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20px]] {{글씨 크기 (px)|12|이름이 같은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폴란드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20px]] {{글씨 크기 (px)|12|이름이 같은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폴란드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450px; width: 100%; text-align: left; font-size: 14.4px; border: 2px solid #dd0c39; float: right;"
{{국가 정보 양식2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20%, #fff 20%, #fff 80%, #fff); color: #dd0c39;" | <div style="margin: 6px 0px 3px;">{{글씨 크기 (px)|20|폴란드 왕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br>Królestwo Polskie i Wielkie Księstwo Litewskie |
| 틀 너비 = 620px
Lenkijos Karalystė ir Lietuvos Didžioji Kunigaikštystė
| 글씨 크기 = 10.5pt
|-
| 테두리 크기 = 2px
! colspan="2" style="width: 50%; height: 150px; background: #F5F5F5;" | <div style="margin: 0 auto; width: 60%;">[[파일:4Nmob2ye0P hZ1Gu J9Qz1 pgunDH8YORglh KMGuaqZObIjtshe5pPjfCjXKQmlRNnJDjNXyCe9cL4jbYWyuaTzz-ye5p5cWx9G658kewlO V7Uc G3Wfrz9q Zd9GqKKChaIW8SBvxuVz6pJ ChA.webp]] </div>
| 테두리 색 = #eb001a
! style="width: 50%; background: #F5F5F5;" | <div style="margin: 0 auto; width: 40%;">[[파일:Cost of arms Poland.png]]</div>
| 틀 끝색 = #eb001a
|-
| 틀 중간색 = #aa0000
! colspan="2" style="background: #dd0c39; color: #FFF;" | 국기
| 틀 글씨색 = #fff
! style="background: #dd0c39; color: #FFF;" | 국장
| 국가 명칭 = [[파일:폴리투 국장.png|50px]]<br>폴란드 왕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
|-
| 기타 명칭 = Kingdom of Poland and Grand Duchy of Lithuania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dd0c39;" | 상징
| 국기 = 폴리투 국기.png
|-
| 국기 크기 = 300px
! style="width: 30%; background: #dd0c39; color: #FFF;" | 국가
| 국장 = 폴리투 국장.png
| colspan="2" | 어머니 폴란드여, 기뻐하라<br>(Mazurek Dąbrowskiego)
| 국장 크기 = 300px
|-
| 범례색 = #e6d289
! style="width: 30%; background: #dd0c39; color: #FFF;" | 국화
| 범례 글씨색 = #fff
| colspan="2" | 붉은 양귀비
 
|-
| 표어 배경색 = #f5f5f5
! style="width: 30%; background: #dd0c39; color: #FFF;" | 국조
| 표어 글씨색 = #c80f2e
| colspan="2" | 흰꼬리수리
| 표어 = '''Si Deus Nobiscum quis contra nos'''
|-
| 원어표어 글씨색 = #c80f2e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dd0c39;" | 역사
| 원어표어 = '''하나님이 우리 편에 있으니 그 누가 대적하리오'''
|-
 
| colspan="3" | <div class="mw-customtoggle-Korea_Table_001"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px 0px; font-size: 14.4px;">'''[ 펼치기 · 접기 ]'''</div>
| 국가 = '''어머니 조국 폴란드여, 기뻐하라'''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Korea_Table_001"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 국화 = '''팬지꽃'''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5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국수 =
{| style="margin: -1px -15px -13px -2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4.4px; text-align: left;"
| 국목 =
| '''<br>• '''건국과 외부침략으로 인한 멸망 2024년 3월경 '''<br>• '''국가 재건 1월 23일'''<br>• '''국가 시스템 구축 2025년 1월 25일'''<br>• '''초대 총선 실시 2025년 1월 31일'''<br>• '''첫 모의전 개최 2025년 2월 3일'''<br>• ''''''<br>• ''''''
| 국조 = '''흰꼬리수리'''
|-
 
|}</div></div>
| 역사 = | '''<br>• '''건국과 외부침략으로 인한 멸망 2024년 상반기 '''<br>• '''국가 재건 1월 23일'''<br>• '''국가 시스템 구축 2025년 1월 25일'''<br>• '''초대 총선 실시 2025년 1월 31일'''<br>• '''첫 모의전 개최 2025년 2월 3일'''<br>• ''''''<br>• ''''''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dd0c39;" | 지리
| 수도 = 바르샤바
|-
| 최대도시 = 바르샤바
| colspan="3" | <div class="mw-customtoggle-Korea_Table_002"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px 0px; font-size: 14.4px;">'''[ 펼치기 · 접기 ]'''</div>
| 면적 = 455,020km²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Korea_Table_002"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 내수면 비율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5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접경국 = 라트비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체코-슬로바키아, 러시아
{| style="margin: -1px -15px -13px -2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4.4px; text-align: left;"
| 인접국 =  
! colspan="2" width=30& style="background: #dd0c39; color: #FFF;" | 수도 | 최대 도시
 
| [[바르샤바]]
| 행정구역 명칭1 = 폴란드 왕관령
|-
| 행정구역1 = 1개 광역시, 13개 주
! colspan="2" style="background: #dd0c39; color: #FFF;" | 면적
| 행정구역 명칭2 = 리투아니아 대공국
| 1,170,000km²
| 행정구역2 = 8개 주
|-
| 행정구역 명칭3 =  
! colspan="2" style="background: #dd0c39; color: #FFF;" | 접경국
| 행정구역3 =  
| • [[파일:독일 국기.svg|20px|link=독일|border]] [[프로이센]][br]• [[파일:체코 국기.svg|20px|link=체코|border]] [[보헤미아]][br]•[br]• [[파일:러시아 국기.png|20px|link=러시아|border]] [[러시아]]
| 행정구역 명칭4 =
|-
| 행정구역4 =
|}</div></div>
| 행정구역 명칭5 =
|-
| 행정구역5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f; color: #dd0c39;" | 인문 환경
| 행정구역 명칭6 =
|-
| 행정구역6 =
| colspan="3" | <div class="mw-customtoggle-Korea_Table_003"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px 0px; font-size: 14.4px;">'''[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Korea_Table_003"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 인구 = 66,782,114명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5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인종 구성 = 폴란드-리투아니아인 84.9%, 우크라이나인 7.4%, 벨라루스인 4.1%, 러시아인 1.7%, 기타 1.9%
{| style="margin: -1px -15px -13px -2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4.4px; text-align: left;"
| 민족 구성 =
! rowspan="4" style="width: 50px; background: #dd0c39; color: #FFF;" | 인구
| 인구밀도 = 146.76명/㎢
! style="width: 80px; background: #dd0c39; color: #FFF;" | 총 인구
| 출생아 수 =
| 90,820,272명 <small>(2023년)</small> ㅣ
| 출산율 = 1.83명
|-
| 평균 수명 =
! style="background: #dd0c39; color: #FFF;" | 인구 밀도
| 기대 수명 = 78.7세
| 약 123명/km² <small>(2017년)</small>
| 공용어 = 라틴어<small>명목상</small>, 폴란드어, 리투아니아어
|-
| 모국어 =
! style="background: #dd0c39; color: #FFF;" | 민족 구성
| 국민어 = 폴란드어, 리투아니아어
| 폴란드인 98%, 독일인 0.2%, 우크라이나인 0.1% 기타 등등
| 지역어 =
|-
| 공용 문자 = 라틴 문자
! style="background: #dd0c39; color: #FFF;" | 출산율
| 국교 = '''국교 없음'''
| 1.40명 <small>(2022년)</small>
| 종교 분포 = 가톨릭 84.3%<br>무종교 9.6%<br>정교회 4.2%<br>개신교 1.6%<br>기타 2.1%
|-
| 자국군 =  
! colspan="2" style="background: #dd0c39; color: #FFF;" | 폴란드 국왕
| 주둔군 =  
| [[호헝]]
 
|-
| 정치체제 =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동군연합, 폴란드식 군주제, 폴란드식 공화제
! colspan="2" style="background: #dd0c39; color: #FFF;" | 리투아니아 대공
| 민주주의 지수 = 167개국 중 '''18위''' (완전한 민주주의)
| [[베니토 무솔리니(모의전)]]
| 국가원수 명칭 = 폴란드 국왕, 리투아니아 대공
|-
| 국가원수 = [[호헝]], [[베니토 무솔리니(모의전)]]
! rowspan="2" style="background: #dd0c39; color: #FFF;" | 종교
| 국가요인 명칭1 = 총리
! style="background: #dd0c39; color: #FFF;" | 국교
| 국가요인1 =  
| 없음([[정교분리]])
| 국가요인 명칭2 = 부총리
|-
| 국가요인2 =
! style="background: #dd0c39; color: #FFF;" | 분포
| 국가요인 명칭3 = 세임 의장
| '''[[가톨릭]]''' 87.5%, [[정교회]] 0.7%, [[무종교]] 2.4%, 기타 0.3%
| 국가요인3 =  
|-
| 국가요인 명칭4 = 연방 대법원장
! colspan="2" style="background: #dd0c39; color: #FFF;" | 군대
| 국가요인4 =
| [[폴란드-리투아니아군]]
| 국가요인 명칭5 =
|-
| 국가요인5 =  
|}</div></div>
| 국가요인 명칭6 =
|-
| 국가요인6 =
! colspan="3" style="background: #dd0c39;" |  
| 국가요인 명칭7 =
|}
| 국가요인7 =
| 국가요인 명칭8 =
| 국가요인8 =
| 여당 =
| 연립여당 =
 
| 경제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전체 GDP = $3조 41억
| 1인당 GDP = $44,985
| 전체 GDP(PPP) = $3조 4,967
| 1인당 GDP(PPP)= #52,361
| 국부 = $13조 763억
| 수출 = $5,768억
| 수입 = $4,951억
| 외환보유액 = $3,789억
| 신용등급 = 무디스 Aa2<br>S&P AA<br>Fitch AA+
| 화폐 = 폴란드-리투아니아 즈워티()
| 화폐번호 = PLZ
| 세입 = $9,673억
| 세출 = $1조 129억
| 지니 계수 = 0.33
 
| 법정연호 = 서력기원
| 시간대 = UTC+1(서머타임제 실시)
| 도량형 = '''SI 단위'''
| 운전석 = 오른쪽
 
| UN 가입여부 = 가입국
| UN 가입일 = 1945년
| 수교국 =
 
| ccTLD = .pl
| 국가 코드 = 616, PLU, PL
| 국제 전화 코드 = +48
| 링크 주소 =
| 링크 설명 =
| 문양 =  
| 문양 크기 =
 
| ID-1 = 1
| ID-2 = 2
| ID-3 = 3
| ID-4 = 4
| ID-5 = 5
| ID-6 = 6
| ID-7 = 7
| ID-8 = 8
}}
 
 
{{목차}}
{{목차}}


104번째 줄: 153번째 줄:
2월 3일, 총선 실시 후, 컨텐츠 부족과 소통률 하락으로 인해 고심하던 호헝은 폴란드-리투아니아에서 모전을 개최하기로 결심하고 1차대전 시즌을 개장한다. 모의전 시즌은 대단히 성공적이었으며 70명을 달성한 후 정체되던 인구 증가세는 다시금 상승해 빠른속도로 90명을 찍었다.
2월 3일, 총선 실시 후, 컨텐츠 부족과 소통률 하락으로 인해 고심하던 호헝은 폴란드-리투아니아에서 모전을 개최하기로 결심하고 1차대전 시즌을 개장한다. 모의전 시즌은 대단히 성공적이었으며 70명을 달성한 후 정체되던 인구 증가세는 다시금 상승해 빠른속도로 90명을 찍었다.


그러자, 90명 달성 이후엔 [[호헝]]이 학업을 위해 옾챗을 한동안 못하게 되면서 인구가 지속적으로 빠져나가는 조짐이 보이기도 하였으나 당시 부방이었던 베니토의 외교활동으로 간신히 80명대 중후반의 인구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90명 달성 이후엔 [[호헝]]이 학업을 위해 옾챗을 한동안 못하게 되면서 인구가 지속적으로 빠져나가는 조짐이 보이기도 하였으나 당시 부방이었던 베니토의 외교활동으로 간신히 80명대 중후반의 인구를 유지하고 있었다.


결국 3월 초순, 호헝이 옾챗에 복귀하면서 폴리투방을 살리기
결국 3월 초순, 호헝이 옾챗에 복귀하면서 폴리투방을 살리기
위해 타방에 적극적으로 홍보를 하고 맞방을 하는 등의 노력으로 3월 5일 하루만에 90명대를 회복하고 100명을 거쳐 110명까지 달성하며 인구가 지속적으로 성장해가고 있다.
위해 타방에 적극적으로 홍보를 하고 맞방을 하는 등의 노력으로 3월 5일 하루만에 90명대를 회복하고 100명을 거쳐 110명까지 달성하며 인구가 지속적으로 성장해가고 있다.
이후, 판타지모전을 개장하였고 현재진행중이다.
이후, 판타지모전을 개장하였으나 며칠 안가 종료하였다.
 
반면 옾챗 복귀이후, 인구는 계속해서 증가하였고 소통률도 폭증하였다. 3월 초순 시작한 2대총선은 높은 관심을 받아 현재까지 총 13명의 후보가 나왔고, 인구는 130명을 달성해 현재 카국 인구 7위의 대국이 되었다.
 
총선이 끝난 후, 주요 방원들이 옾접이나 정지로 부득이하게 이탈하자 폴리투의 인구와 소통률은 소폭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나, 4월 13일에 열린 3대 총선 이후엔 인구를 회복하고 여러 가국인들이 새로 유입되거나 복귀하여 다시금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그러나 4월 후순, 호헝이 영정에 걸림에 따라 방폭이 불가피해졌고 결국 호헝이 부계정 가입을 위해 본계를 계삭하므로써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은 일시적으로 멸망하였다.
그러나 국왕 호헝의 재건 의지가 넘치고 주요 인원들도 모두 살아남은만큼 국가 재건 난이도는 쉬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경제==
==경제==
그런 거 없다.
그런 거 없다.
==정치==
==정치==
국가원수는 폴란드국왕인 호헝과 리투아니아 대공인 베니토 무솔리니이다. 또한 사실상 현재 카국은 정치와 모전으로 먹고 사는만큼, 방장은 정치활성화를 위해 각별히 노력했다. 현재 1대 의회가 운영중에 있고 여당은 자공이 이끄는 사회민주당 단독이다.
국가원수는 폴란드국왕인 호헝과 리투아니아 대공인 베니토 무솔리니이다. 또한 사실상 현재 카국은 정치와 모전으로 먹고 사는만큼, 방장은 정치활성화를 위해 각별히 노력했다.  
폴리투 구경자 왈 ) 폴리투의 정치는 제대로 틀도 안잡혀 있고 선거 이후엔 정치 컨텐츠가 대폭 감소하는 등 부실하지만, 선거와 선거방송의 재미는 역대 가국 중 최고 수준이라고 한다.


2월 13일, 인류제국-오스트리아-대영제국 전쟁에 대해 신속히 대처하기 위해 비상대책위원회가 소집되었다.
2월 13일, 인류제국-오스트리아-대영제국 전쟁에 대해 신속히 대처하기 위해 비상대책위원회가 소집되었다.
122번째 줄: 179번째 줄:
현재 친인류를 표방하고 있다.
현재 친인류를 표방하고 있다.


고립주의 외교가 원칙이었으나 점차 [[에리히]]의 [[스페인 제국]]과 동맹을 맺은 이후론 기존의 외교정책을 탈피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분류:폴란드]]
[[분류:폴란드]]

2025년 5월 3일 (토) 18:09 기준 최신판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 이름이 같은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폴란드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폴리투 국장.png
폴란드 왕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

Kingdom of Poland and Grand Duchy of Lithuania
폴리투 국기.png 폴리투 국장.png
국기 국장
Si Deus Nobiscum quis contra nos
하나님이 우리 편에 있으니 그 누가 대적하리오
상징
국가 어머니 조국 폴란드여, 기뻐하라
국화 팬지꽃
국조 흰꼬리수리
역사
[ 펼치기 · 접기 ]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바르샤바
최대도시 바르샤바
면적 455,020km²
접경국 라트비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체코-슬로바키아, 러시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폴란드 왕관령 1개 광역시, 13개 주
리투아니아 대공국 8개 주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총 인구 66,782,114명
인종 구성 폴란드-리투아니아인 84.9%, 우크라이나인 7.4%, 벨라루스인 4.1%, 러시아인 1.7%, 기타 1.9%
인구밀도 146.76명/㎢
출산율 1.83명
기대 수명 78.7세
공용어 라틴어명목상, 폴란드어, 리투아니아어
국민어 폴란드어, 리투아니아어
공용 문자 라틴 문자
종교 국교 국교 없음
분포 가톨릭 84.3%
무종교 9.6%
정교회 4.2%
개신교 1.6%
기타 2.1%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체제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동군연합, 폴란드식 군주제, 폴란드식 공화제
민주주의 지수 167개국 중 18위 (완전한 민주주의)
폴란드 국왕, 리투아니아 대공 호헝, 베니토 무솔리니(모의전)
총리
부총리
세임 의장
연방 대법원장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GDP
(명목)
전체 GDP $3조 41억
1인당 GDP $44,985
GDP
(PPP)
전체 GDP $3조 4,967
1인당 GDP #52,361
국부 $13조 763억
수출 $5,768억
수입 $4,951억
외환보유액 $3,789억
신용등급 무디스 Aa2
S&P AA
Fitch AA+
화폐 공식 화폐 폴란드-리투아니아 즈워티(zł)
ISO 4217 PLZ
세입 $9,673억
세출 $1조 129억
지니 계수 0.33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1(서머타임제 실시)
도량형 SI 단위
통행방향 오른쪽
외교
[ 펼치기 · 접기 ]
UN 가입 가입국
UN 가입일 1945년
ccTLD
.pl
국가 코드
616, PLU, PL
국제 전화 코드
+48


개요

호헝이 2024년에 건국하여 한차례의 몰락 이후, 2025년부터 재건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카카오톡 가상국가이다.

역사

2024년 초순, 당시 호헝 모의전을 운영하고 있던 호헝은 문득 다시 가국계에 진출해야겠다 마음먹고 폴란드-리투아니아를 건국하였다. 당시 폴란드 국왕은 호헝이었고 리투아니아 대공은 솔로부대였다. 폴란드-리투아니아는 건국하자마자 빠른 속도로 인구 60명을 달성하는 등 초기에는 승승장구하였으나, 호헝의 가국경험 미숙과 본방에서 인구지원이 더뎠던 탓에 정작 이후에는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못했고 몇 달 뒤, 외부침입으로 멸망한다.

2025년 초순, 호헝모의전 부방장이었던 베니토 무솔리니의 가국 진출 제안으로 인해 호헝 모의전의 가국 진출 계획은 급속도로 진전된다. 그러나 정작 방 개설 직후인 2025년 1월 3일부터 1월 23일까지는 베니토가 가국을 키우려 하지 않아 소통률도 적었고 인구도 방 개설 후 3주가 지났는데 20명대였다.

1월 23일, 호헝은 그냥 자신이 가국을 운영해야겠다고 생각하고 (모전을 유기하고...) 직접 방장을 넘겨받은 후, 국가이름을 자신의 이전 가국명이었던 폴란드-리투아니아로 변경하고 국가시스템을 정비하였다. 1월 25일부터 호헝은 자신의 가국 인맥과 맞방노가다, 본방에서의 인구지원을 통해 인구를 약 70명대까지 불렸다.

1월 31일엔 첫 총선이 시작되었고, 후보자는 약 9명 그닥 성공적이라 부를 순 없지만, 고정인구가 적고 신생가국인 걸 감안하면 나쁘지 않은 성과였다. 이 총선에서 자공이 이끄는 사회민주당이 압승을 거둬 2월 1일엔 자공 내각이 출범한다.

2월 3일, 총선 실시 후, 컨텐츠 부족과 소통률 하락으로 인해 고심하던 호헝은 폴란드-리투아니아에서 모전을 개최하기로 결심하고 1차대전 시즌을 개장한다. 모의전 시즌은 대단히 성공적이었으며 70명을 달성한 후 정체되던 인구 증가세는 다시금 상승해 빠른속도로 90명을 찍었다.

그러나, 90명 달성 이후엔 호헝이 학업을 위해 옾챗을 한동안 못하게 되면서 인구가 지속적으로 빠져나가는 조짐이 보이기도 하였으나 당시 부방이었던 베니토의 외교활동으로 간신히 80명대 중후반의 인구를 유지하고 있었다.

결국 3월 초순, 호헝이 옾챗에 복귀하면서 폴리투방을 살리기 위해 타방에 적극적으로 홍보를 하고 맞방을 하는 등의 노력으로 3월 5일 하루만에 90명대를 회복하고 100명을 거쳐 110명까지 달성하며 인구가 지속적으로 성장해가고 있다. 이후, 판타지모전을 개장하였으나 며칠 안가 종료하였다.

반면 옾챗 복귀이후, 인구는 계속해서 증가하였고 소통률도 폭증하였다. 3월 초순 시작한 2대총선은 높은 관심을 받아 현재까지 총 13명의 후보가 나왔고, 인구는 130명을 달성해 현재 카국 인구 7위의 대국이 되었다.

총선이 끝난 후, 주요 방원들이 옾접이나 정지로 부득이하게 이탈하자 폴리투의 인구와 소통률은 소폭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나, 4월 13일에 열린 3대 총선 이후엔 인구를 회복하고 여러 가국인들이 새로 유입되거나 복귀하여 다시금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그러나 4월 후순, 호헝이 영정에 걸림에 따라 방폭이 불가피해졌고 결국 호헝이 부계정 가입을 위해 본계를 계삭하므로써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은 일시적으로 멸망하였다. 그러나 국왕 호헝의 재건 의지가 넘치고 주요 인원들도 모두 살아남은만큼 국가 재건 난이도는 쉬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경제

그런 거 없다.

정치

국가원수는 폴란드국왕인 호헝과 리투아니아 대공인 베니토 무솔리니이다. 또한 사실상 현재 카국은 정치와 모전으로 먹고 사는만큼, 방장은 정치활성화를 위해 각별히 노력했다. 폴리투 구경자 왈 ) 폴리투의 정치는 제대로 틀도 안잡혀 있고 선거 이후엔 정치 컨텐츠가 대폭 감소하는 등 부실하지만, 선거와 선거방송의 재미는 역대 가국 중 최고 수준이라고 한다.

2월 13일, 인류제국-오스트리아-대영제국 전쟁에 대해 신속히 대처하기 위해 비상대책위원회가 소집되었다.

문화

호헝 모의전에서 상당 수의 운영진과 유저들이 건너온 만큼, 모의전이 잘 발달되었고 퀄리티도 좋다.

외교

현재 친인류를 표방하고 있다.

고립주의 외교가 원칙이었으나 점차 에리히스페인 제국과 동맹을 맺은 이후론 기존의 외교정책을 탈피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