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족청년단: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정당 정보 양식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003050; color:#000; float:right;"
| 테두리색 = #234794
|-
| 로고 = 대한민족청년단 당기.png
! colspan="2" style="width:450px; color:#fff; background:#003050;" | {{large|대한민족청년단}}<br>大韓民族靑年團
| 로고크기 = 170px
|-
| 배경색 = #fff
| colspan="2" |
| 틀 끝색 = #1b3862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 #f5f5f5; color: #000; margin: -5.5px -10px;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 틀 중간색 = #1b3862
|-
| 범례색 = #f5f5f5
| width=50% style="height:120px;" | [[파일:족청 로고.png|150px]]
| 글씨색 = #fff
| width=50% | [[파일:족청 당기.png|160px]]
| 글씨 색 = #1b3862
|-
| 정당명 = 대한민족청년단
! style="background:#003050; color:#fff;" | 로고
| 한문명 = 大韓民族靑年團
! style="background:#003050; color:#fff;" | 당기
| 국가 = [[파일:이응준 태극기.png|22px]] [[카카오톡 가상국가 대한제국|대한제국]]
|-
| 약칭 = 족청(族靑)
! style="color:#003050;" | 약칭
| 표어 = 민족지상, 국가지상
| '''족청'''<br>族靑
| 창당일 = 1946년 10월 9일<sub> (조선민족청년단)
|-
| 당명 변경 = 1948년 8월 <sub> (대한민족청년단)
! style="color:#003050;" | 표어
| 통합한 정당 = 대동청년단
| '''민족지상, 국가지상<br>民族至上 國家至上'''
| 전신 =
|-
| 해산일 =  
! width=30% style="color:#003050;" | 창당
| 중앙당사 = [[대한제국|한성부 중구 을지로 5가 77번지]]
| 1946년 10월 9일
| 이념 = 한민족주의,애국주의,일민주의,국민주의,협동조합주의,국가주의
|-
| 스펙트럼 = 우익 ~ 극우
! style="color:#003050;" | 당수 겸 총리
| 리더명칭 = 당수
| [[전두환]]
| 리더 = [[노태우]]
|-
| 공직자1 명칭 =  
! style="color:#003050;" | 부당수 겸 부총리
| 공직자1 =
| [[노태우]]
| 공직자2 명칭 =
|-
| 공직자2 =
! style="color:#003050;" | 이념
| 공직자3 명칭 =  
| [[한국식 입헌군주제|한국식 입헌군주주의]]<br>[[한민족주의]]<br>[[파시즘]]<br>[[국수주의|국가주의]]<br>[[애국주의]]<br>[[군주주의]]<br>[[대중주의]]
| 공직자3 =
<div style="margin: -9.0px -0.0px>
| 공직자4 명칭 = 내각총리대신
----
| 공직자4 = [[전두환]]
<div style="margin: -9.0px -0.0px>
| 공직자5 명칭 =
'''분파:''' [[한국 파시즘]]<br>[[일민주의]]<br>[[보수주의]]
| 공직자5 =  
|-
| 공직자6 명칭 =
! style="color:#003050;" | 스펙트럼
| 공직자6 =
| [[제3의 위치]] ([[우익]] ~ [[극우]]) <ref>사실상 우익 빅텐트이다.</ref>
| 공직자7 명칭 =
|-
| 공직자7 =
! style="color:#003050;" | 중추원 참의원
| 의석1 명칭 = 중추원의원
|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050 93.4%, transparent 93.4%);" | '''37석 / 55 '''
| 의석1 수 =  
|-
| 의석1 최대 =
! style="color:#003050;" | 중추원 민의원
| 의석1 비율 =
|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050 99.2%, transparent 99.2%);" | '''194석 / 240석'''
| 의석2 명칭 = 부윤
|-
| 의석2 수 =
! rowspan="4" style="color:#003050;" | 당색
| 의석2 최대 =  
| <span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3050; color:#fff; font-size: .9em">'''청색 (#003050, 공식)'''</span>
| 의석2 비율 =
|-
| 의석3 명칭 =
! style="color:#003050;" | 당가
| 의석3 수 =  
| 대한민족청년단 당가
| 의석3 최대 =  
|-
| 의석3 비율 =
! style="color:#003050;" | 국제 조직
| 의석4 명칭 =  
| [[국제파시스트 총연맹]]
| 의석4 수 =
|-
| 의석4 최대 =  
! style="color:#003050;" | 청소년 조직
| 의석4 비율 =
| [[파일:족청 로고.png|28px]] [[대한중앙훈련단]]
| 의석5 명칭 =
|-
| 의석5 수 =
! style="color:#003050;" | 여성 조직
| 의석5 최대 =  
| [[대한여성총단결연맹]]
| 의석5 비율 =
|-
| 의석6 명칭 =
! style="color:#003050;" | 준군사조직
| 의석6 수 =
| [[파일:족청 로고.png|28px]] [[대한청년단군]]
| 의석6 최대 =
|-
| 의석6 비율 =
! style="color:#003050;" | 기관지
| 당색 = {{정당박스 | 민족의 영 (#234794) | #234794 | #fff }}
| 대한민족청년단 단보<br>동아일보<ref>동아일보가 사실상 이범석 지시 아래 움직였기에 표기</ref>
| 당가 =
|-
| 국제조직 =  
|}
| 자매정당 =
| 정책 연구소 =
| 후원회 =
| 학생조직 =
| 청년조직 = {{정당박스 | '''백의사(白衣社)''' | #FFFFFF | #ffc808 }}
| 여성조직 =
| 재외국민조직 =
| 준군사조직 =
| 재산총액 =  
| 기타1 명칭 =
| 기타1 =
| 기타2 명칭 =
| 기타2 =
}}


{{문단정리}}
{{목차}}


=개요=
==각주==
 
{{각주}}
{{명언1|세계는 넓고 인류는 그 수가 하도 많지만, 역사와 전통으로 보아 우리처럼 강건한 조건을 갖춘 민족은 다시 찾아볼 수 없을 것이다. 우리는 영원한 민족 생성 과정의 한 일원으로서, 과거의 온갖 유산을 계승하는 과거의 종말인 동시에 미래의 온갖 가치를 창조할 기점에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의무감을 갖지 않으면 안 된다. 우리는 우리의 역사적.전통적 영광을 헛되이 하지 않기 위해 우리의 앞날을 더욱 빛나게 할 신성한 책임, 조상 천대에 대한 또 자손 만대에 대한 가장 엄중한 책임을 걸머지고 있는 것이다.| - [[ 이범석『민족』]]}}
 
이범석을 주축으로 하여 1946년에 세워진 우익~극우 정당이다.
 
이후 사실상 일본의 자유민주당(자민당)과 같이, 사실상 이승만 하야 이후부터 현대까지 계속해서 자유민주주의 하 일당과반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상세=
 
이범석을 중심으로 안춘생과 노태준이 지휘했던 광복군 제2지대를 주축으로하여 창설되었다.
 
당시의 다른 우익단체들과 차별화된 점이 상당히 많았는데 일단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에 모두 반대하는 제3의 노선에 있었다. 또한 다른 우익 단체들이 테러를 일삼거나 좌익 세력과 물리적으로 충돌하는 경우가 많았던 반면 족청은 이범석부터가 테러를 반대했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좌익과 충돌하지 않고 청년들의 교육과 훈련에 집중했다. 그 때문에 당시 여러 우익단체들의 지나친 폭력행사를 우려하고 상대적으로 온건한 우파를 찾던 미군정(米軍政)의 지원을 받기도 했다.
 
강령으로는 단지삼칙이 있었으며, '민족지상, 국가지상'의 슬로건을 내걸었다.
 
=강령:단지삼칙=
① 우리는 민족정신을 환기하여 민족지상·국가지상의 이념하에 청년의 사명을 다할 것을 기한다.
 
② 우리는 종파를 초월하여 대내자립·대외공존의 정신으로 민족의 역량을 집결할 것을 기한다.
 
③ 우리는 현실을 직시하며 원대한 곳을 바라보고(着眼遠大), 비근한 것부터 착수하여(着手卑近) 건국도상의 청년다운 순감(純感)을 바칠 것을 기한다.

2025년 2월 24일 (월) 15:30 판

대한민족청년단
大韓民族靑年團
족청 로고.png 족청 당기.png
로고 당기
약칭 족청
族靑
표어 민족지상, 국가지상
民族至上 國家至上
창당 1946년 10월 9일
당수 겸 총리 전두환
부당수 겸 부총리 노태우
이념 한국식 입헌군주주의
한민족주의
파시즘
국가주의
애국주의
군주주의
대중주의
스펙트럼 제3의 위치 (우익 ~ 극우) [1]
중추원 참의원 37석 / 55
중추원 민의원 194석 / 240석
당색 청색 (#003050, 공식)
당가 대한민족청년단 당가
국제 조직 국제파시스트 총연맹
청소년 조직 족청 로고.png 대한중앙훈련단
여성 조직 대한여성총단결연맹
준군사조직 족청 로고.png 대한청년단군
기관지 대한민족청년단 단보
동아일보[2]

각주

  1. 사실상 우익 빅텐트이다.
  2. 동아일보가 사실상 이범석 지시 아래 움직였기에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