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영제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2명의 중간 판 2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dd0c39; max-width: 400px; min-width: 400px; float: right"
+
[[파일: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png|20px]] {{{-1 대영제국의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영국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 #082c87; color: #fff" | <big><big>대영제국</big></big><br>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dd0c39; max-width: 355px; min-width: 355px; float: right"
 +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 #082c87; color: #fff" | <big><big>대영제국</big></big><br>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
 
|-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082c87; color: #fff"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082c87; color: #fff"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
 
|-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image: #fff; color: #fff" | [[파일:Flag of the United Kingdom.svg]]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image: #fff; color: #fff" | [[파일:Flag of the United Kingdom.svg]]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image: #fff; color: #fff" | [[파일:Royal Coat of Arms of the United Kingdom.svg]]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image: #fff; color: #fff" | [[파일:Royal Coat of Arms of the United Kingdom.svg]]
| colspan="1" width="34%" style="background-image: #fff; color: #fff" | [[파일:Royal Coat of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png]]
+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image: #fff; color: #fff" | [[파일:영국 스코틀랜드 국장.png]]
 
|-
 
|-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 #00247D; color: #fff" | 국기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 #00247D; color: #fff" | 국기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 #00247D; color: #fff" | 스코틀랜드 외에서의 국장
+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 #00247D; color: #fff" | 국장
! colspan="1" width="34%" style="background: #00247D; color: #fff" | 스코틀랜드 내부에서 사용되는 국장
+
! colspan="1" width="34%" style="background: #00247D; color: #fff" | 스코틀랜드에서의 국장
 
|-
 
|-
 
|-
 
|-
42번째 줄: 44번째 줄:
 
|-
 
|-
 
! colspan="2" width=25%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수도
 
! colspan="2" width=25%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수도
| rowspan="2" align=left | [[런던]]
+
| rowspan="2" align=left | 런던
 
|-
 
|-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최대 도시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최대 도시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면적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면적
| align=left | 243,891km<sup>2</sup>
+
| align=left | 315,093㎢<sup>2</sup>
|-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구성국
 
| align=left |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
 
 
|-
 
|-
 
|}
 
|}
62번째 줄: 62번째 줄:
 
! rowspan="4"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인구
 
! rowspan="4"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인구
 
! colspan="1"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인구
 
! colspan="1"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인구
| align=left | 68,497,913명 <sup>( 2021년 )</sup>
+
| align=left | 67,736,802명 <sup>( 2024년 )</sup>
 +
|-
 +
! colspan="1"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인종구성
 +
| align=left | 백인 85%<br>아시아인 8%<br>흑인 4%<br>혼혈 2%<br>기타 1%
 
|-
 
|-
 
! colspan="1"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인구밀도
 
! colspan="1"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인구밀도
| align=left | 278/ km<sup>2</sup>
+
| align=left | 278명/<sup>2</sup>
|-
 
! colspan="1"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인종구성
 
| align=left | 백인 84%<br>아시아인 8%<br>흑인 5%<br>혼혈 2%<br>기타 2%
 
 
|-
 
|-
 
! colspan="1"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출산율
 
! colspan="1"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출산율
| align=left | 1.95명 <sup>( 2021년 )</sup>
+
| align=left | 1.39명 <sup>( 2024년 )</sup>
 
|-
 
|-
 
! colspan="2" width=25%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공용어
 
! colspan="2" width=25%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공용어
78번째 줄: 78번째 줄: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공용문자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공용문자
 
| align=left | 라틴 문자
 
| align=left | 라틴 문자
|-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지역어
 
| align=left | [[웨일스어]] 등
 
 
|-
 
|-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종교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종교
| align=left | 국교 : '''영국 성공회'''<br>성공회 58%<br>무종교 26%<br>이슬람교 5%<br>힌두교 1%<br>기타 10%
+
| align=left | 국교 : '''영국 성공회(잉글랜드 국교회)'''<br>성공회 38%<br>무종교 46%<br>가톨릭 10%<br>이슬람 3%<br>힌두교 2%<br>기타 1%
 
|-
 
|-
 
|}
 
|}
 
|-
 
|-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F142B 50%, #CF142B 50%); color: #fff"  | 정치 및 경제
+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F142B 50%, #CF142B 50%); color: #fff"  | 정치
 
|-
 
|-
 
| colspan="3" style="font-weight:" |
 
| colspan="3" style="font-weight:" |
93번째 줄: 90번째 줄: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여왕<br>( 국가 원수 )
+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정치 체제
| align=left | {{{#FF5555 '''𝐄𝐥𝐢𝐳𝐚𝐛𝐞𝐭𝐡 𝐕𝐈'''}}}
+
| align=left | {{{#000000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양원제}}}
 
|-
 
|-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운영자<br>( 운영부 수장 )
+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국왕<br>( 국가원수 )
| align=left | {{{#FF5555 '''𝐋𝐨𝐮𝐢𝐬'''}}}
+
| align=left | {{{#FF5555 '''[[메리]]'''}}}
 
|-
 
|-
! rowspan="5"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국가<br>요인
+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운영부장<br>( 운영부 수장 )
! colspan="1"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총리<br>( 정부 수반 )
+
| align=left | {{{#FF5555 '''[[루이스]]'''}}}
| align=left | {{{#FF5555 '''𝐀𝐢𝐝𝐞𝐧'''}}}
 
 
|-
 
|-
! colspan="1"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부총리<br>( 정부 부수반 )
+
! rowspan="5"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정부<br>요인
| align=left | {{{#FF5555 '''𝐋𝐢𝐧𝐞𝐤𝐨𝐫𝐞𝐚'''}}}
+
! colspan="1"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총리<br>( 정부수반 )
 +
| align=left | {{{#FF5555 '''[[모리슨]]'''}}}
 
|-
 
|-
! colspan="1"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상원의장
+
! colspan="1"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귀족원 의장
| align=left | {{{#FF5555 '''유에'''}}}
+
| align=left | {{{#FF5555 '''[[홀베크]]'''}}}
 
|-
 
|-
! colspan="1"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하원의장
+
! colspan="1"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서민원 의장
| align=left | {{{#FF5555 '''세아'''}}}
+
| align=left | {{{#FF5555 '''[[유다르]]'''}}}
 
|-
 
|-
 
! colspan="1"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고등법원장
 
! colspan="1"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고등법원장
| align=left | {{{#FF5555 '''리즈 트러스'''}}}
+
| align=left | {{{#FF5555 '''[[토별]]'''}}}
 +
|-
 +
! colspan="1"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부총리<br>( 정부부수반 )
 +
| align=left | {{{#FF5555 '''마리아'''}}}
 
|-
 
|-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여당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여당
| align=left | {{{#000000 '''[[보수선진연대]]'''}}}
+
| align=left | {{{#000000 '''[[자유당]]'''}}}
 +
|-
 +
|}
 +
|-
 +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F142B 50%, #CF142B 50%); color: #fff"  | 경제
 +
|-
 +
| colspan="3" style="font-weight:" |
 +
{| class="wikitable sor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border: 1px solid #dddddd"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경제체제<br>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경제체제<br>
| align=left | {{{#FF5555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 align=left | {{{#000000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화폐
+
! colspan="2" style="background:#00247D; color: #fff" | 통화
| align=left | {{{#000000 '''[[원 파운드 스털링]]'''}}}
+
| align=left | {{{#000000 파운드 스털링(£)}}}
 
|-
 
|-
 
|}
 
|}
 
|}
 
|}
  
{{{+2 이 문서는 대영제국의 공식고위문서입니다.}}} [br] 관계자 외의 사용자께서는 수정을 금합니다
+
||<bgcolor=#082c87> {{{#FFFFFF '''위치'''}}} ||
 
+
||<bgcolor=#FFFFFF> [[File:British Map222.png|800px]] ||
||<bgcolor=#082c87> {{{#FFFFFF '''연합왕국 및 잉글랜드의 수도 런던 (London)'''}}} ||
 
||<bgcolor=#FFFFFF> [[File:1663061564801.png|800px]] ||
 
 
 
||<bgcolor=#082c87> {{{#FFFFFF '''스코틀랜드의 수도 에든버러 (Edinburgh)'''}}} ||
 
||<bgcolor=#FFFFFF> [[File:Maxresdefaul1t.jpg|400px]] ||
 
 
 
||<bgcolor=#082c87> {{{#FFFFFF '''웨일스의 수도 카디프 (Cardiff)'''}}} ||
 
||<bgcolor=#FFFFFF> [[File:카디프자유여행 영국여행 웨일즈 카디프볼거리 카디프여행 (3).jpg|400px]] ||
 
 
 
||<bgcolor=#082c87> {{{#FFFFFF '''북아일랜드의 수도 벨파스트 (Belfast)'''}}} ||
 
||<bgcolor=#FFFFFF>[[File:2136deb08e70b7c1e6975a1c577a451d58fd85391dfc1d34858ad2f72187cb96e7390c5444b6b2fb6204176886d09254fbbdf243352253b8570522720f455f814d989edb4231218bd8721754812151b9a2b2c6d68041997ccdef4f2c4f1a7765ca02c8ec2533b83d5ca80.jpeg|400px]] ||
 
 
 
[목차]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개요'''=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또는 영국(英國)은
 
서유럽의 북해의 서쪽에 위치한 입헌군주제 국가이다.수도는 런던이며 영어로는 흔히 United Kingdom, UK, Britain으로 줄여 부른다.
 
올림픽 등의 스포츠에서는 다소 부정확하지만 관행상 Great Britain이라고 부른다.
 
 
 
대영제국은 2013년 9월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2014년 1월 1일 전제군주제 국가 카서버 왕국으로 건국되었다.
 
이후 몇년간 절대 왕정을 유지했으며 2016년엔 왕위를 두고 내전이 있었고 2017년 10월에 왕권합의서를 맺으며 입헌군주제가 시작되었다. 얼마 안가서 2017년 12월 말에 공화정이 되었으며 2018년 5월에 블랙조직으로부터 식민지배를 당한다. 이후 9월에 독립을 맞이하고 내전에서 승리한 민주당이 정권을 잡았으며 G서버 전쟁, 레전드 종합서버 전쟁을 거쳐 2019년 5월 9일 민주화 운동이 있었으며 2019년부터 2020년 초까진 국가가 외국에 휘둘리며 혼란이 컸었다.
 
 
 
2020년 4월 영국이라는 체제가 성립되고 거대한 식민제국을 꾸렸으나 클랜계와의 분쟁으로 11월 멸망하게 된다. 이후 영국인들은 대조선국에서 망명생활을 하다가 2021년 4월 다시 영국을 건국했으며 스페인 제국, 라리마 제국, 이탈리아 공화국 등이 몰락하고 텍사스 공화국이 이제 막 다시 정비되는 시기에 카국의 강자로 자리 잡았다. 2021년 8월 빅토리아 시대로 외교적으로 최전성기를 맞이했고 텍사스와의 냉전에서 승리, 스페인과의 냉전에서 승리하였다. 2022년 4월에 몇개월전부터 뿌리 박힌 T라인과의 전쟁에서 포츠머스조약으로 불평등 조약을 체결했고 그걸 두고 2022년 7월까지 여러 분쟁이 있었다.
 
 
 
T라인과 전쟁에서 막강한 피해를 입은 영국은 엘리자베스 5세 여왕과 앤 여왕 시기에 복구되었으며 시스템은 더욱 발전되었고 2022년 9월부터 카국 대부분이 쇠퇴하자 유일히 컨텐츠나 시스템 부분에서 우수한 대영제국으로 이민오는 카국인들, 밴드인들이 많았고 건재하게 유지되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영국 본토인 그레이트브리튼 섬과 아일랜드 섬 동북부에 걸쳐 있으며, 그레이트브리튼 섬의 면적은 209,331 km²로 한반도보다 약간 작고, 북아일랜드의 면적은 14,130 km²이며 기타 영국령으론 지브롤터가 존재한다.
 
크게 영국 본토인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와 바다 건너 아일랜드 섬의 북아일랜드 네 지역으로 나누어진다. 아일랜드 공국도 존재하며 이외에도 영국 왕실 영지인 맨 섬, 저지 섬, 건지 섬이 존재하고 지중해에 지브롤터가 존재한다.
 
현재의 4개의 연합구성국인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는 모두 한 채팅방으로 통합되어있다.
 
 
 
[[https://open.kakao.com/o/gV4SdJ7d|오픈채팅방 링크]]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상징'''=
 
 
 
국호, 국기, 국장, 국가에 대한 설명이다. [ 아래 참고 ]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국호==
 
 
 
원어인 영어로 공식 국호는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로 현존 국가의 영어 국호 중에서 가장 길다. 국호의 앞부분을 따서 United Kingdom, 이니셜로는 UK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국적이나 문화를 부르는 형용사는 Great Britain에서 유래한 British로 쓴다. 또한 맨 섬이나 포클랜드 섬처럼 영국의 땅이나 왕국의 일부가 아닌 경우의 국민들도 British 국적을 갖고 있다. 또한 자국인의 명칭도 British가 아니라 Briton으로 따로 있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관련 단어가 독보적으로 많은 나라다.
 
 
 
영어로는 공식 국호가 길고 복잡하지만 대한민국에서의 한국어 공식 국호는 그냥 영국이다. 영어 공식 국호에 대한 직역은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대브리튼과 북아일랜드의 연합왕국 등 고유 명사나 띄어쓰기, 조사까지도 번역하는 사람마다 제각각이게 되는데 공식적으로 정해진 것이 없으므로 어느 쪽도 틀린 것은 아니다. 단 구를 잘못 나눠서 그레이트브리튼 연합왕국과 북아일랜드라고 하면 의미가 달라지므로 틀린 번역이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국기==
 
||<bgcolor=#082c87> {{{#FFFFFF '''연합왕국 전역에서 쓰이는 국기, 유니온잭'''}}} ||
 
||<bgcolor=#FFFFFF>  [[파일:UK.png]]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82c87><tablebordercolor=#082c87><rowbgcolor=#082c87> {{{#ffffff 구성국}}} || {{{#ffffff 국기}}} ||
 
|| 잉글랜드 || [[File:En.png|50px]] ||
 
|| 스코틀랜드 || [[File:스코틀랜드.png|50px]] ||
 
|| 웨일스 || [[File:웨일스기.png|50px]] ||
 
|| 북아일랜드 || [[File:Ni.png|50px]] ||
 
 
 
잉글랜드의 국기는 하얀 바탕에 적십자를 새긴 성 조지 깃발이다.
 
 
 
스코틀랜드의 국기는 파란색 바탕에 X자 모양의 백십자 깃발로 '성 안드레아 십자가'라고 불린다. 예수의 12사도였던 안드레아가 X자형 십자가형을 당해 순교했다는 전승으로 인해 그렇게 칭하고 있는 것이다. 영국의 연합 국기에서는 중앙에 둘로 끊기게 된 것 때문에 다소 변형이 되어 있고 여기에 잉글랜드의 적십자가 추가되면서 변형이 되어있었다.
 
 
 
북아일랜드의 국기는 2020년 중반, 빅토리아2세 여왕 시절 아일랜드가 독립하면서 국기가 번경되었다.
 
 
 
웨일스에서 통용되는 국기로 웨일스 국기는 2020년 4월 영국이 막 설립되었을때 사설 인생서버인 호주에서 사용되었다.
 
이후 고증을 맞추어가며 웨일스의 국기로 2020년 말에 지정되었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국장==
 
||<bgcolor=#082c87> {{{#FFFFFF '''스코틀랜드 이외 지역에서 쓰이는 국장'''}}} ||
 
||<bgcolor=#FFFFFF> [[File:Royal Coat of Arms of the United Kingdom.svg|200px]] ||
 
 
 
||<bgcolor=#082c87> {{{#FFFFFF '''스코틀랜드 관할지역에서 쓰이는 국장'''}}} ||
 
||<bgcolor=#FFFFFF> [[File:Royal Coat of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png|200px]] ||
 
 
 
영국의 국장은 영국 군주의 문장으로 정한다.
 
방패 주변에 새겨진 문구인 Honi soit qui mal y pense도 역시 프랑스어로 '악한 일을 하는 자에게 재앙이 온다'라는 뜻으로 가터 훈장의 표어에서 유래했다.
 
 
 
스코틀랜드 관련 정부 기관에서는 이렇게 다른 문장을 쓴다. 이쪽은 위의 국장에 비해 스코틀랜드 왕국의 국장에 좀 더 가깝고 위의 국장이 잉글랜드의 국장을 1순위로 반영하는데 비해 여기서는 스코틀랜드의 국장이 1순위다. 왕관도 스코틀랜드 양식으로 바뀌고 아래의 문구도 스코틀랜드 왕국의 표어인 NEMO ME IMPUNE LACESSIT(라틴어: 그 누구도 나를 경솔히 자극할 수 없다)로 바뀐다. 또한 위에 IN DEFENS라는 표어도 추가되는데 스코틀랜드 왕국의 또 다른 표어인 In My Defens God Me Defend(스코트어: 내 안의 하느님이 나를 보호한다)를 줄인 것이다. 중앙의 방패 문양(국왕의 문장)도 스코틀랜드 왕국 것과 잉글랜드 왕국 것의 위치가 바뀐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국가==
 
||<bgcolor=#082c87> {{{#FFFFFF '''God Save The Queen'''}}} ||
 
||<bgcolor=#FFFFFF>  [[파일:UK.png]] ||
 
 
 
'''𝐆𝐨𝐝 𝐒𝐚𝐯𝐞 𝐭𝐡𝐞 𝐐𝐮𝐞𝐞𝐧''' 은 영국의 국가이자 영연방에서 왕실 찬가로 쓰이는 노래이며 군주가 남성일경우 King으로 번경된다.
 
''''''하느님, 여왕폐하를 지켜주소서'''''' 라는 뜻이다.
 
 
 
영국은 관습법도 중시하는 나라이므로 성문화되어 국가로 지정된 바는 없다. 이는 선언 또는 이용 등 관습 자체로 국가로 인정 받을 수 있는 영국의 법적 전통이자 관습법의 특성이다. 따라서 법에는 써져 있지 않으나 사실상 공식 국가라고 할 수 있다.
 
영국 내에서는 God save the King보다는 덜하지만 Rule Britannia와 I Vow To Thee My Country 역시 대영제국의 공식행사장에서 자주 불리는 국가상징곡이다. 보통 "준 국가"라고 한다.
 
 
 
[[파일:GodSaveTheQueenBE.mp3|섬네일]]
 
 
 
[ '''표준가사''' ] [ 군주가 국왕일경우 '''KING''', 여왕일경우 '''QUEEN'''으로 번경된다 ]
 
[ 1절 ]
 
God save our gracious King,
 
하느님, 자비로우신 우리의 국왕을 지켜주시고
 
Long live our noble King,
 
고귀한 우리의 국왕께서 만수무강하게 하소서
 
God save the King!
 
하느님, 우리의 국왕을 지켜주소서!
 
Send him victorious,
 
그에게 승리와
 
Happy and glorious,
 
행복과 영광을 주시고
 
Long to reign over us;
 
오랫동안 우리를 다스리게 하소서
 
God save the King!
 
하느님, 국왕을 지켜주소서!
 
[ 2절 ]
 
O Lord our God arise,
 
오 주님, 저희의 하느님, 일어나셔서
 
Scatter his enemies
 
우리 국왕의 적을 흩어버리시고
 
And make them fall;
 
쓰러지게 하소서
 
Confound their politics,
 
적들의 나라를 혼란케 하시고
 
Frustrate their knavish tricks,
 
그들의 간교한 계략을 좌절케 하소서
 
On Thee our hopes we fix,
 
오직 당신만을 우리가 믿사오니
 
God save us all!
 
하느님, 우리 모두를 지켜주소서!
 
[ 3절 ]
 
Thy choicest gifts in store
 
주께서 가지신 최고의 선물을
 
On him be pleased to pour;
 
그에게 기꺼이 내어주셔서
 
Long may he reign;
 
오랫동안 다스리게 하소서
 
May he defend our laws,
 
그에게 우리의 법을 수호하게 하시고
 
And ever give us cause
 
항상 우리로 하여금
 
With heart and voice to sing,
 
충심으로 목청껏 찬양할 수 있게 하소서
 
God save the King!
 
하느님, 국왕을 지켜주소서!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인문환경'''=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인구==
 
 
 
'''영국인''' 이란 영국 국적을 보유한 사람을 뜻하며 잉글랜드에 5600만명, 스코틀랜드에 540만명, 웨일스에 320만명, 북아일랜드에 180만명이 거주한다. 영국 국적을 보유한자는 카톡방내에서 180명 이상이며 영국 역사상 국적은 900명 이상이 취득했었다. 또한 카국에서 영국 국적을 따본적 없는사람은 희박할 정도로 카국에서 영국 출신이거나 영국에서 활동한사람이 매우 많은 편이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언어==
 
 
 
영국은 자국의 공용어를 법률로써 규정하지 않았지만 영어가 전국 공용어로 간주되어 널리 사용된다. 영국은 민족이 다른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등이 단일 국가로 통합된 국가기 때문에 각 지역별로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트어, 건지어, 저지어, 맨어, 웨일스어, 콘월어 등 다양한 언어들이 쓰이지만 인구가 많은 잉글랜드가 정치적인 주도권을 쥔데다가 한때 식민지를 엄청나게 만들어대면서 세계를 주도했던 적도 있고 현재도 엘피스, 스웨덴, 미국, 스페인 등 영향력 있는 국가들의 최대 언어로 쓰이기 때문에 영어가 공용어로 압도적인 지위를 가진다. 대부분의 영국인들은 지역과 상관없이 영어를 모국어로 삼고 영어가 아닌 언어를 모국어로 쓴다고 해도 영어는 기본적으로 익히는 이중언어 화자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영국 채팅방에서 말투, 하는말이 다른걸 볼수있는데 영국 귀족언어 ~ 영국 서민언어으로 분류한다.
 
왕실과 귀족, 특권층들은 귀족언어에 속하는 말투를 사용하며 대부분 평민, 노동자들은 서민언어에 속한 말투를 사용한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종교==
 
 
 
영국은 유럽에서 종교 사정이 복잡한 나라이다. 영국 전체의 국교는 2020년 2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선언에 따라 '''영국성공회''' [ 잉글랜드 성공회 ] 로 정해졌으며 스코틀랜드는 스코틀랜드 장로회가 공식적인 종교로 간주된다. 영국 관습 및 교회법에 따라서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 지역 모두를 영국 성공회[잉글랜드 성공회]를 국교로 정하며 스코틀랜드 지역을 제외하곤 영국 성공회를 무조건 믿어야한다고 나와있다.[ 관습일뿐이며 영국 헌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아 의무는 아니지만 현재 대다수 국민이 믿고 있다 ]
 
 
 
'''영국성공회''' 에 수장은 '''영국 군주''' 이며 명목상 수장일뿐이다. 켄터베리 대주교와 요크 대주교 또한 군주 보다 아래인 위치에 있다. 실질적으론 켄터베리 대주교와 요크 대주교가 관리하는데 켄터베리 대주교는 잉글랜드 남부와 런던을 관리하며 요크 대주교는 잉글랜드 중부, 북부를 관리한다. 성공회가 소유한 건물은 '''웨스트민스터 사원,''' '''세인트마거릿교회,''' '''세인트폴대성당''' 이 있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행정구역==
 
 
 
영국의 행정구역은 '''잉글랜드''' 에 런던, 버밍엄, 맨체스터, 요크, 시티오브런던 '''스코틀랜드''' 에 에든버러, 글래스고 '''웨일스''' 에 카디프 '''북아일랜드''' 에 벨파스트가 있다. 이 지역구들은 영국 하원의원들이 시장으로써 겸임중이기도 하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해외영토===
 
 
 
British Overseas Territories. 대부분이 대영제국의 식민지였던 곳으로 2020년 11월 클랜계 분쟁 이후에도 독립하지 않고 영국의 영토로 남아있는 지역이다. 대영제국 식민지였던 시절에는 대부분 왕령 식민지(Crown colony)였던 곳이고 2021년 5월에 관련 법령이 개정되어 영국 속령(British Dependent Territory)이 되었다가 다시 2022년 4월에 법령 개정을 통해 현재의 명칭으로 확립되었다.
 
 
 
해외영토로 지브롤터가 존재한다. 지브롤터는 2020년 11월 클랜계 분쟁때 잠시 점거되었다가 2021년때부터 다시 영국의 해외영토로 복귀했다. 지브롤터는 영국의 공항으로 이용되며 자치정부가 존재한다. 자치정부는 선출직이 아니라 영국 운영부에 임명으로 구성된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영국 왕실령====
 
 
 
영국 국토가 아닌 영국 왕실이 소유한 땅이다. 역사적으로 복잡한 이력을 가지고 있어서 자치권을 가지고 있고 독립적인 정부를 유지하고 있다. 이 지역의 사람들은 영국 시민권자가 되며 영국법에 적용받지 않는 지역도 있다.
 
 
 
왕실 소유이기 때문에 영국이 왕정을 폐지하고 공화제 국가로 바뀐다 해도 영국 군주는 왕실 영토로 군주로써 재위할수 있다.
 
 
 
왕실령으론 현재 영국판 모의전인[카문]으로 운영되는 맨섬과 자치 영주와 세습귀족들이 있는 아일랜드 공국이 존재한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정치'''=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의회주권주의==
 
 
 
영국은 '''의회주권주의''' (parliamentary sovereignty 또는 parliamentary supremacy)를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입법을 독점하는 의회의 권한이 다른 정치기관보다 막강하며, 절대적이고 무한하다고 표현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의회에서 통과시킬 수 있는 법안의 주제에는 제한이 없으며, 이 법안을 어떻게 통과시킬지도 전적으로 의회 마음대로고, 통과된 법안은 의회에서 폐지할 때까지 존속하며, 다른 정치기관은 의회의 입법권을 침해할 수 없다. 예시로 영국 법원은 의회에서 통과시킨 법을 심의는 할 수 있으나, 위헌판결을 내려 무효화할 수 없고, 단순히 헌법과 상충된다고 권고할 수 있을 뿐이다. 심지어 의회가 "아무개는 죄인이다"라고 규정하는 법률(사권박탈법; Bill of attainder)을 통과시켜 수사도 재판도 없이 처벌할 수도 있다.
 
 
 
법률에 헌법 사항을 규정하고 있고, 의회제(의원내각제)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법률을 제정할 권한을 가진 의회의 힘은 영국에선 절대적이다. 의회제(의원내각제) 특성상 의회의 다수당이 내각을 구성할 권한을 가지기 때문에 의회 다수당의 세력을 배경으로 하는 내각, 즉 정부의 힘은 막강하고 그 권력을 오용하거나 남용할 방법이 무한정으로 존재한다. 역사적으로 국왕과 귀족(의회) 간의 처절한 권력 투쟁 과정에서 민주주의가 뿌리내린 영국이기 때문에 그런 오용과 남용은 잘 일어나진 않지만, 하지만 그 가능성은 있기 때문에 헌법을 제정하자는 움직임이 적게나마 일부 국민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영국 국왕==
 
 
 
||<width=100><#00247D><-999> {{{+2 {{{#ffffff '''제11대 대영제국 여왕'''}}}}}} ||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999> [[파일:다운로드파일 20220914 195815.jpg]] ||
 
||<width=100><#dd0c39><-999> {{{+2 {{{#FFFFFF '''𝐐𝐮𝐞𝐞𝐧 𝐨𝐟 𝐔𝐧𝐢𝐭𝐞𝐝 𝐊𝐢𝐧𝐠𝐝𝐨𝐦'''}}}}}} ||
 
||<-3><#00247D> {{{#ffffff '''존함'''}}} || '''엘리자베스 6세''' [br] {{{-1 ''𝐄𝐋𝐈𝐙𝐀𝐁𝐄𝐓𝐇 𝐕𝐈 ''}}} ||
 
||<-3><#00247D> {{{#ffffff '''즉위'''}}} || '''2022년 8월 19일 ''' ||
 
||<-3><#00247D> {{{#ffffff '''경칭'''}}} || 여왕 폐하 ( Her Majesty ) ||
 
||<-3><#00247D> {{{#ffffff '''지위'''}}} || 대영제국과 영연방 왕국들의 국가원수 ||
 
||<-3><#00247D> {{{#ffffff '''관저'''}}} || 버킹엄 궁전, 잉글랜드 런던 ||
 
 
 
{{인용문|"'''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다.'''"|전통적인 영국식 군주제의 관습}}
 
 
 
'''1''' '''개요'''
 
영국 국왕은 영국의 군주로, 현 영국의 국가원수이다. 현임 국왕은 윈저 왕조의 엘리자베스 6세.
 
또 영국 국왕은 맨 섬의 군주(영주)다. 맨 섬은 영국령이 아니라 영국 왕실령으로써 영국이 군주제를 폐지해도 맨 섬의 영주로 존재할 수 있다.
 
 
 
'''2''' '''위상'''
 
2020년 초 당시만 해도 영국은 좀 소규모 국가였지만 2020년 말부터 국력이 매우 강해지게 되면서 영국 국왕의 위상도 올라갔고 2021년이 되며 카국 강대국의 군주인만큼 그 위상은 대단했으며 2021년 당시 카국 군주중 가장 위상이 높았다.
 
카국 왕실중 대명사라고 봐도 될 정도로 전세계의 모든 왕실들 중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다.
 
 
 
'''3''' '''권한'''
 
 
 
1. 영국 국왕은 '영국 성공회의 최고통치자(Supreme Governor of the Church of United Kingdom)'직을 겸한다. 이렇게 국왕이 영국 국교인 영국 성공회의 최고직위를 겸하기 때문에 영국 국왕은 신앙의 수호자(Defender of the Faith/Fidei Defensor)라는 칭호도 가진다.
 
다만 영국 국왕은 영국 성공회 지도자일 뿐, 외국에 있는 성공회 전체의 수장은 영국 국왕이 아닌 켄터베리 대주교이다.
 
 
 
2. 영국 국왕은 영연방의 수장(Head of the Commonwealth)이다. 다만 상징일 뿐이고 실질적인 업무는 영연방 사무총장이 처리한다.
 
그런데 왕위와 달리 영연방 수장직은 세습이라고 규정된 바가 없다. 영연방 내에서 영국에 영향력이 매우 큰 만큼 역대 영국 군주들이 세습받았고 따지는 국가가 없어 별 말 없이 승계하고 있다.
 
 
 
3. 영국 국왕은 영국군의 통수권자이기도 하고 또한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의 통수권자이기도 하다. 현재는 명예수장으로 있지만 전시 상황이거나 국가 존립 위기일 경우 직접 군대를 지휘할 권한을 가진다.
 
 
 
4. 영국은 헌법에 따라 국왕이 소유하는 대권의 범위를 정한다.
 
국왕의 권한은 막강하며, 현대 영국 국왕은 절대 군주의 권한을 포기한 게 아니라 내각에 그저 맡겨놨을 뿐이다. 종류는 다음과 같다.
 
동의권(King's/Queen's Consent), 군 통수권, 총리를 임명하고 경고하며 사퇴를 권하는 권한, 총리 지명권, 의회 해산권, 의회 소집권, 의회 휴회권, 추밀원 회의개최권, 안보에 관하여 칙령 선포, 영국 특별 기업에 승인과 국영회사 승인 등을 다룬 특허권, 왕실 가족과 궁내부 인사를 임명하고 해임할 권한, 사면권과 특별사면권 및 사면특권령, 법률안 동의/거부/보류권, 전쟁 선포 및 강화, 조약 체결 및 무효화, 작위 및 훈장을 수여, 기사직 임명, 고등법원장 임명, 왕실령에 한하여 통치권을 가짐, 왕족의 자손에 대한 친권 등이 있다.
 
 
 
국왕의 권한은 국가비상사태 일 경우 더욱 막강해진다. 영국 역사상 국가비상사태때 정부가 반국가행위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아 2022년 초 국왕이 전시권을 위임받았다. 국가비상사태일경우 내각을 마음대로 임명하고 해임하며 의회 승인없이 전쟁을 선포하고 조약을 체결할수 있으며 영국군을 직접 지휘하고 군에 관한 모든 권한을 가진다.
 
 
 
국왕은 이론상 법 위에서 군림하고 있어 사법적 제재를 받지 않는다. 즉 처형을 포함한 어떠한 범죄를 저질러도 형사처벌을 받지 않는 완전 면책 특권을 가지고 있다. 영국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낼 수 있지만 국왕을 상대로 소송을 낼 수는 없다. 또한 영국 여권은 국왕의 이름으로 발행되고 국왕 본인은 여권을 소지하지 않는다. 국왕이 여권을 소지한다는 것은 엄연히 신하인 공항청 인사들에게 여행을 가도 되겠냐고 허락을 받는 것이 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다만 영국 국왕은 권한을 남용하지 않으며 입헌군주제의 틀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래서 오늘날 국왕의 조칙은 형식적인 것으로 보통 내각이 빠른 법안 처리를 위해 국왕의 이름을 빌려 제정된 초안을 국왕 앞에서 낭독하고 국왕은 '승인되었다'고 말하는 형식적인 재가를 하는 형태가 많다.
 
 
 
영연방 왕국들은 영국과는 별도의 헌법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각국의 헌법에 따라 국왕대권이 규정된다. 캐나다의 경우 영국처럼 국왕대권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아 이론적으로 영국 국왕이 영국에서 행사할 수 있는 국왕대권을 캐나다에서도 캐나다 국왕으로서 행사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영연방 왕국에서는 국왕대권의 범위를 구체적이고 좁게 설정해 국왕대권을 크게 제한한다. 또한 영연방 국가 가운데 영국 국왕에 충성할 의무가 없는 나라에는 영국 국왕의 조칙은 당연히 강제적이지 않다.
 
 
 
국왕의 명예를 더럽히거나 왕실 행사를 방해하는 등에 행위를 저지를경우 체포되어 징역형을 받을수 있다.
 
 
 
5. 영국 국왕은 개인 재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필요할 경우 영국 정부로부터 지원받는다.
 
국왕은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고 헌법에 그 권리가 보장되어있다. 왕실의 성채와 그림, 액자 등 모두 국왕의 소유이지만
 
그렇다고 마음대로 팔순 없다. 이론상 국왕 개인 소유라고 보지 않기 때문이다.
 
 
 
'''4''' '''왕위계승'''
 
 
 
영국의 왕위 계승은 국왕이 사망할경우 진행된다. 대부분 국왕의 장남인 프린스 오브 웨일스[왕세자]가 즉위한다.
 
왕위 계승 서열은 직계자 순위대로 하며 기존엔 여성이 남성에게 왕위가 밀려났지만 2021년 8월 빅토리아 3세 여왕에 의해
 
영국 내에서 살리카법이 폐지되면서 여성이 먼저 태어나면 여성이 왕위에 오른다. 왕위계승을 할려면 영국 성공회 신자여야하며, 다른 종교가 없어야하고, 전과가 없어야하며, 단일 국적자, 이혼을 하지 않은자 여야한다. 영국에 왕위를 이을 직계자가 없을때도 있었다.
 
가장 최근이 2021년 5월 무지개 3세 여왕때인데 무지개 3세 여왕이 서거하고 장남 찰스 왕자가 왕위에 오를려했지만
 
왕위에 오를 조건이 충족되지 않아 사촌인 뷔르크 앨버트 경이 왕위에 올랐다. [ 앨버트 1세 ]
 
 
 
현재 왕실법에 따라 직계자가 없으면 총리의 동의하에 왕실 최고 어른이 사촌중 군주를 지목할수 있으며 최고 어른과 사촌 마저 없다면
 
의회에서 새로운 왕을 선출할수 있다. 섭정, 국가원수 대행, 퇴위 및 양위, 신앙, 의무 등에 관한 내용은 영국 본방 왕실법을 참고하라.
 
 
 
'''5''' '''역대 영국 국왕'''
 
 
 
'''2021년 4월부터 현재까지 윈저 왕조 국왕들의 기준이다'''
 
 
 
윈저 왕조 초대 국왕 - 에드워드 3세 [ 강종 국왕의 사촌동생 ]
 
재위 - 2021.4.3 ~ 2021.5.5 { 33일 }
 
묘 -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
 
 
 
2대 여왕 - 무지개 3세 [ 에드워드 3세의 장녀 ]
 
재위 - 2021.5.5 ~ 2021.5.20 { 16일 }
 
묘 -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
 
 
 
3대 국왕 - 앨버트 1세 [ 잔치국수 에든버러 공작의 사촌동생 ]
 
재위 - 2021.5.20 ~ 2021.6.23 { 34일 }
 
묘 -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
 
 
 
4대 국왕 - 헨리 1세 [ 앨버트 1세의 장남 ]
 
재위 - 2021.6.23 ~ 2021.7.30 { 39일 }
 
묘 -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
 
 
 
5대 여왕 - 빅토리아 3세 [ 헨리 1세의 장녀 ]
 
재위 : 2021.7.30 ~ 2021.10.17 { 80일 }
 
묘 -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
 
 
 
6대 국왕 - 조지 7세 [ 빅토리아 3세의 장남 ]
 
재위 : 2021.10.17 ~ 2021.12.21 { 66일 }
 
묘 -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
 
 
 
7대 국왕 - 에드워드 4세 [ 조지 7세의 장남 ]
 
재위 : 2021.12.21 ~ 2022.02.10 { 52일 }
 
묘 -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
 
 
 
8대 국왕 - 헨리 2세 [ 에드워드 4세의 장남 ]
 
재위 : 2022.02.10 ~ 2022.03.25 { 44일 }
 
묘 -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
 
 
 
9대 여왕 - 엘리자베스 5세 [ 말부 2세의 차녀 ]
 
재위 : 2022.03.25 ~ 2022.07.12 { 110일 }
 
묘 -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
 
 
 
10대 여왕 - 앤 [ 엘리자베스 5세의 장녀 ]
 
재위 : 2022.07.12 ~ 2022.08.19 { 39일 }
 
묘 -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
 
 
 
11대 여왕 - 엘리자베스 6세 [ 앤의 장녀 ]
 
재위 : 2022.08.19 ~ 재위중 { 31일째 재위중 }
 
묘 - X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추밀원==
 
 
 
영국 추밀원은 영국 군주의 자문 기관이다. 국왕(여왕)의 대권 행사에 관한 자문을 제공한다. 정식 명칭은 여왕 폐하의 가장 고결한 추밀원이며 영국 군주를 수장으로 두고 있다. 실질적인 회의를 주관하는건 서기인데 서기는 군주가 임명한다. 추밀원은 조지 7세 국왕때 만들어졌으며 군주가 모든 대권 행사를 하기전 추밀원을 거쳤다. 하지만 에드워드 4세 국왕때 불필요하다 느끼며 폐지했으며 엘리자베스 5세 여왕때 부활하여 군주가 결정이 어려울때 자문하는 기관으로 바뀌었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운영부==
 
 
 
{{인용문|'''"영국과 영국에 해당되는 모든 채팅방의 방장은 루이스로 사직하지 않는 한 평생 종신직이다."'''|영국 헌법 제 88조}}
 
 
 
영국 방장이자 운영자는 현재 '''루이스''' 로 2019년 1월 4일부터 현재까지 운영자 지위를 재임중이다. 운영자는 선거에 관한 모든 사무를 보고 선거관리위원회를 겸직한다. 또한 영연방 사무총장 및 영연방왕국 총독직을 겸임하고 운영부에 수장직을 겸임한다. 운영자는 임시 조치권을 보유해 긴급한 상황일 경우 추방할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경찰권도 가지고있다. 경찰권으로  질서를 유지시킬 의무가 있으며 그에 따른 권한도 부여된다. 그외에 컨텐츠를 기획하고 운영하며 공지를 수정하고 보안과 공항도 관리하며 총리의 제청하에 총독을 임명하고 헌법재판소를 겸임, 성명문과 뉴스를 제작하는 등 다양한 일을 진행중이다. 운영자는 정치적인 권한은 없으며 늘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운영자는 또한 군주와 동일하게 면책권을 가지고 있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행정부'''=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총리==
 
 
 
 
 
||<width=100><#00247D><-999> {{{+2 {{{#ffffff '''제17대 대영제국 총리'''}}}}}} ||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999> [[파일:이미지업로드 예정.png]] ||
 
||<width=100><#dd0c39><-999> {{{+2 {{{#FFFFFF '''𝐏𝐫𝐢𝐦𝐞 𝐌𝐢𝐧𝐢𝐬𝐭𝐞𝐫 𝐨𝐟 𝐔𝐧𝐮𝐭𝐞𝐝 𝐊𝐢𝐧𝐠𝐝𝐨𝐦'''}}}}}} ||
 
||<-3><#00247D> {{{#ffffff '''현직'''}}} || '''공석''' ||
 
||<-3><#00247D> {{{#ffffff '''취임일'''}}} || '''2022년 9월 16일 ''' ||
 
||<-3><#00247D> {{{#ffffff '''정당'''}}} || 보수선진연대 ||
 
||<-3><#00247D> {{{#ffffff '''관저'''}}} || 다우닝가 10번지 ||
 
 
 
Prime Minister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First Lord of the Treasury of the United Kingdom)
 
명목상 국가원수는 국왕이지만 실질적인 국가 지도자이자 정부수반은 실질적으로 하원이 선출하고 명목상 국왕이 임명하는 총리가 맡고 있으며 관저는 다우닝가 10번지이다. 현재 총리는 전당대회로 인하여 공석이다.
 
 
 
영국에서 총리는 수석재무상, 제1대 외무장경과 함께 제1재무경(First Lord of the Treasury)을 겸직한다. 그래서 영국 총리의 관저인 다우닝 가 10번지 건물은 본래 제1재무경의 관저에 속한다. 단, 그렇다고 해서 총리가 행정부의 재무부 장관직을 겸직한다는 뜻은 아니다. 재무부 장관은 제2재무경(Second Lord of the Treasury) 자리를 따로 겸직한다. 여기서 언급하는 제1, 2 재무경은 본래 중세 때부터 이어져 온 영국 왕실의 전통적인 관직인데, 근대의 의회제(의원내각제)로 발전하면서 총리 및 장관직과 연결된 것이다. 총리 외에도 영국 정부의 각종 직책들을 보면 이런 식으로 복잡하게 연계된 직책들이 적지 않다.
 
 
 
영국 총리직은 2020년 4월에 생겼다. 초대 총리는 준량이며 6월부터 왕의 권한 대부분이 총리에게 위임되어 오늘날의 권한으로 성장했다. 영국 총리직이 있기전엔 대통령직이 있었다. 2017년 12월 28일 혁명 이후 2020년 2월까지 영국은 림서버, 림나라로 불리며 공화제 국가였다. 이후 군주제가 복고되면서 대통령 권한 대부분이 왕실에게 위임되었다가 위에 말한 듯이 6월에 총리직에게 새로 위임되었다.
 
 
 
총리가 궐위될경우 부총리를 시작으로 권한과 직무를 대행한다. 총리가 사퇴할경우 집권정당에서 당수를 24시간내에 선출해야하며
 
그러지 않을경우 영국의 군주가 총리를 정당 내에서 지명할수 있다. 총리직은 입헌군주국인 영국의 총리 임명 권한은 전적으로 국왕에게 있다. 하지만 입헌군주제인 영국의 관습에 따라 국왕은 총선에서 하원 과반을 차지한 정당의 당수를 총리로 임명해야 한다.
 
총리는 영국 행정을 총 통할하기에 막강한 입김과 권한을 가지고 있다. 권한은 다음과 같다.
 
 
 
'''영국 총리의 권한'''
 
'''1. 행정부 수장으로써 행정각부를 통할함 '''
 
'''2. 내각을 구성하고 내각 회의를 소집'''
 
'''3. 하원 의회 해산권'''
 
'''4. 외교에 관한 통할'''
 
'''5. 내각 부서 수정 및 개편 권한'''
 
'''6. 군 통수권'''
 
'''7. 법률안 발의'''
 
'''8. 군주에게 조언할수 있음'''
 
'''9. 국민투표를 개최할수 있음'''
 
'''10. 예산을 구성할수 있음'''
 
'''11. 고등법원장과 BBC 이사장을 임명할수 있음
 
'''12. 경제시스템에 관해 결정 및 관리 '''''
 
 
 
역대 총리 목록은 영국 본방에서 확인하면 된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내각===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Her Majesty's Government'''
 
[ 군주가 남성이면 His, 여성이면 Her ]
 
 
 
그레이트 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 여왕 폐하의 정부
 
 
 
영국 내각은 영국 본토와 해외영토를 관할하는 영국의 중앙정부이다. 수장은 영국 총리이며, 총리와 내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처마다 직무가 정해져있으며 영국 행정권은 가진 기관이다.
 
 
 
부처는 다음과 같다.
 
 
 
'''부총리급'''
 
부총리 겸 외무장관
 
내각장관
 
 
 
'''장관급'''
 
내무장관
 
법무장관
 
재무장관
 
문화장관
 
 
 
'''차관급'''
 
경제수석비서관
 
왕립병원장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의회'''=
 
 
 
[[파일:대영제국의회.png]]
 
 
 
'''영국의 입법부''' 이며 의사당은 웨스트민스터 궁전이다.
 
정식 명칭은 Parliament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귀족원(상원)과 서민원(하원)의 양원제를 취하고 있으며 정치학 개론서에서 말하는 '웨스트민스터식 의회'는 영국 의회를 기본형으로 한 것이다.
 
 
 
||<bgcolor=#082c87> {{{#FFFFFF '''𝐏𝐚𝐥𝐚𝐜𝐞 𝐨𝐟 𝐖𝐞𝐬𝐭𝐦𝐢𝐧𝐬𝐭𝐞𝐫'''}}} ||
 
||<bgcolor=#FFFFFF> [[File:1663235887009.png|800px]] ||
 
 
 
||<bgcolor=#b50938> {{{#FFFFFF '''𝐇𝐨𝐮𝐬𝐞 𝐨𝐟 𝐋𝐨𝐫𝐝𝐬'''}}} ||
 
||<bgcolor=#FFFFFF> [[File:1663235888109.png|800px]] ||
 
 
 
||<bgcolor=#006e46> {{{#FFFFFF '''𝐇𝐨𝐮𝐬𝐞 𝐨𝐟 𝐂𝐨𝐦𝐦𝐨𝐧𝐬'''}}} ||
 
||<bgcolor=#FFFFFF> [[File:1663240309992.png|800px]] ||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정당==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사법부'''=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외교'''=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동군연합==
+
{{목차}}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영연방과의 관계===
+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ㅣ개요'''=
 +
<YouTube>https://youtu.be/P2IVWEyNngI?si=Tw91hrXn9o7O0WmU</YouTube>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영국 왕실의 참전==
+
'''영국 또는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은 서유럽에 위치한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국가이다.''' 수도는 런던이며 영어로는 흔히 United Kingdom, British Empire, UK, Britain으로 줄여 부른다. 한때 해가 지지 않는 나라라는 별명이 있었다. 2020년~2022년에 대영제국의 영토가 절정에 달했을 때 언제나 제국 영토의 어딘가는 낮이었기 때문이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사회'''=
+
영국은 '''연합왕국'''이라는 국가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영국의 본토는 각각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 네 지역으로 나누어진다. 이외에도 영국 왕실 영지인 맨 섬, 저지 섬, 건지 섬이 존재한다. 현재는 제국이 해제되었지만, 현재까지도 압도적인 영향력과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교육==
+
영국은 2014년 1월 1일 건국되어 2024년 1월 1일, '''건국 10주년'''을 맞이하였다. 수많은 역사가 흐른 뒤 현재까지도 [[카카오톡 가상국가]]의 1위를 차지하는 국가이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문화'''=
+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ㅣ영향력'''=
 +
<YouTube>https://youtu.be/SXx0GITDP-k?si=q_rsfC9d2WxTJtCm</YouTube>
 +
{{인용문|'''우리는 존재하지도 않는 패배 따위엔 관심 없습니다.'''| [[빅토리아 3세]] }}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컨텐츠==
+
2019년 이전까지는 '''엄청 작은 약소국이'''였으나, 2020년 문화영향력을 기반으로 급격히 커지면서 '''2021년~2022년에 최대의 전성기를 맞이했다.''' 하지만 2022년 중후반부터 태명라인 전쟁, 유토 전쟁, 러연 전쟁, 지속적인 태명라인의 침입 등이 발생하며 2023년 이후로는 옛 식민지들이 대부분 독립하면서 거대 식민제국으로서의 위상은 거의 잃어버렸다. 하지만 아직도 '''제국의 영향력이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 막강하다.''' 대영제국은 [[카카오톡 가상국가]] 발전에 있어, 단연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나라'''이다. 대영제국은 의회민주주의, 자본주의, 산업 혁명, 문화 콘텐츠, 언론, 각종 시스템 등등 수없이 많은 오늘날 카국의 보편 문화를 만들어 놓은 엄청난 문화력과 인력을 가졌고, 또 그것을 실현 가능하게 했던 실행력과 국력을 가졌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군사'''=
+
[[분류:대영제국]]

2024년 4월 4일 (목) 12:53 기준 최신판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png 대영제국의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영국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대영제국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Flag of the United Kingdom (3-5).svg Royal Coat of Arms of the United Kingdom (St Edward's Crown).svg 영국 스코틀랜드 국장.png
국기 국장 스코틀랜드에서의 국장
𝐃𝐢𝐞𝐮 𝐞𝐭 𝐌𝐨𝐧 𝐃𝐫𝐨𝐢𝐭
신과 나의 권리
상징
국가 God Save The Queen
국화 장미
국수 사자
국조 울새
지리
수도 런던
최대 도시
면적 315,093㎢2
인문환경
인구 인구 67,736,802명 ( 2024년 )
인종구성 백인 85%
아시아인 8%
흑인 4%
혼혈 2%
기타 1%
인구밀도 278명/㎢2
출산율 1.39명 ( 2024년 )
공용어 영어
공용문자 라틴 문자
종교 국교 : 영국 성공회(잉글랜드 국교회)
성공회 38%
무종교 46%
가톨릭 10%
이슬람 3%
힌두교 2%
기타 1%
정치
정치 체제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양원제
국왕
( 국가원수 )
메리
운영부장
( 운영부 수장 )
루이스
정부
요인
총리
( 정부수반 )
모리슨
귀족원 의장 홀베크
서민원 의장 유다르
고등법원장 토별
부총리
( 정부부수반 )
마리아
여당 자유당
경제
경제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통화 파운드 스털링(£)
위치
British Map222.png

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 ㅣ개요

영국 또는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은 서유럽에 위치한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국가이다. 수도는 런던이며 영어로는 흔히 United Kingdom, British Empire, UK, Britain으로 줄여 부른다. 한때 해가 지지 않는 나라라는 별명이 있었다. 2020년~2022년에 대영제국의 영토가 절정에 달했을 때 언제나 제국 영토의 어딘가는 낮이었기 때문이다.

영국은 연합왕국이라는 국가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영국의 본토는 각각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 네 지역으로 나누어진다. 이외에도 영국 왕실 영지인 맨 섬, 저지 섬, 건지 섬이 존재한다. 현재는 제국이 해제되었지만, 현재까지도 압도적인 영향력과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영국은 2014년 1월 1일 건국되어 2024년 1월 1일, 건국 10주년을 맞이하였다. 수많은 역사가 흐른 뒤 현재까지도 카카오톡 가상국가의 1위를 차지하는 국가이다.

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 ㅣ영향력

우리는 존재하지도 않는 패배 따위엔 관심 없습니다.
—  빅토리아 3세

2019년 이전까지는 엄청 작은 약소국이였으나, 2020년 문화영향력을 기반으로 급격히 커지면서 2021년~2022년에 최대의 전성기를 맞이했다. 하지만 2022년 중후반부터 태명라인 전쟁, 유토 전쟁, 러연 전쟁, 지속적인 태명라인의 침입 등이 발생하며 2023년 이후로는 옛 식민지들이 대부분 독립하면서 거대 식민제국으로서의 위상은 거의 잃어버렸다. 하지만 아직도 제국의 영향력이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 막강하다. 대영제국은 카카오톡 가상국가 발전에 있어, 단연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나라이다. 대영제국은 의회민주주의, 자본주의, 산업 혁명, 문화 콘텐츠, 언론, 각종 시스템 등등 수없이 많은 오늘날 카국의 보편 문화를 만들어 놓은 엄청난 문화력과 인력을 가졌고, 또 그것을 실현 가능하게 했던 실행력과 국력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