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히

링크= 스페인 제국(카카오톡)의 공식 문서입니다.
본 문서를 관계자의 허용 없이 무단 편집할 시, 처벌 받을 수 있으니 편집 요청은 관계자에게 문의하십시오.
스페인 제국 문장.jpg

스페인 제국 역대 황제

[ 펼치기 · 접기 ]
스페인 제국 세피로트 왕조 초대 황제
하인리히 9세
Aris Ignatius Heinrich Erich Von Sephirote
Erichvonsephirote4444.jpg
출생
서기 1948년 3월 20일 (만 27세)
에리스 제국 세피로트
재임기간
스페인 제국 황제
1975년 11월 25일 ~
서명
에리히서명.png
[ 펼치기 · 접기 ]
본관
Von Sephirote (폰 세피로트)
본적
에리스 제국 세피로트
자녀
프렌시아 폰 세피로트
병역
스페인 제국군 대원수 (현역)
약칭
에리히 (Erich)
체스 레이팅
1598 (2024년 12월 22일)
체스 레이팅 (최고)
1842

개요

Erich 또는 에리히카카오톡 가상국가 정치인[1]이자 군인[2]이다.

정치 변천사

익스테딕 공화국

익스테딕국기.svg 익스테딕 공화국의 대통령
[ 펼치기 · 접기 ]
익스테딕국기.svg 익스테딕 공화국의 국무총리
[ 펼치기 · 접기 ]

사회공화당

제도개혁당

제16대 국무총리

제18대 대통령

제22대 국무총리

제5대 부통령 권한대행

독일 연방

독일의 통일을 위해 독일연방을 창설했다. 또한 대독일국 과의 전쟁에서 대독일국 총통 아돌프 히틀러를 정지시켜 사실상 승리를 거두었다. 또 프로이센-채팅방 전쟁 에서 첩자로 위장잠입, 강퇴테러로 채팅방을 박살낸 후 승리를 거두었다!

독일 제4제국

맨 처음엔 독일 연방 공화국 총리로 시작했으나, 후에 국민투표를 통해 황제로 즉위하였다.

영국

대영 정부 로고.png
영국국왕
[ 펼치기 · 접기 ]
폰 세피로트
초대
은하예
제2대
에리히
윈저 왕조
제3대
조지3세

영국연방의 국왕이다.

토고

토고 국기.svg

토고 공화국 역대 대통령

[ 펼치기 · 접기 ]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파르니예프 최서영 파르니예프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에리히 함태희 에리히 함태희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함태희 함태희 함태희 마쉬 이들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이스라엘 붉정

전 토고 대통령이다. (7대,9대)

독일 제2제국

전 독일 수상 겸 보수당 대표이다.

뤼베크 왕국

뤼베크왕국국장.png
뤼베크 왕국 총리
[ 펼치기 · 접기 ]
초대
광개수
제2대
코코넛
5.16 비상계엄
제이[3]
모의전 체제
권지용
제3대
에리히
임시국왕직속
공석
제4대
에리히
국왕단독
아즈라엘[4]
제5대
연누
뤼베크왕국국장.png
뤼베크 왕국 국민회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1대 내각 (2024.04.08 ~ 2024.05.07)
제1대
캐탈린
제2대
에리히
제3대
에리히
제4대
에리히
제2대 내각 (2024.05.07 ~ 2024.05.16)
제5대
코코넛
5.16 비상계엄 체제 (2024.05.16 ~ 2024.05.22)
국가임시통수권자
제이
모의전 체제 (2024.05.22 ~ 2024.06.10)
최고운영자
제이
부운영자
권지용
임시국왕체제 (2024.06.10~2024.06.19)
내각 공백
공석
제3대 내각 (2024.06.19 ~ 2024.09.02)
제6대
캐탈린
제7대
훈련교관
임시국왕체제 (2024.09.02 ~ 2024.09.10)
내각 공백
공석
제4대 내각 (2024.09.10 ~ 2024.11.23)
제8대
에리히
국왕단독체제 (2024.11.23 ~ 2025.05.12)
내각 기능 정지
공석
국민회의장 대행
게오르크
제5대 내각 (2025.05.12 ~ 현재)
제9대
에리히
제10대
에리히

뤼베크 왕국의 제3대·4대 총리 및 제2대·3대·4대·8대·9대·10대 국민회의장을 역임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뤼베크 왕국/정치 문서 참조.

사상 변천사

정치관

사회보수주의

반나치즘

반나치즘 성향을 드러낸다. [5]

국민여러분, 저들은 가국의 평화를 어지럽히며 사람들의 분노를 사고 있습니다. 저들은 거짓말을 밥먹드시 하며,저희의 국가를 얕보며 휴전 협정을 무시하고 선제공격을 감행하였습니다. 이것은 험악하고 사악하며 비겁한 용납될 수 없는 행동이며, 국가간의 신뢰를 저버리는 행동입니다.따라서 저희 북독일 제4제국은 독일 연방과 함께 저들에게 보복할것이며,우리는 저 간악한 국가사회주의자들을 짓밟을 것입니다.



-독일 연방의 수장이자 북독일의 황제인 에리히


대독일국-독일 연방 전쟁 당시 전쟁 연설문

현재는 대독일국 측과 친하게 지내고 있다.

군주주의

군주주의자이다. 여럿 다른 공화제 가국에서 군주주의를 주장하는 중이며, 군주주의 정당을 만들어 활동 중이다.

경제관

사회관

평가

긍정적 평가

그는 카국에 기록될 가치가 있는 위인이다.
- 은하예
그는 카국의 비스마르크와 같은 존재입니다.

-𝒜 ReinhardScheer ✠

착하다.
- 류다
정치에 있어서는 카국 최상위권이라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존경스러운 분...
- 제이

부정적 평가

나빳다.. 에리히말리아산맥..

-류다

여담

  •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군주주의자이다. 그래서 공산주의자와 사이가 안 좋다.
  • ~오 라는 말투를 사용한다. [6][7]
  • 피곤할 때 오타가 많이 난다.
  • 인천을 매우 극도로 사랑한다. [10]
  • 피곤할 때와 안 피곤할 때의 인격이 다르다. [11]
  • 최근 WOW 라는 감탄사 대신 "WiW" 라는 감탄사를 자주 쓰는데, 이 역시 오타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12]

어록

카국에서 경제는 숫자놀이에 불과하다.
-에리히


세상에 정상은 없다.
-에리히


[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Österreich-Ungarisches Kaiserreich]

네프티스 연합에 가입한 국가들이여, 우리는 현재 인류제국과 대성전을 함께할 기회를 얻었다. 네프티스는 카국을 삼키려고 하는 제국주의 연합에 불과하다. 평소에 인류제국이 전쟁광이라고 말하고 다니는 네프티스의 모순이 아니겠는가? 네프티스 연합에 가입되어 있는 국가들이여, 그리고 국민들이여, 우리는 인류제국의 대의에 참여해야 한다. 네프티스는 상호간 소통도 원활하지 않으며, 가입국들끼리 싸우기 바쁘다. 이런 네프티스가 황제님 아래 뭉친 인류제국을 감히 이길 수 있겠는가? 그저 부패한 연합 따위가 인류제국을 이길 수 있겠는가? 우리는 제국주의적 팽창욕구를 보이는 네프티스를 규탄 및 탈퇴하고 인류제국의 대의에 함께해야 한다. 우리는 인류제국의 시대에 살고 있으며, 인류제국이 카국의 구원자이다. 카국을 위한 더 나은 판단을 위해 우리는 선택을 해야한다. 부패한 연합인 네프티스이냐, 황제님 아래 뭉친 정의로운 인류제국이냐. 이미 정해진 답을 맞추기는 너네들 선택에 달렸다.

For the Emperor.

사실 오늘은 아무 날도 아닙니다. 허나 인천을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하기위해 " 인천을 사랑합시다 " 라는 구호를 전 카국에 전달했습니다. 사실 인천을 마계라 칭하며 피하는 분들이 많이 계실겁니다. 허나 인천 시민으로서 말씀해드리자면 인천은 안전합니다. 여러분이 아시는 마계라는 별명은 영화가 만들어낸 이미지입니다. 낭만의 도시, 문화의 도시, 모든 길로 통하는 인천. 오늘 카국은 저로 인해 1분동안 잠시 인천 공화국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인천에 대한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인천 만세.

-에리히

각주

  1. 대표적인 경력으론 익스테딕 공화국 대통령과 독일 제2제국 수상.
  2. 작성시간 기준 인류제국군 프라이마크
  3. 국가임시통수권자
  4. 인류제국군 제1군단 "다크 엔젤" 제2중대장. 국왕 제이의 상관이다.
  5. 하켄크로이츠를 국기로 사용했단 이유로 전쟁도 일으켰었다. 결과는 승리.
  6. 예: 알겠어오, 감사해오
  7. 본인 피셜 오타에서 시작됐다 한다.
  8. 평생 소원이 케빈 데 브라위너의 싸인을 받는 것이라 밝혔다.
  9. 허나 케빈 데 브라위너가 이번 시즌 맨시티를 떠나는게 유력하여 이 꿈은 이루어질 수 없게 될 가능성이 높다
  10. 2024년 7월 25일 새벽 1시경, 전 카국에 " 인천을 사랑합시다 " 라는 구호를 외쳤다.
  11. 피곤할 때는 안 피곤할 때보다 장난끼가 많아지고 친근해진다. 안 피곤할 때는 평온한 편
  12. LoL을 LiL로 가끔 썼었다.

논란 및 사건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