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 (→교황의 퇴위에서부터 선거까지)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FaSKtb3x0jgsgMOtv4QJv0rqJAe6zFGAaF6vnkdir-PFqBeURIX3WAM3Uui-Bk0uVGYTo0QlGPUePI35guOvn1b7z0IzrlDLPGHo9rT98XEN393PsKoQaXhXgNNat7OCpzD1qG0K8ZVdSQwMaZ 8mg.webp]] | |||
{{목차}} | {{목차}} | ||
2024년 8월 5일 (월) 22:47 판
개요
가톨릭의 수장인 교황을 선출하는 추기경들의 모임과 교황 선거 그 자체를 뜻한다. 어원은 '열쇠로 걸어 잠글 수 있는 방'이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conclave'이다.
유래
교황 선거 방식
일찍이 교황은 투표에 의해서 선출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지금과는 다르게 두 가지 방법이 더 있었다.
- 첫째는 발성에 의한 결정
발성에 의한 결정이란, 추기경들이 새로운 교황이 될 사람의 이름을 만장일치로 동시에 불렀을 때 그 결과를 성령의 개입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 둘째는 타협에 의한 결정
타협에 의한 결정은, 선거가 수렁화할 것 같다고 판단되면 추기경 중에서 선거위원회를 골라내 선출을 주도하는 방법이다.
- 셋째는 투표에 의한 결정.
마지막으로 투표에 의한 결정은 이른바 지금의 교황 선거로 이해되는 것으로서 모든 추기경이 익명 투표를 반복하며 교황을 골라내는 방식이다. 현재의 방법이다.
덧붙여 발성에 의한 만장일치로 선출된 마지막 교황은 1621년에 선출된 그레고리오 15세이며, 선거 위원회의 주도로 선택된 마지막 교황은 1316년에 선출된 요한 22세이다. 요한 바오로 2세는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고 사문화되어 있던 앞의 두 가지 방법을 정식으로 폐지하고, 공식적으로 투표에 의한 결정만을 인정했다.
오늘날의 교황 선거
교황의 사망에서부터 선거까지
교황의 퇴위에서부터 선거까지
교황이 스스로 물러나기로 마음먹는다면, 교황 본인이 물러나고 싶은 날짜를 스스로 선택하고 공고한다. 교황의 퇴위권은 순전히 본인 의사에 달려 있기 때문에 이를 수리하는 기관도 없다. 본인이 퇴위 선언하면 그것으로 효력이 발생한다. 교황이 물러나기로 공고한 날 새벽 4시가 되면 교황직이 공석이 된다. 그때부터는 사망 직후와 마찬가지로 문서 위조 방지를 위해 어부의 반지를 반납하고 이를 흠집 내 사용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 또한 추기경단이 집합한 뒤 회합을 열어 교황 선거 일정을 결정한다. 이 경우에는 교황 본인이 스스로 물러난 경우이므로 퇴위 발표 뒤 전세계 추기경들에게 공식 사임 전에 미리 투표 날짜를 정하여 보낼 수 있다는 점이 이롭다고 할 수 있겠다.
《주님의 양 떼》에서 콘클라베 개시 시점을 명시한 조항은 제37조다. 해당 조항에 따르면, 콘클라베는 교황의 사망이나 퇴위로 사도좌가 공석이 된 지 15~20일 사이에 개시해야 한다. 만 15일을 기다리는 것은 장례와 애도기간 포함해 약 15일, 그리고 아직 로마에 도착하지 않은 추기경들을 위한 배려다. 하지만 베네딕토 16세는 교황으로서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때(퇴위하기 전)인 2013년 2월 25일, 자의교서(Motu Proprio)를 발표하여 제37조에 “모든 선거인 추기경이 도착하면 선거 개시를 앞당길 권한도 있다”는 문항을 추가함으로써 일정이 앞당겨질 수 있도록 규정을 개정했다. 교황이 항상 공석이었던 통상적인 콘클라베와 달리, 600년 만의 생전 퇴위로서 이례적으로 교황이 살아 있는 중에 권한을 행사할 수 있었기 때문에 생긴 일이었다. 옛날에는 비행기도 없고 육로 및 해상교통으로만 바티칸에 갈 수 있었으니 시간이 지체되었지만 지금은 비행기만 타면 하루이틀, 늦어도 사나흘이면 다 도착하고, 교황의 사망이 아닌 퇴위로 인한 콘클라베의 경우에는 장례 기간이 생략되기 때문에 이것도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