었으며 웨일스 공 부부는 참가하였다.
{{인용문|'''웨일스 공비 시절의 초상화''' }}


2023년 2월 10일, 시할아버지인 에드워드 5세 국왕이 승하하며 '''웨일스 공비'''가 되었다. 2023년 2월 20일에 장남이 태어났으며, 이름을 찰스 필립 아서 조지로 지었다. 결혼후 1달이 넘어서야 태어난 아들이기에 많은 사랑을 받을줄 알았으나, 웨일스 공 부부는 많아지는 공무에 아들을 볼 시간이 없었다.
웨일스 공비 에리카는 캐롤라인 대왕대비, 애들레이드 왕대비, 엘리자베스 왕비가 4월에 연달아 승하하며 유일한 최고위층 여성으로써, 영국 왕실 내조를 다스리기 시작한다. 공비는 [[어니스트 1세]] 국왕의 승인을 받아 폐지된 영국 사교계를 부활시켰으며 매달 1번씩 사교무도회를 세인트 제임스 궁전에서 개최하였다.


[[파일:엘리자베스웨일스공비2.png]]
웨일스 공비 에리카는 음악에 관심이 많아, 오페라 하우스를 자주 방문하기도 하였다.  
{{인용문|'''에든버러의 방문하는 엘리자베스 공비''' }}


3월 6일에 웨일스 공 조지와 웨일스 공비 엘리자베스는 헨리 3세 국왕의 재위 25일 경축일인 실버 주빌리를 기념하여 에든버러를 방문하였다. 에든버러 광장에 도착한 웨일스 공 부부는 많은 시민들과 인사를 나누었으며, 인근 제철소를 방문하여 노동자들을 격려하였고 수많은 노동자들과 악수를 하였다. 제철소를 둘러본 웨일스 공과 웨일스 공비는 런던으로 복귀하였다.  
5월 19일 장녀인 메리 공녀와 에든버러 공작 해리슨 사이에서 쌍둥이 왕자가 태어난다. 왕자의 이름은 '''에드워드 공자'''와 '''[[허드슨 앨버트 크리스티안 에드워드]] 공자'''이다. 웨일스 공비 에리카는 이로서 두명의 손주가 생겼다.


웨일스 공비는 클래런스 하우스에서 BBC 이사장 패튼과 언론시스템 발전 등 다양한 대화를 나누었으며, 웨일스 공비로써 공식 석상에서 업무를 보는일이 많아졌다. 헨리 3세 국왕은 이에 기뻐하며 3월 10일 엘리자베스 웨일스 공비에게 헨리 3세 왕실 훈장을 수여하였다. 웨일스 공비로써 이제 막 업무를 보기 시작했으나, 영국 왕비가 되어버렸다.
2023년 6월 말, [[어니스트 1세]]에 의하여 에리카 공비는 가터 기사단 기사 및 엉겅퀴 기사단 기사로 임명되었다. 왕비도 아닌 왕세자비가 가터 기사단에 임명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 웨일스 공비 에리카의 입지는 더욱 더 커져갔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영국 왕비'''==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영국 왕비'''==


2023년 3월 10일 오후 10시 30분에 시아버지인 헨리 3세 국왕이 향년 72세로 예상과 달리 빨리 승하하였다. 엘리자베스 공비는 곧 바로 43세의 나이로 '''영국 왕비가 되었다.'''
[[파일:에리카즉위사진1.png]]  
 
{{인용문|'''즉위위원회에 참석한 에리카 왕비''' }}
[[파일:어니스트대관식.png]]  
{{인용문|'''대관식을 마치고 촬영하는 어니스트 국왕과 엘리자베스 왕비''' }}
3월 18일에 웨스트민스터사원에서 대관식이 거행되었다. 왕비의 대관식이 거행되는 것은 스티아나 왕비 이후 2번째이다. [[조지 7세]]의 왕비던 메리 왕비때부터 왕비가 대관식에서 충성 맹세를 하며 왕비의 입지가 날이 갈수록 커졌지만, 그때만 해도 왕비의 호칭은 전하였으며 웨일스 공보다 취급받지 못했다. 하지만 [[윈저 2세]]의 왕비던 스티아나 왕비때 왕비도 국왕과 같이 레갈리아를 수여받고 즉위함으로써 이후 왕비의 대우와 지위가 아주 높아졌다.


[[파일:대회장에 방문 엘리자베스왕비.png]]  
2023년 7월 1일, [[어니스트 1세]] 국왕이 사망하고 남편인 [[찰스 1세]]가 왕위에 올랐다. 버킹엄 궁전에서 발표한 성명서에 따라 Queen Erika(에리카 왕비)로 불리게 되었다. [[어니스트 1세]]의 왕비인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다람쥐]] 이후 '''약 80일'''만의 나타난 [[대영제국 국왕의 배우자]]이다.
{{인용문|'''피파 대회장에 방문하는 엘리자베스 왕비''' }}
엘리자베스 왕비는 스포츠업에 관심이 매우 많았으며 [[김사람]] 이라는 인물과 함께 스포츠업을 도모하며 피파 모바일 대회 등을 개최하였다. 스포츠업에 매우 관심이 많아 다양한 행사에 참여하고 기획중이며 왕비로써 영국 컨텐츠에 큰 공을 세웠으며 이에 [[어니스트 1세]] 국왕은 어니스트 왕실 훈장을 엘리자베스 왕비에게 수여하였다.


[[파일:어니스트 회혼례1.jpeg]]  
에리카 왕비는 왕비나 여왕을 보좌하는 역할을 하는 명예직 귀족 여성인 시녀를 [[세인트 제임스 궁전]]에 두었으며, [[세인트 제임스 궁전]]을 왕비의 제2거처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인용문|'''회혼례 기념 사진'''}}
4월 18일 어니스트 국왕과 엘리자베스 왕비가 '''결혼 100일 회혼례'''를 맞이하였다. 국왕 부부는 10대 중후반때 결혼하였기 때문에 영국 역사상 '''결혼 기간이 가장 긴 왕족'''이 될 예정이였다. 어니스트 국왕의 뜻에 따라 회혼례 행사는 기존에 비해선 성대하게 치루어졌으며 첫 공식 행사로 감사성찬례가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열렸다. 감사성찬례에 참여한 국왕 부부는 예술학당에 방문하여 음악을 감상하였으며, 궁에 따르면 버킹엄 궁전에서 선물을 주고 받았다고 한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사망'''==
[[파일:찰스1세와에리카.png]]  
{{인용문|'''버킹엄 궁전 발코니에 있는 찰스 국왕과 에리카 왕비''' }}


[[파일:버킹엄엘리자베스.png]]  
2023년 7월 8일, 토요일 오후 9시에 '''[[찰스 1세]] [[대영제국 국왕]]과 [[에리카 프랜시스 스펜서]] 왕비의 대관식이 거행되었다.''' 에리카 왕비는 '''퀸 메리 왕관'''을 쓰고 대관 의식을 치루었으며, '''새 왕비의 탄생'''을 알렸다.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다람쥐]] 왕비의 대관식 이후 '''113일만에 열린 왕비의 대관식'''이다. 이후 군기 분열식에 영국 왕비로써 참가하였다.
{{인용문|'''추모 열기가 가득한 버킹엄궁전'''}}


4월 18일 엘리자베스 왕비가 뇌졸중에 걸렸는데, 19일이 되자 급격히 쇠약해지더니 뇌출혈과 쇼크로 인해 결국 4월 19일 오후 11시에 버킹엄궁에서 향년 67세로 사망 하였다. 41일간 왕비로 재위했으며 그녀는 96일간 왕실 여인으로 살았다. 결혼 생활은 오래 갈 것으로 보였으나 101일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7월 10일, 찰스 국왕과 에리카 왕비가 '''결혼 100일 기념일인 회혼례'''를 맞이하였다. [[어니스트 1세]] 국왕과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다람쥐]] 왕비의 회혼례 이후 '''84일'''만이다.


4월 20일 시할머니 캐롤라인 왕비도 승하하며, 오후 11시 윈저성 세인트 조지 예배당에서 공동장례식이 거행됬으며 에드워드 5세 기념관에 안장되었다.
7월 15일, 즉위 이후 찰스 국왕과 첫 의회 개원식을 참가하였다. 당일 손주인 '''에든버러 공자 에드워드와 캐서린 엘리자베스 미들턴의 약혼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다음날인 16일 '''증손주 제임스'''를 얻음과 동시에 손주 에드워드의 성대한 결혼식이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거행되었다. 영국에서 오랜만에 열리는 로열 웨딩인데다 그 결혼의 신랑이 차차기 국왕인 만큼 화려함이 많았다.


이후 약 3개월만인 2023년 7월 1일에 [[어니스트 1세]]가 향년 109세를 일기로 사망하면서 부부가 나란히 안장되었다.
7월 29일, '''영국 왕비 신분'''으로 첫 사교 시즌을 [[세인트 제임스 궁전]]에서 개최하였다. 이후 다음날 [[윈저성]]에서 열린 가터 데이에 참가하였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가족 관계'''=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가족 관계'''=
----
----
||<tablebordercolor=#003893; width=600px; table align=center><#003893><:> {{{#ffffff '''자녀'''}}} ||<#003893><:> {{{#ffffff '''이름'''}}} ||<#003893><:> {{{#ffffff '''출생'''}}} ||<#003893><:> {{{#ffffff '''배우자/자녀'''}}} ||
||<tablebordercolor=#003893; width=600px; table align=center><#003893><:> {{{#ffffff '''자녀'''}}} ||<#003893><:> {{{#ffffff '''이름'''}}} ||<#003893><:> {{{#ffffff '''출생'''}}} ||<#003893><:> {{{#ffffff '''배우자/자녀'''}}} ||
||<#E6FFFF> 1남 ||<#E6FFFF> [[찰스 1세]] <br> {{{-2 (Charles, Prince of Wales)}}} ||<#E6FFFF> 2023년 02월 20일 ||<#E6FFFF> [[에리카 프랜시스 스펜서]] <br> 에든버러 공작부인 메리 공주 ||
||<#E6FFFF> 1녀 ||<#E6FFFF> 프린세스 로열 메리 <br> {{{-2 (The Princess Royal)}}} ||<#E6FFFF> 2023년 4월 8일 ||<#E6FFFF> 에든버러 공작 해리슨 <br> 케임브리지 공작 에드워드 윌리엄 리처드 루이, 웨식스 백작 [[허드슨 앨버트 크리스티안 에드워드]] ||


영국 왕실은 현재 [[어니스트 1세]] 국왕과 엘리자베스 왕비의 혈통이다. 엘리자베스 왕비가 속한 다람쥐 가문은 토끼 가문, 켄터베리 가문, 윈체스터 가문, 왓 가문 등 다양한 가문들과 엮여있는데, 엘리자베스 왕비의 조상이 [[빅토리아 3세]] 여왕의 국서인 앨버트 공이며 왕실과 역사적으로 오랜 인연이 있는 가문이다.
찰스 국왕과 에리카 왕비의 자손으로는 장녀 1명 손자 2명, 증손주 1명이 있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여담'''=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여담'''=


・'''19일 당일, 사망 몇시간전 버킹엄 궁전에서 어니스트 국왕과 다퉜다고 한다.'''  
・'''측근들에 의하면 에리카는 아주 사려 깊고 참을성이 많은 성격이라고 한다.'''  


[[분류:대영제국]]
[[분류:대영제국]]

2024년 3월 9일 (토) 22:17 기준 최신판

Royal Coat of Arms of the United Kingdom.svg
대영제국 왕비
[ 펼치기 · 접기 ]
Queen Erika
에리카3.png
이름에리카 프랜시스 스펜서
Erika Frances Spencer
출생2023년 2월 21일
프로이센 왕국 베를린 베를린궁전
사망X
X
장례식X
X
묘소X
재위기간2023.07.01~ 현직
신체167cm
배우자찰스 1세
자녀장녀 메리
아버지X
어머니X
형제자매X
종교영국 성공회

대영제국 찰스 1세의 왕비. 2023년 7월 1일 72세의 나이로 왕비로 즉위한 대영제국 국왕의 배우자. 역대 영국 국왕 중 가장 고령(73세)으로 즉위한 찰스 1세 처럼 에리카 역시 역대 영국 왕비 중 가장 고령(72세)으로 즉위한 왕비다. 또한 역사상 최초로 귀족 및 외국인 출신 왕비이다.

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 서론

에리카 왕비는 2023년 2월 21일, 프로이센 왕국의 공녀로 태어나 귀족으로 부유하게 자랐으며 2023년 4월 2일, 웨일스 공이던 찰스와 결혼하여 왕실에 입성한 인물이다. 에리카 왕비의 시기때는 영국 사교계가 다시 활성화되고 있었다.

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 작위

가터 훈장의 기사, 엉겅퀴 훈장의 기사, 로열 빅토리아 훈장의 수훈자, 어니스트 왕실 훈장의 회원, 찰스 왕실 훈장의 회원, 국왕 폐하의 영광스러운 추밀원의 위원이신 에리카 왕비 폐하 — 공식적인 칭호
문장왕비문장3.png
스코틀랜드 문장왕비문장4.png
모노그램카밀라에리카모노그.jpeg
영국 표준 왕비기웨일스공비기.png
스코틀랜드 표준 왕비기웨일스공비기3.png]
영국 왕비 가터배너웨일스공비가터배너.png

* 프로이센의 에리카 공녀 전하 Her Royal Highness Princess Erika of Prussia (2023년 2월 21일 ~ 2023년 4월 2일) * 웨일스 공비 전하 Her Royal Highness The Princess of Wales (2023년 4월 2일 ~ 2023년 7월 1일) · 체스터 백작 부인 Countess of Chester (2023년 4월 2일 ~ 2023년 7월 1일) * 콘월 공작 부인 전하 Her Royal Highness The Duchess of Cornwall (2023년 4월 2일 ~ 2023년 7월 1일) * 스코틀랜드에서는 로스시 공작 부인 전하 Her Royal Highness The Duchess of Rothesay (2023년 4월 2일 ~ 2023년 7월 1일)'· 캐릭 백작 부인 Countess of Carrick (2023년 4월 2일 ~ 2023년 7월 1일)'· 렌프루 남작 부인 Baroness of Renfrew (2023년 4월 2일 ~ 2023년 7월 1일)'· 아일즈의 레이디 Lady of the Isles (2023년 4월 2일 ~ 2023년 7월 1일)'· 스코틀랜드 왕자비 겸 섭정공 Princess of Scotland and a Regent (2023년 4월 2일 ~ 2023년 7월 1일)

* 왕비 폐하 Her Majesty The Queen (2023년 7월 1일 ~ 현직)

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 어린 시절

에리카유년시절.png

유년기 시절

프로이센의 에리카 공녀는 2023년 2월 21일 프로이센 베를린 궁전에서 태어났다. 공녀라 엄연히 귀족이지만, 왕실 공주 대우를 받았다. 에리카 공녀는 프로이센 왕궁에서 귀족 영애로서의 삶을 평범하게 보냈다. 그러다 영국 왕실과 프로이센 왕실이 정략 결혼 계약을 맺게 되었다. 에리카와 찰스는 거의 만나보지도 못했으나, 어니스트 1세 국왕의 지지와 승인하에 정략 결혼이 이루어졌다. 에리카 공녀는 베를린에서 런던으로 향했으며, 클래런스 하우스에서 웨일스 공 찰스를 만났다.

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 웨일스 공비

찰스에리카결혼식.png

웨일스 공 찰스와 웨일스 공비 에리카의 결혼식

당시 영국은 어니스트 1세 국왕의 장남이자 장차 미래의 국왕이 될 웨일스 공 찰스가 과연 어떤 여성을 비(妃)로 맞이할지가 초미의 관심사였다. 영국 왕실은 2023년 4월 1일 웨일스 공 찰스와 에리카 공녀의 약혼을 공식 발표하였다.

다음날인 4월 2일 전세계 수백 명의 인구가 지켜보는 가운데 웨스트민스터사원에서 웨일스 공 찰스와 웨일스 공비 에리카의 결혼식이 거행되었다. 이때 찰스는 21세, 에리카는 20세였다.

메리공녀탄생.png

메리 공녀의 탄생

2023년 4월 8일, 결혼한지 일주일이 되던날 에리카 공비는 장녀로 웨일스의 메리 공녀를 낳았다. 여성 후계자가 태어난 것은 엘리자베스 6세 이후 거의 1년만이였다. 다음날 메리의 세례식이 웨스트민스터사원에서 거행되었으며 웨일스 공 부부는 참가하였다.

웨일스 공비 에리카는 캐롤라인 대왕대비, 애들레이드 왕대비, 엘리자베스 왕비가 4월에 연달아 승하하며 유일한 최고위층 여성으로써, 영국 왕실 내조를 다스리기 시작한다. 공비는 어니스트 1세 국왕의 승인을 받아 폐지된 영국 사교계를 부활시켰으며 매달 1번씩 사교무도회를 세인트 제임스 궁전에서 개최하였다.

웨일스 공비 에리카는 음악에 관심이 많아, 오페라 하우스를 자주 방문하기도 하였다.

5월 19일 장녀인 메리 공녀와 에든버러 공작 해리슨 사이에서 쌍둥이 왕자가 태어난다. 왕자의 이름은 에드워드 공자허드슨 앨버트 크리스티안 에드워드 공자이다. 웨일스 공비 에리카는 이로서 두명의 손주가 생겼다.

2023년 6월 말, 어니스트 1세에 의하여 에리카 공비는 가터 기사단 기사 및 엉겅퀴 기사단 기사로 임명되었다. 왕비도 아닌 왕세자비가 가터 기사단에 임명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 웨일스 공비 에리카의 입지는 더욱 더 커져갔다.

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 영국 왕비

에리카즉위사진1.png

즉위위원회에 참석한 에리카 왕비

2023년 7월 1일, 어니스트 1세 국왕이 사망하고 남편인 찰스 1세가 왕위에 올랐다. 버킹엄 궁전에서 발표한 성명서에 따라 Queen Erika(에리카 왕비)로 불리게 되었다. 어니스트 1세의 왕비인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다람쥐 이후 약 80일만의 나타난 대영제국 국왕의 배우자이다.

에리카 왕비는 왕비나 여왕을 보좌하는 역할을 하는 명예직 귀족 여성인 시녀를 세인트 제임스 궁전에 두었으며, 세인트 제임스 궁전을 왕비의 제2거처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찰스1세와에리카.png

버킹엄 궁전 발코니에 있는 찰스 국왕과 에리카 왕비

2023년 7월 8일, 토요일 오후 9시에 찰스 1세 대영제국 국왕에리카 프랜시스 스펜서 왕비의 대관식이 거행되었다. 에리카 왕비는 퀸 메리 왕관을 쓰고 대관 의식을 치루었으며, 새 왕비의 탄생을 알렸다.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다람쥐 왕비의 대관식 이후 113일만에 열린 왕비의 대관식이다. 이후 군기 분열식에 영국 왕비로써 참가하였다.

7월 10일, 찰스 국왕과 에리카 왕비가 결혼 100일 기념일인 회혼례를 맞이하였다. 어니스트 1세 국왕과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다람쥐 왕비의 회혼례 이후 84일만이다.

7월 15일, 즉위 이후 찰스 국왕과 첫 의회 개원식을 참가하였다. 당일 손주인 에든버러 공자 에드워드와 캐서린 엘리자베스 미들턴의 약혼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다음날인 16일 증손주 제임스를 얻음과 동시에 손주 에드워드의 성대한 결혼식이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거행되었다. 영국에서 오랜만에 열리는 로열 웨딩인데다 그 결혼의 신랑이 차차기 국왕인 만큼 화려함이 많았다.

7월 29일, 영국 왕비 신분으로 첫 사교 시즌을 세인트 제임스 궁전에서 개최하였다. 이후 다음날 윈저성에서 열린 가터 데이에 참가하였다.

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 가족 관계


자녀이름출생배우자/자녀
1녀프린세스 로열 메리
(The Princess Royal)
2023년 4월 8일에든버러 공작 해리슨
케임브리지 공작 에드워드 윌리엄 리처드 루이, 웨식스 백작 허드슨 앨버트 크리스티안 에드워드

찰스 국왕과 에리카 왕비의 자손으로는 장녀 1명 손자 2명, 증손주 1명이 있다.

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 여담

측근들에 의하면 에리카는 아주 사려 깊고 참을성이 많은 성격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