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가상국제연합 중앙세계관 국가목록}} | | {{마리아나 세계관 국가목록}} |
| {{국가 정보 양식 | | {{국가 정보 양식 |
| | 틀 끝색 = #DBA901 | | | 틀 끝색 = #DBA901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원어표어 글씨색= #000000 | | | 원어표어 글씨색= #000000 |
| | 국가 = 조국의 부름 | | | 국가 = 조국의 부름 |
| | 국화 = 송화 | | | 국화 = 수선화 |
| | 국조 = 매 | | | 국조 = 매 |
| | 국목 = | | | 국목 = 소나무 |
| | 지도 = 파일:대부여국 시급 행정경계도2.png | | | 지도 = 대부여국위치지도.svg |
| | 면적 = 2,356,508km² | | | 면적 = 2,356,508km² |
| | 수도 = 예성직할시 | | | 수도 = 예성직할시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 전체인구 = 181,959,424명 | | | 전체인구 = 181,959,424명 |
| | 민족구성 = 부여인, 한족, 조선족, 만주족, 러시아인 등 | | | 민족구성 = 부여인, 한족, 조선족, 만주족, 러시아인 등 |
| | 인구밀도 = 83.9명 | | | 인구밀도 = 83.9명/1km² |
| | 종교 = 국교 지정 없음 | | | 종교 = 국교 없음 |
| | 공용어 = 부여어 | | | 공용어 = 부여어 |
| | 지역어 = 중국어, 한국어, 몽골어, 만주어, 러시아어 | | | 지역어 = 중국어, 한국어, 몽골어, 러시아어 |
| | 군대 = 대부여국 국가군, 대부여국 국가해군 | | | 군대 = 대부여국 국가군<br>대부여국 국가해군 |
| | 행정구역 명칭1 = 최상위 행정구역 | | | 행정구역 명칭1 = 최상위 행정구역 |
| | 행정구역1 = 1직할시 5주 | | | 행정구역1 = 1직할시 5주 |
38번째 줄: |
38번째 줄: |
| | 행정구역3 = 14구 135시 113현 18기 | | | 행정구역3 = 14구 135시 113현 18기 |
| | 정치체제 = 대의민주주의 | | | 정치체제 = 대의민주주의 |
| | 국가원수 = [[남상은]] 황제 | | | 국가원수 = 광성제 |
| | 정부수반 = 재상 양혜영 | | | 정부수반 = 재상 양혜영 |
| | 여당 = {{부여협화당}} | | | 여당 = {{부여협화당}} |
| | 경제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 | 경제체제 = 자본주의 시장경제 |
| | GDP = 7,760,205,514,752$ | | | GDP = 7,760,205,514,752$ |
| | 1인당 GDP = 42,648$ | | | 1인당 GDP = 42,648$ |
54번째 줄: |
54번째 줄: |
| | 도량형 = SI 단위 | | | 도량형 = SI 단위 |
| | UN 가입여부 = 가입국 | | | UN 가입여부 = 가입국 |
| | UN 가입일 = | | | UN 가입일 = 1947년 7월 20일 |
| | ccTLD = .gb, .夫餘 | | | ccTLD = .gb, .夫餘 |
| | 국가코드 = GB, GBU | | | 국가코드 = GB, GBU |
| | 국제전화코드 = +83 | | | 국제전화코드 = +83 |
| }} | | }} |
|
| |
|
| |
| '''대부여국'''은 만주에 건국되었던 고대국가 부여를 이은 국가이다.
| |
|
| |
| 2017년 10월 31일 [[일반가입국]]
| |
|
| |
| 2018년 1월 6일 [[의장국]](이사국 지위)
| |
| 2018년 4월 3일 [[비상임이사국]] (득표율 1위)
| |
|
| |
| 2020년 1월 ??일 [[제 1세계관]]
| |
| 2021년 1월 ??일 [[제 3세계관]]
| |
|
| |
| ==행정 조직==
| |
| 대부여국의 황실 조직은 다음과 같다.
| |
|
| |
| *[[세은궁]]
| |
| **태정관
| |
| **부여황립은행
| |
|
| |
| 대부여국의 행정부 조직은 다음과 같다.
| |
|
| |
| *정국궁
| |
| **비서실
| |
| **방송통신위원회
| |
|
| |
| *재무부
| |
| **국세청
| |
|
| |
| *내무부
| |
| **검찰청
| |
| **경찰청
| |
|
| |
| *외무부
| |
| **재외공관관리청
| |
|
| |
| *문교부
| |
| **문화재청
| |
|
| |
| *국방부
| |
| **방위사업청
| |
| **국방과학연구소
| |
| **조병창
| |
|
| |
| *상공부
| |
|
| |
| *국토부
| |
| **기상청
| |
| **항공관리청
| |
| ** 철도청
| |
|
| |
| *보건부
| |
| **노동청
| |
|
| |
| == 지리 ==
| |
| {{본문|대부여국 지리}}
| |
| 대부여국은 크게 3개의 지역으로 나뉘어 있는데, 남만주, 북만주, 연해주 지역으로 나뉜다. 남만주 지역에 대부분의 인구와 산업이 집중되어 있으나, 중공업을 위시한 전통적 산업은 북만주, 연해주 지역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 |
|
| |
| === 위치와 면적 ===
| |
| [[대부여국]]은 전통적인 만주 지역을 점유하고 있는 국가로, 1,900,000km2의 면적을 가지고 있다. 북으로는 러시아, 서쪽으로는 중국, 남쪽으로는 한반도, 동쪽으로는 일본과 맞대고 있어 복잡한 국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
|
| |
| == 교육 ==
| |
| {{본문|대부여국 교육}}
| |
| '''대부여국의 교육'''은 홍익인간(弘益人間)과 인격도야를 바탕으로 한 인재양성 등 대부여국만의 교육목표를 가지고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대부여국 교육의 전담 부서는 [[대부여국 문교부]]이다. 대부여국의 교육과정은 6-3-3제도를 실시한다.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과정이며, 교육기본조례에 따라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까지는 의무교육제이다. 고등교육은 학생 자율의사에 따라 결정한다. 2018년 문교부 교육관련 자료에 따르면 대부여국의 총 학생수는 29,484,918명 이다. 초등학교의 개수는 총 21,602개교, 중학교는 총 13,273개교, 고등학교는 총 10,735개교, 대학교는 총 663개 대학이 있다. 전체 학교수는 46,273개의 학교가 있다.
| |
|
| |
| ==행정구역==
| |
| 대부여국의 행정구역은 1특별시, 7광역시, 6주(州), 27부(府), 1개 특별자치주가 있으며, 하위 행정구역으로 시(市)·군(郡)·구(區), 읍(邑)·면(面)·동(洞)·리(里)로 나뉜다.
| |
|
| |
| [[파일:Daebuyeo map1.png|200px|섬네일|대부여국 전도 (국토부 제작)|right]]
| |
|
| |
| 크게 주로는 6개와 특별자치주가 있다.
| |
|
| |
| *예화주
| |
| *서흥주
| |
| *제산주
| |
| *적원주
| |
| *호산주
| |
| *월령주
| |
|
| |
| *제주특별자치주
| |
|
| |
| == 교통 ==
| |
| 대부여국은 3면이 바다로 이루어져 있고 대륙과 연결되어 있어 다양한 교통이 발달해있다. 도로, 철도, 항만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교통체계가 있다.
| |
|
| |
| === 도로 ===
| |
| {{본문|대부여국 도로}}
| |
|
| |
| 대부여국의 도로 체계란 국도, 지방도, 고속국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국도는 국가에서 관리하는 도로이고 [[국토부]] [[교통청]]이 관리한다. 지방도는 주에서 관리하는 도로로, 각 주에서 관리한다. [[예성특별시]]에서 관리하는 도로는 예성특별시도로 따로 지정하여 예성특별시에서 관리한다.고속국도는 도로교통망의 중요한 축을 이루는 도로로, 자동차가 고속으로 다닐 수 있게 만든 도로이다. 관리자는 국토부 교통청이지만 산하에 기관을 두어 [[부여고속도로공사]] 에서 관리를 맡는다. 또한 부여고속도로공사 이외에 민자고속국도를 두어, 민간 기업이 고속도로 운영 /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 |
|
| |
| === 철도 ===
| |
| 대부여국의 철도 체계는 고속철도, 일반철도, 광역/도시철도로 나눌 수 있다.
| |
|
| |
| ==== 항공 ====
| |
| 대부여국의 국내 최고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세계 최고 수준인 [[공항]]이 두 곳이나 있다. [[인천국제공항(대부여국)|인천국제공항]]과 [[예성국제공항]]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 |
|
| |
| 그 외에도 국내선 노선간의 연결이 아주 잘 되어있어, 대부여국 국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교통수단 중 하나이다.
| |
|
| |
| ==국가 체제==
| |
| 일반적으로 [[입헌군주제]]를 채택중이며, 황실이 국가를 대표(상징)한다. 대부여국에선 재상이 국가를 담당한다. 재상은 내각을 꾸려 내치를 모두 담당하게 된다. [[연방제]]를 채택하지만 미국의 연방제와는 다르게 법을 통일한다. [[의원내각제]]를 채택하여 총선으로 내각이 모두 이루어진다.
| |
|
| |
| = 구 외교관계 =
| |
|
| |
| 동맹국
| |
| [[하늘미르 왕국]], [[대한국]], [[아사달 공화국]], [[앨런왕국]]
| |
|
| |
| 교류국 및 수교국
| |
| [[싱가포르]], 이한공화국, [[니우홀란트 연방]], [[마라우타 인민연방]], [[온라인시움제국]], [[싱가포르]], [[바람나라]], [[전월본국]], [[한빛국]], [[고려민주공화국]], [[정운백제국]], [[페레이션]], [[빈트제국]], [[프로이센 공화국]], [[멕시코 연방공화국]]
| |
|
| |
| 철수 및 단교국
| |
| [[포르모사 공화국]], [[중화민국]]
| |
|
| |
| == 같이보기 ==
| |
| [[대부여국 정당]]
| |
| [[대부여국 재상]]
| |
| [[대부여국 의회]]
| |
| [[대부여국 사법]]
| |
| [[대부여국 행정구역]]
| |
| [[대부여국 지리]]
| |
| [[대부여국 도로]]
| |
| [https://cafe.naver.com/greatbuyeo/7026 예성특별시]
| |
| [[대부여국 경제]]
| |
| [[대부여국 환]]
| |
| [[부여고속도로공사]]
| |
| [[대부여국 시간대]]
| |
| [[대부여국 국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