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영제국(왕국상황극):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태그: folding 사용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tablealign=center><bgcolor=#c8102e><tablebordercolor=#012169><tablewidth=100%> '''{{{#fff 대영제국 관련 틀}}}''' ||
||<-3><tablealign=right><tablewidth=450><tablebordercolor=#012169>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012169 25%, #FFFFFF 25%, #FFFFFF 30%, #C8102E 30%, #C8102E 70%, #FFFFFF 70%, #FFFFFF 75%, #012169 75%); color: #000"
||<bgcolor=#fff,#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text-align: center"
[include(틀:영국과 아일랜드의 역사)]
[include(틀:영국 관련 문서)]
[include(틀:식민제국)]}}} ||
 
||<-3><tablealign=right><tablewidth=450><tablebordercolor=#012169>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012169 25%, #FFFFFF 25%, #FFFFFF 30%, #C8102E 30%, #C8102E 70%, #FFFFFF 70%, #FFFFFF 75%, #012169 75%);color:#000;"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center"
{{{#FFF '''{{{+1 대영제국}}}[br]British Empire'''}}}}}}}}} ||
{{{#FFF '''{{{+1 대영제국}}}[br]British Empire'''}}}}}}}}} ||
||<-2><width=50%><height=150>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width=65%]] ||<|3> [[파일:영국 국장(엘리자베스 2세).svg|width=60%]] ||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100]] || [[파일:잉글랜드 국장(1702-1707).svg.png|width=60%]] ||
||<-2><#c8102e> {{{#ffffff '''국기(1707년~1801년)'''}}} ||
||<-2><bgcolor=#c8102e> {{{#ffffff '''국기(1607년~1707년)'''}}} ||<bgcolor=#c8102e> {{{#ffffff '''국장(1702년~1707년)'''}}} ||
||<-2><height=150> [[파일:영국 국기.svg|width=65%]] ||
||<-2><width=50%>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width=65%]] ||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장(1714-1801).svg.png|width=60%]] ||
||<-2><width=50%><bgcolor=#c8102e> {{{#ffffff '''국기(1801년 이후)'''}}} ||<width=50%><#c8102e> {{{#ffffff '''국장(1952년 이후)'''[* 역대 국장은 [[영국/국장]] 참조.] }}} ||
||<-2><bgcolor=#c8102e> {{{#ffffff '''국기(1707년~1800년)'''}}} ||<-2><bgcolor=#c8102e> {{{#ffffff '''국장(1714년~1800년)'''}}} ||
||<-2><|3> [[파일:영국 국기.svg|width=65%]] || [[파일:영국 국장(1837-1901).png|width=60%]] ||
||<width=50%><bgcolor=#c8102e> {{{#ffffff '''국장(1837년~1901년)''' }}} ||
|| [[파일:영국 국장(1837-1952).svg|width=60%]] ||
||<-2><width=50%><bgcolor=#c8102e> {{{#ffffff '''국기(1801년 이후)'''}}}[* [[유니언 잭]] 문서 참조.] ||<width=50%><bgcolor=#c8102e> {{{#ffffff '''국장(1901년~1952년)'''[* 역대 국장은 [[영국/국장]] 참조.] }}} ||
||<-3> '''{{{#00247d,#fff Dieu et mon droit}}} [br] {{{#c8102e 신과 나의 권리}}}''' ||
||<-3> '''{{{#00247d,#fff Dieu et mon droit}}} [br] {{{#c8102e 신과 나의 권리}}}''' ||
||<-3><#c8102e> {{{#fff '''상징'''}}} ||
||<-3><bgcolor=#c8102e> {{{#fff '''상징'''}}} ||
||<width=24%><#012169> {{{#fff '''국가'''}}} ||<-2>'''[[God Save the King|God Save the King/Queen]]''' ||
||<width=24%><bgcolor=#012169> {{{#fff '''국가'''}}} ||<-2>'''[[God Save the King|God Save the King/Queen]]''' ||
||<-3><bgcolor=#c8102e> {{{#fff '''지도'''}}} ||
||<-3><bgcolor=#c8102e> {{{#fff '''지도'''}}} ||
||<-3><:><bgcolor=#fff,#1f2023> [[파일:7-1919.jpg|width=100%]][br]{{{#000,#ddd '''▲ {{{-1 [[1919년]] 당시 최대 강역}}}'''}}} ||
||<-3><:><bgcolor=#fff,#1f2023> [[파일:British_Empire_1921.png|width=100%]][br]{{{#000,#ddd '''▲ {{{-1 [[1921년]] 당시 최대 강역}}}'''}}} ||
||<-3><bgcolor=#c8102e> '''{{{#fff [[1607년|{{{#fff 1607년}}}]] ~ [[1997년|{{{#fff 1997년}}}]]}}}''' ||
||<bgcolor=#012169> {{{#fff '''위치'''}}} ||<-2><colcolor=#000,#fff>[[브리튼 제도|영국 본토]]와 그에 부속된 전 세계의 식민지 ||
||<-2><#012169> '''{{{#fff 성립 이전}}}''' ||<#012169> '''{{{#fff 해체 이후}}}''' ||
||<bgcolor=#012169> [[수도(행정구역)|{{{#fff '''수도'''}}}]] ||<-2>[[런던]] ||
||<-2><|2><#c8102e> [[그레이트브리튼 왕국|'''{{{#fff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004990>
||<bgcolor=#012169> {{{#fff '''면적'''}}} ||<-2>'''35,500,000km^^2^^''' (1920년 기준)[* 영국 본토 면적 314,000㎢을 포함한 수치로 '''[[아프리카]]보다 5,130,000km²넓다.'''] ||
||<-3><bgcolor=#c8102e> {{{#fff '''인문환경'''}}} ||
||<bgcolor=#012169> [[인구|{{{#fff '''인구'''}}}]] ||<-2>458,000,000명(1920년)[br]550,398,825명(1939년)[* 식민지 인구에다가 영국 본토 인구 46,800,000명 포함. 당시 세계 1위.] ||
||<bgcolor=#012169> [[공용어|{{{#fff '''공용어'''}}}]] ||<-2>[[영어]][* 공용어인 영어 외에 제국 각지에서는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었다.] ||
||<bgcolor=#012169> [[종교|{{{#fff '''종교'''}}}]] ||<-2>[[개신교]](주로 [[성공회]][* 본국인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경우 국교회인 성공회 신자 수가 압도적으로 많다. [[스코틀랜드]]와 아메리카 식민지는 [[청교도]]가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아일랜드]] 지방의 경우 [[가톨릭]] 신자가 대다수를 차지했다.]), [[가톨릭]], [[힌두교]], [[이슬람교]], [[불교]] 등 ||
||<bgcolor=#012169> [[민족|{{{#fff '''민족'''}}}]] ||<-2>[[영국인]], [[아일랜드인]], [[인도인]], [[파키스탄인]], [[방글라데시인]], [[캐나다인]], [[호주인]], [[이집트인]], [[말레이시아인]] 등 ||
||<-3><bgcolor=#c8102e> {{{#fff '''정치'''}}} ||
||<bgcolor=#012169> {{{#fff '''정치체제'''}}} ||<-2>[[입헌군주제]][br][[식민제국]] ||
||<bgcolor=#012169> [[국가원수|{{{#fff '''국가원수'''}}}]] ||<-2>[[영국 국왕]][* King(남성)/Queen(여성). 주로 왕 또는 여왕으로 번역한다. [[인도 제국]]에 한하여 [[황제]](Emperor/Empress)의 자격을 인정받았다. 당시에 '대영제국 [[황제]]'는커녕 '대영제국 국왕'이라고 불린 적도 단 한 번도 없었고, 그냥 예나 지금이나 영국 국왕이다.] ||
||<bgcolor=#012169> [[정부수반|{{{#fff '''정부수반'''}}}]] ||<-2>[[영국 총리]] ||
||<bgcolor=#012169> [[영국 국왕|{{{#fff '''주요 국왕'''}}}]] ||<-2>[[빅토리아 여왕]][br][[에드워드 7세]][br][[조지 5세]][br][[에드워드 8세]][br][[조지 6세]][br][[엘리자베스 2세]] ||
||<bgcolor=#012169> [[영국 총리|{{{#fff '''주요 총리'''}}}]] ||<-2>[[벤저민 디즈레일리]][br][[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br][[데이비드 로이드 조지]][br][[램지 맥도널드]][br][[네빌 체임벌린]][br][[윈스턴 처칠]][br][[클레멘트 애틀리]][br][[마거릿 대처]][br][[토니 블레어]] ||
||<-3><bgcolor=#c8102e> {{{#fff '''경제'''}}} ||
||<bgcolor=#012169> {{{#fff '''통화'''}}} ||<-2>[[파운드 스털링]] ||


===개요===


[[왕국상황극]]에서 가장 번영한 국가이며
가장 많은 영토를 보유 하고 있다.


=== 지도자 ===


초대:[[빅토리아여왕]]


===총리===


=== 피지배국 ===
[[파일:대영제국최대강역.png]]
대영제국이 지배한 적 있는 모든 지역.[* [[제2차 왕국상황극 대전쟁]] 후, 점령했던 이탈리아령 트리폴리타니아와, 독일 점령지역, 그리고 동군연합으로 왕위를 겸하던 독일 북부의 하노버 왕국 등이 빠졌다.


캐나다호주, 뉴질랜드는 영국이 본국 직할 속령으로서 완전한 자국 영토로 생각하고 개발한 영토다. 영국이 대영제국이라 불리던 시절 [[아일랜드]] 섬은 연합 왕국의 일원으로써 해외 영토(식민지)가 아닌 영국의 본국 영토로 있었지만 식민지와 다를 바 없어서 결국 독립 투쟁을 벌여 독립했는데 그 과정에서 일시적이지만 자치령으로 있었다.
== 대영제국의 영토 ==
{{틀:대영제국의 식민지}}
* [[본토]]
  *[[대영제국]]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
  * [[동아시아]]
  * [[동아시아]]
   * [[영국령 홍콩|홍콩]] (1841~1997)
   * [[홍콩]] (1841~현재)
  * [[영국령 웨이하이웨이|웨이하이웨이]] (1898~1930)
  * [[영국령 톈진|톈진]] (1860~1943)
  * [[동남아시아]]
  * [[동남아시아]]
   * [[말레이시아]] (1824~1956)
   * [[말레이시아]] (1824~현재)
   * [[싱가포르]] (1824~1963)
   * [[싱가포르]] (1824~현재)
   * [[브루나이]] (1838~1984)
   * [[브루나이]] (1838~현재)
  * [[영국령 버마|버마]] (1824~1948)
  * 벵쿨렌[* 현 벵쿨루.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서부에 위치.](1685~1824)
  * [[필리핀]] (1762~1764)
  * [[남아시아]]
  * [[남아시아]]
   * [[인도 제국]][* 현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동남아 지역에 있는 [[미얀마]]] (1757~1947)
   * [[인도]] (1757~현재)
   * [[영국령 실론|스리랑카]][* 인도 제국의 일부가 아닌 영국령 실론이라는 별개의 식민지였다.] (1796~1948)
   * [[파키스탄]] (1757~현재)
   * [[몰디브]] (1887~1965)
   * [[방글라데시]] (1757~현재)
   * [[네팔]] (1816~1923)[* 사실 네팔은 공식적으로 영국의 식민지나 보호국이 된 적이 없으나 1816년 영국과의 전쟁에서 진 이후 영국의 강력한 영향 아래 놓이면서 사실상 보호국이었다. 1923년은 영국과 네팔이 1816년 불평등 조약을 대체하는 대등한 조약을 맺은 시기였다.]
   * [[미얀마]]] (1757~현재)
   * [[부탄]] (1910~1949)[* 부탄은 영국의 식민지가 아닌 보호국으로 취급된다. 그 당시에도 영국은 부탄에 간섭을 하지 않고 오히려 일부 영국인이 마음의 안정을 찾고자 부탄에 들어온 것이었다.]
   * [[스리랑카]](1796~현재)
   * [[아프가니스탄]] (1879~1919)
   * [[몰디브]] (1887~1965/1970~현재)
  * [[서아시아]]
  * [[서아시아]]
   * [[이란|페르시아]] (1919~1921, 1941~1946)[* 공식적으로 '보호령' 이름이 붙은 적은 없으나, 이미 [[카자르 왕조]] 때인 1912년에 영-러 페르시아 분할협정에 승인하여 영국과 러시아와는 준식민지 상태에 다름없는 불평등한 외교관계에 있었으며, [[1919년]]에는 [[러시아 내전]]을 틈타 영국이 [[https://en.wikipedia.org/wiki/Anglo-Persian_Agreement|영국-이란 협정]]을 맺고 군사적·경제적 종속국으로 삼았다. 물론 이는 영국의 패권정치에 대한 국제적 비난으로 2년이 채 못가 폐지되었다. 또한 이 때 [[카자르 왕조|자원을 영국에 팔아넘기고 호의호식하는 왕조]]에 반발하여 [[쿠데타]]로 [[팔라비 왕조|왕조가 교체]]되었다. 이후 성립된 [[팔라비 왕조]] 때인 1941년에도 이른바 [[페르시아 침공]]이라 불리는 영국-소련의 침공으로 사실상의 식민지에 준하는 지배를 받기도 했다.]
   * [[이스라엘]] (1920~현재)
  * [[팔레스타인]] (1920~1948)
   * [[요르단]] (1921~현재)
   * [[요르단|트란스요르단]] (1921~1946)
   * [[이라크]] (1920~현재)
   * [[이라크|메소포타미아]] (1920~1932, 1941~1947)
   * [[오만]] (1892~현재)
   * [[오만]] (1892~1970)
   * [[카타르]] (1916~현재)
   * [[카타르]] (1916~1971)
   * [[키프로스]] (1878~현재)
   * [[키프로스]] (1878~1960)
   * [[남예멘]] (1839~현재)
   * [[남예멘|영국령 아덴]] (1839~1967)
   * [[쿠웨이트]] (1899~현재)
   * [[쿠웨이트]] (1899~1961)
   * [[아랍에미리트]] (1906~현재)
   * [[아랍에미리트|휴전 오만]] (1906~1971)
   * [[바레인]] (1820~현재)
   * [[바레인]] (1820~1971)
  * [[사우디아라비아]] (1915~1927)
  * [[오세아니아]]
  * [[오세아니아]]
   * [[호주]] (1770~1942)[* 오스트레일리아법 제정 시기인 1986년을 독립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웨스트민스터 헌장]]을 비준한 1942년부로 독립국 지위를 얻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 [[호주]] (1770~현재)
   * [[뉴질랜드]] (1788~1947)[* 뉴질랜드 신헌법 제정 시기인 1986년을 독립으로 독립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웨스트민스터 헌장]]을 비준한 1947년부로 독립국 지위를 얻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 [[뉴질랜드]] (1788~현재)
   * [[파푸아뉴기니]] (1883~1975)
   * [[파푸아뉴기니]] (1883~현재)
   * [[피지]] (1874~1970)
   * [[피지]] (1874~현재)
   * [[통가]] (1900~1970)
   * [[통가]] (1900~현재)
   * [[솔로몬 제도]] (1893~1978)
   * [[솔로몬 제도]] (1893~현재)
   * [[키리바시|길버트]]&[[투발루|엘리스]] 제도 (1877~1976)
   * [[키리바시]] (1877~현재)
   * [[바누아투|뉴헤브리디스 제도]][* [[프랑스 식민제국]]과 공동 통치] (1887~1980)
  * [[투발루]] 제도 (1877~현재)
   * [[바누아투]](1887~현재)
  * [[북아메리카]]
  * [[북아메리카]]
  * [[13개 식민지]] (1607~1776)[* 현재의 [[미국]] [[동부]] 16개 주로 13개 주와 나중에 주로 승격된 [[버몬트]], [[메인 주]], [[웨스트버지니아]]를 일컫는다. 1776년 독립 이후 [[미국|아메리카 합중국]]이 되었다.]
   * [[캐나다]] (1710~현재)
  * [[뉴펀들랜드]] (1610~1949)[* 1907년 자치령이 세워졌으나 1934년 자치령 지위를 포기했다. 이후 1949년 캐나다에 합병되었다.]
   * [[캐나다]] (1710~1931)[* 캐나다법 제정 시기인 1982년을 독립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웨스트민스터 헌장]]에 따라 1931년부로 독립국 지위를 얻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 [[오리건]][* 현재의 오리건 주 외에도 [[워싱턴 주]], [[아이다호 주]], [[몬태나 주]] 북서부, [[와이오밍]] 일부를 포함한다.] (1792~1846)
  * [[중앙아메리카]]
  * [[중앙아메리카]]
   * [[벨리즈|영국령 온두라스]] (1749~1981)
   * [[벨리즈]] (1749~현재)
   * [[자메이카]] (1655~1962)
   * [[자메이카]] (1655~현재)
   * [[도미니카 연방|도미니카]] (1805~1978)
   * [[도미니카 연방]] (1805~현재)
   * [[바베이도스]] (1627~1966)
   * [[바베이도스]] (1627~현재)
   * [[바하마]] (1717~1973)
   * [[바하마]] (1717~현재)
   * [[트리니다드 토바고]] (1802~1962)
   * [[트리니다드 토바고]] (1802~현재)
   *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1767~1979)
   *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1767~현재)
   * [[세인트루시아]] (1814~1967)
   * [[세인트루시아]] (1814~현재)
   * [[그레나다]] (1763~1974)
   * [[그레나다]] (1763~현재)
  * 모스키토해안[* 현 [[니카라과]]의 동부 해안과 [[온두라스]] 동남부 해안 일부.] (1638~1787, 1844~1860)
  * [[쿠바]] (1762~1763)
  * [[남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 [[가이아나|영국령 기아나]] (1814~1966)
   * [[가이아나]] (1814~현재)
   * [[포클랜드 제도]] (1823~현재)
   * [[포클랜드 제도]] (1823~현재)
  * [[아프리카]]
  * [[아프리카]]
   * [[이집트]] (1881~1922, 1952)[* 실질적인 독립은 1952년 [[나세르]]의 [[쿠데타]] 이후다.]
   * [[이집트]] (1881~현재)
  * [[앵글로-이집트 수단]] (1899~1956)[* 영국-이집트 공동통치령]
  * [[수단]] (1899~현재)
   * [[나이지리아]] (1861~1960)
   * [[나이지리아]] (1861~현재)
   * [[남아프리카 공화국]] (1795~1931)[* 1910년 자치령이 세워졌지만 완전히 독립하게 된 것은 1931년 [[웨스트민스터 헌장]] 제정 이후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1795~현재)
   * [[남로디지아]] (1889~1965, 1979~1980)
   * [[잠비아]] (1889~현재)
   * [[케냐]] (1888~1963)
   * [[케냐]] (1888~1965/1965년~현재)
   * [[우간다]] (1894~1962)
   * [[우간다]] (1894~현재)
   * [[가나|골드코스트]] (1867~1957)
   * [[가나]] (1867~현재)
   * [[소말릴란드|영국령 소말릴란드]] (1884~1960)
   * [[소말릴란드]] (1884~현재)
  * [[소말리아]] (1941~1949)
   * [[감비아]] (1821~현재)
   * [[감비아]] (1821~1965)
   * [[시에라리온]] (1800~현재)
   * [[시에라리온]] (1800~1960)
   * [[보츠와나]] (1885~현재)
   * [[보츠와나|베추아날랜드]] (1885~1966)
   * [[레소토]] (1868~현재
   * [[레소토|바수톨란드]] (1868~1966)
   * [[에스와티니]] (1906~현재
   * [[에스와티니|스와질란드]] (1906~1968)
   * [[잠비아]] (1890~현재)
   * [[잠비아|북로디지아]] (1890~1964)
   * [[말라위]] (1891~현재)
   * [[말라위|니아살랜드]] (1891~1964)
   * [[모리셔스]] (1810~현재)
   * [[모리셔스]] (1810~1968)
   * [[세이셸]] (1814~현재)
   * [[세이셸]] (1814~1976)
   * [[탕가니카]] (1916~현재)
   * [[탕가니카]] (1916~1961)
   * [[잔지바르]] (1890~현재)
   * [[잔지바르]] (1890~1963)
  * [[카메룬]] (1916~1961)
  * [[리비아]] (1942~1951)
  * [[에리트레아]] (1941~1952)
  * [[유럽]]
  * [[유럽]]
   * 아일랜드 섬
   * 아일랜드 섬
   * --[[북아일랜드]] (1171~현재)--
   *[[아일랜드]] (1171~현재)
  * --[[아일랜드]] (1171~1922)--[*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는 엄밀히 말하면 법적으로 영국 본토의 일부이다. 다만 아일랜드의 경우, 독립 이전까지 영국 본토의 일부였으나 취급이 식민지와 다를 것이 없었다.]
   * [[몰타]] (1800~현재)
   * [[몰타]] (1800~1964)
   * [[지브롤터]] (1707~현재)
   * [[지브롤터]] (1704~현재)
   * --[[영국령 남극 지역]] (1908~현재)
  * [[이오니아]] 제도 (1815~1864)
  * [[앵글로 코르시카 왕국|코르시카]] (1794~1796)
* [[남극]]
   * --[[영국령 남극 지역]] (1908~현재)--[* 1959년 [[남극 조약]]으로 사실상 영유권이 무효화되었으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매우 많은 영토를 보유 하고 있다.
* [[6.25 내전]][* 유니콘 등의 영국 함선들이 활약했고, 파병 비율은 미국 다음으로 높다.]
이때문에 대영제국은 항상 해가 지지 않은 다는 얘기를 많이 듣는다.
* [[식민제국]]
* [[팍스]]
* [[빅토리아 여왕]]
* [[빅토리아 시대]]
* [[영연방]][* 영국과 영국의 지배를 받던 국가들이 모여 결성된 국제기구로, 타 식민 제국과 가장 구별되는 특징이다.]
* [[영연방 왕국]]
* [[해가 지지 않는 나라]]
* [[제국 연방]]
* '''[[혐성국]]'''[* 다른 제국주의 국가들도 많은 사건, 사고를 일으켰지만 제국주의 국가들 중 가장 유명한 국가가 영국이기에 따라 붙은 불명예스러운 명칭.]

2025년 4월 8일 (화) 08:02 기준 최신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012169 25%, #FFFFFF 25%, #FFFFFF 30%, #C8102E 30%, #C8102E 70%, #FFFFFF 70%, #FFFFFF 75%, #012169 75%); color: #000"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text-align: center"
{{{#FFF {{{+1 대영제국}}}[br]British Empir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60%
국기(1607년~1707년)국장(1702년~1707년)
width=65%width=60%
국기(1707년~1800년)국장(1714년~1800년)
width=65%width=60%
국장(1837년~1901년)
width=60%
국기(1801년 이후) 유니언 잭 문서 참조.국장(1901년~1952년) 역대 국장은 영국/국장 참조.
#00247d,#fff Dieu et mon droit
신과 나의 권리
상징
국가God Save the King/Queen
지도
width=100%
#000,#ddd ▲ {{{-1 1921년 당시 최대 강역}}}
위치영국 본토와 그에 부속된 전 세계의 식민지
수도런던
면적35,500,000km2 (1920년 기준) 영국 본토 면적 314,000㎢을 포함한 수치로 아프리카보다 5,130,000km²넓다.
인문환경
인구458,000,000명(1920년)
550,398,825명(1939년) 식민지 인구에다가 영국 본토 인구 46,800,000명 포함. 당시 세계 1위.
공용어영어 공용어인 영어 외에 제국 각지에서는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었다.
종교개신교(주로 성공회 본국인 잉글랜드웨일스의 경우 국교회인 성공회 신자 수가 압도적으로 많다. 스코틀랜드와 아메리카 식민지는 청교도가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아일랜드 지방의 경우 가톨릭 신자가 대다수를 차지했다.), 가톨릭, 힌두교, 이슬람교, 불교
민족영국인, 아일랜드인, 인도인, 파키스탄인, 방글라데시인, 캐나다인, 호주인, 이집트인, 말레이시아인
정치
정치체제입헌군주제
식민제국
국가원수영국 국왕 King(남성)/Queen(여성). 주로 왕 또는 여왕으로 번역한다. 인도 제국에 한하여 황제(Emperor/Empress)의 자격을 인정받았다. 당시에 '대영제국 황제'는커녕 '대영제국 국왕'이라고 불린 적도 단 한 번도 없었고, 그냥 예나 지금이나 영국 국왕이다.
정부수반영국 총리
주요 국왕빅토리아 여왕
에드워드 7세
조지 5세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
주요 총리벤저민 디즈레일리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램지 맥도널드
네빌 체임벌린
윈스턴 처칠
클레멘트 애틀리
마거릿 대처
토니 블레어
경제
통화파운드 스털링

개요

왕국상황극에서 가장 번영한 국가이며 가장 많은 영토를 보유 하고 있다.

지도자

초대:빅토리아여왕

총리

대영제국의 영토

매우 많은 영토를 보유 하고 있다. 이때문에 대영제국은 항상 해가 지지 않은 다는 얘기를 많이 듣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