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클랜드 국제공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 현지명      =
| 현지명      =
| 영어명      = Auckland International Airport
| 영어명      = Auckland International Airport
| 로고        =  
| 로고        = Auckland Airport logo.svg.png
| 그림        = Auckland international airport from space.jpg
| 그림        = Auckland Airport.jpg
| 그림 사이즈 = 280
| 그림 사이즈 = 280
| 그림 설명  = 오클랜드 공항 위성사진
| 그림 설명  = 오클랜드 공항 위성사진
14번째 줄: 14번째 줄:
| 공항종별    = 민간
| 공항종별    = 민간
| 시간기준    = UTC+12
| 시간기준    = UTC+12
| 운영시간    =  
| 운영시간    = All time
| 소유기관    =  
| 소유기관    = Auckland International Airport Limited
| 운영기관    = Auckland International Airport Limited
| 운영기관    = Auckland International Airport Limited
| 지역        = [[오클랜드 특별시|오클랜드]]
| 지역        = [[오클랜드 특별시|오클랜드]]
62번째 줄: 62번째 줄:
| footnotes  = [http://worldaerodata.com/wad.cgi?id=NZ91632&sch=nzaa World Aero Data]
| footnotes  = [http://worldaerodata.com/wad.cgi?id=NZ91632&sch=nzaa World Aero Data]
}}
}}
'''오클랜드 국제공항'''({{llang|en|Auckland International Airport}}, {{공항 코드|AKL|NZAA}})은 [[뉴질랜드 왕국]]의 최대 도시 [[오클랜드 특별시|오클랜드]]에 있는 공항이다. [[뉴질랜드 왕국]]에서 가장 크고 바쁜 공항이고 매년 약 1300만 명이 이용한다. 마누카우 시(Manukau City)의 서부 외곽에 위치한 망게레(Mangere)에 있다. [[오클랜드 특별시]](Auckland City)와는 약 21km정도 떨어져 있다. 이용객은 [[2025년]]에 현재의 2배가 될 거라 예상하고 있다. 지역에 많은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뉴질랜드 왕국]] 경제에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에어 뉴질랜드]]의 [[허브 공항]]으로 [[오세아니아]]에서 네 번째로 바쁜 공항이지만 ([[시드니 공항]], [[멜버른 공항]], [[브리즈번 공항]]) 국제적으로 [[오세아니아]]에서 두 번째로 바쁜 공항이 된다. 또 하나의 활주로로 시간당 약 45대 정도의 [[비행기]]를 수용할 수 있다.
 
== 개요 ==
'''오클랜드 국제공항'''({{llang|en|Auckland International Airport}}, {{공항 코드|AKL|NZAA}})은 [[뉴질랜드 왕국]]의 최대 도시 [[오클랜드 특별시|오클랜드]]에 있는 공항이다. [[뉴질랜드 왕국]]에서 가장 크고 바쁜 공항이고 매년 약 1300만 명이 이용한다. 마누카우 시(Manukau City)의 서부 외곽에 위치한 망게레(Mangere)에 있다. [[오클랜드 특별시]](Auckland City)와는 약 21km정도 떨어져 있다. 지역에 많은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뉴질랜드 왕국]] 경제에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에어 뉴질랜드]]의 [[허브 공항]]이다.


== 역사 ==
== 역사 ==
=== 개요 ===
오클랜드 국제공항의 시작은 오클랜드 에어로 클럽이 활주로를 사용하면서 시작됐다. [[1928년]] 클럽에서 이 땅을 클럽의 비행기 3대를 주기시키기 위해 구매했다. 그 당시 클럽장은 "이곳은 공항이나 비행을 연습하기 매우 좋은 이점들을 가지고 있다. 접근이 용이하며 전선이나 건물, 안개가 없다."라고 기록했다.
오클랜드 국제공항의 시작은 오클랜드 에어로 클럽이 활주로를 사용하면서 시작됐다. [[1928년]] 클럽에서 이 땅을 클럽의 비행기 3대를 주기시키기 위해 구매했다. 그 당시 클럽장은 "이곳은 공항이나 비행을 연습하기 매우 좋은 이점들을 가지고 있다. 접근이 용이하며 전선이나 건물, 안개가 없다."라고 기록했다.


72번째 줄: 73번째 줄:
[[2001년]]에 발생한 [[9.11 테러]] 이후 [[2005년]]에 '안전하지 않은' 공항에서 온 테러리스트들이 사람이 많은 곳에 [[폭탄]]이나 [[무기]]를 들고 들어올 상황을 막기 위해 터미널을 개·보수했다.
[[2001년]]에 발생한 [[9.11 테러]] 이후 [[2005년]]에 '안전하지 않은' 공항에서 온 테러리스트들이 사람이 많은 곳에 [[폭탄]]이나 [[무기]]를 들고 들어올 상황을 막기 위해 터미널을 개·보수했다.


=== 확장 ===
 
오클랜드 국제공항은 현재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는 1950m짜리 2번째 주 활주로를 북쪽에 건설 중이다. 또 [[2011년]] [[뉴질랜드 왕국]]에서 열릴 럭비월드컵을 대비해 사업의 첫 번째 단계로 1200m 짜리 활주로를 소형 항공기들이 이용할 수 있게 건설하고 있다. 이 활주로들이 완공됐을 때 공항은 국제선 항공기를 좀 더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소형 항공기들은 제트엔진을 장착한 항공기의 제트엔진에서 나오는 바람에 안전하기 위해 거리를 두고 이동해야 하는데 이 때문에 오클랜드 국제공항에서 이,착륙지연이 자주 발생 했지만 새 활주로가 완공되면 이러한 일이 줄어들꺼라고 공항측은 기대하고 있다. 사업의 첫 번째 단계는 [[2007년]] [[11월]]에 시작됐다. 두 번째 단계는 국내선 제트 항공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활주로를 1650m로 늘리고 마지막 단계인 세 번째 단계에서 국제선 중형 항공기도 이용할 수 있도록 활주로를 2150m로 늘릴 계획이다. 또 새 국내선터미널도 활주로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새로 지어지는 활주로는 남쪽에 있는 주 활주로가 더 큰 항공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10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 사업에 약 12,000만NZ$([[뉴질랜드 달러]])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완공된 국제선 터미널의 증축은 대형 항공기인 [[에어버스 A380|에어버스 A380-800]]을 플랫폼으로 연결할 수 있게 했다. 현재 [[에미레이트 항공]]이 자사의 [[에어버스 A380|에어버스 A380-800]] 1대를 [[두바이]]-[[오클랜드(뉴질랜드 왕국)|오클랜드]] 노선에 투입해 직항 운행중이다. 2018년 6월 이후에는 [[두바이]]-[[응우라라이 국제공항|덴파사르]]-[[오클랜드(뉴질랜드 왕국)|오클랜드]] 노선을 운항 중이다.
 
오클랜드 국제공항은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는 1950m짜리 2번째 주 활주로를 북쪽에 신설하였다. [[https://cafe.naver.com/soshs/1563]]


== 국제선 터미널 ==
== 국제선 터미널 ==
88번째 줄: 90번째 줄:
! width="25%"|항공사!! width="100%", class="unsortable"|도착지
! width="25%"|항공사!! width="100%", class="unsortable"|도착지
|-
|-
|{{국기그림|뉴질랜드}} [[에어 뉴질랜드]] || [[골드코스트 공항|골드코스트]], [[나디 국제공항|나디]], [[누메아 라 톤투타 국제공항|누메아]], [[푸아모투 국제공항|누쿠알로파]], [[나리타 국제공항|도쿄(나리타)]], [[도쿄 국제공항|도쿄(하네다)]] <small>- ([[2019년]] [[7월 17일]] 재취항)</small>, [[히스로 공항|런던(히드로)]],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로스엔젤레스]], [[멜버른 공항|멜버른]], [[밴쿠버 국제공항|밴쿠버]], [[미니스토로 피스타리니 국제공항|부에노스아이레스]], [[브리즈번 공항|브리즈번]], [[인천국제공항|서울(인천)]] <small>- ([[2019년]] [[11월 23일]] 신규취항)</small>,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샌프란시스코]],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시카고(오헤어)]],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상하이(푸둥)]], [[시드니 공항|시드니]],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싱가포르]], [[애들레이드 공항|애들레이드]], [[라로통가 국제공항|아바루아]], [[팔레올로 국제공항|아피아]], [[니우에 국제공항|알로피]],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이베이(도원)]], [[파 국제공항|파파에테]], [[퍼스 공항|퍼스]], [[대니얼 K. 이노우에 국제공항|호놀룰루]], [[홍콩 국제공항|홍콩(첵랍콕)]], [[조지 부시 인터콘티넨털 공항|휴스턴]]<br />'''계절편''' : [[응우라라이 공항|덴파사르(발리)]], [[선샤인코스트 공항|선샤인코스트]], [[간사이 국제공항|오사카(간사이)]], [[케언스 공항|케언스]], [[떤선녓 국제공항|호치민]]
|{{국기그림|뉴질랜드 왕국}} [[에어 뉴질랜드]] || [[히드로 공항|런던(히드로)]],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로스엔젤레스]], [[시카고 국제공항|시카고]], [[휴스턴 국제공항|휴스턴]], [[JFK 국제공항|뉴욕(JFK)]], [[서우국제공항|서우]], [[칼리아리 국제공항|칼리아리]]
|-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항공]] || [[인천국제공항|서울(인천)]]
|{{국기그림|월본}} [[현성항공]] || [[서우국제공항|서우]]
|-
|-
|{{국기그림|중화인민공화국}} [[중국국제항공]] ||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베이징(서우두)]]
|}
 
=== 국내선 ===
{|class="wikitable sortable collapsible" style="font-size: 85%" width="80%" align=
|- bgcolor=lightgrey
! width="25%"|항공사!! width="100%", class="unsortable"|도착지
|-
|-
|{{국기그림|중화인민공화국}} [[중국남방항공]] ||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광저우]]
|{{국기그림|뉴질랜드 왕국}} [[에어 뉴질랜드]] || [[웰링턴 국제공항|웰링턴]], [[크라이스트처치 국제공항|크라이스트처치]], [[투타 공항|채텀제도]], [[더니든 국제공항|더니든]], [[퀸스타운 국제공항|퀸스타운]], [[기즈번 공항|기즈번]], [[로토루아 국제공항|로토루아]]
|-
|-
|{{국기그림|중화인민공화국}} [[중국동방항공]] ||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상하이(푸둥)]]
|}
|-
 
|{{국기그림|중화인민공화국}} [[하이난 항공]] || [[선전 바오안 국제공항|선전]], [[시안 셴양 국제공항|시안]]
=== 화물 노선 ===
{|class="wikitable sortable collapsible" style="font-size: 85%" width="80%" align=
|- bgcolor=lightgrey
! width="25%"|항공사!! width="100%", class="unsortable"|도착지
|-
|-
|{{국기그림|중화인민공화국}} [[쓰촨 항공]] || [[청두 솽류 국제공항|청두]]
|{{국기그림|뉴질랜드 왕국}} [[에어 뉴질랜드]] || [[칼리아리 국제공항|칼리아리]]
|-
|-
|{{국기그림|중화인민공화국}} [[톈진 항공]] || [[충칭 장베이 국제공항|충칭]], [[톈진 빈하이 국제공항|톈진]] <br />'''계절편''': [[시안 셴양 국제공항| 시안]]
|-
|{{국기그림|홍콩}} [[캐세이퍼시픽 항공]] || [[홍콩 국제공항|홍콩(첵랍콕)]]
|-
|{{국기그림|홍콩}} [[홍콩 항공]] || [[홍콩 국제공항|홍콩(첵랍콕)]] <small>- ([[2019년]] [[5월 22일]] 단항)</small>
|-
|{{국기그림|중화민국}} [[중화항공]] || [[브리즈번 공항|브리즈번]],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이페이(도원)]]
|-
|{{국기그림|타이}} [[타이항공]] || [[수완나품 국제공항|방콕(수완나품)]]
|-
|{{국기그림|싱가포르}} [[싱가포르 항공]] ||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싱가포르]]
|-
|{{국기그림|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항공]] ||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쿠알라룸푸르]]
|-
|{{국기그림|필리핀}} [[필리핀 항공]] ||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마닐라]]
|-
|{{국기그림|아랍에미리트}} [[에미레이트 항공]] || [[두바이 국제공항|두바이]] (직항편 포함), [[응우라라이 국제공항|덴파사르]]
|-
|{{국기그림|카타르}} [[카타르 항공]] || [[뉴도하 국제공항|도하]]
|-
|{{국기그림|미국}} [[아메리칸 항공]] || '''계절편''' :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로스엔젤레스]]
|-
|{{국기그림|미국}} [[하와이안 항공]] || [[대니얼 K. 이노우에 국제공항|호놀룰루]]
|-
|{{국기그림|미국}} [[유나이티드 항공]] || [[샌프란시스코 공항|샌프란시스코]]
|-
|{{국기그림|캐나다}} [[에어캐나다]] || '''계절편''' : [[밴쿠버 국제공항|밴쿠버]] <small>- ([[2019년]] [[12월 12일]] 취항)</small>
|-
|{{국기그림|칠레}} [[LATAM 칠레]] || [[코모도로 아르투로 메리노 베니테스 국제공항|산티아고]], [[시드니 공항|시드니]]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콴타스 항공]] || [[시드니 국제공항|시드니]], [[멜버른 공항|멜버른]], [[브리즈번 공항|브리즈번]] <br />'''계절편''' : [[퍼스 공항|퍼스]]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 [[브리즈번 공항|브리즈번]], [[골드코스트 공항|골드코스트]], [[멜버른 공항|멜버른]], [[라로통가 국제공항|아바루아]], [[푸아모투 국제공항|누쿠알로파]], [[시드니 국제공항|시드니]], [[팔레올로 국제공항|아피아]]<br />'''계절편''' : [[뉴캐슬 공항 (오스트레일리아)|뉴캐슬]]
|-
|{{국기그림|사모아}} 사모아 항공 || [[팔레올로 국제공항|아피아]]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제트스타 항공]] || [[케언스 공항|케언스]], [[골드코스트 공항|골드코스트]], [[멜버른 공항|멜버른]], [[시드니 국제공항|시드니]], [[라로통가 국제공항|아바루아]]
|-
|{{국기그림|피지}} [[피지 항공]] || [[나디 국제공항|나디]], [[나우소리 국제공항|수바]]
|-
|{{국기그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에어 타히티 누이]] || [[파 국제공항|파파에테]],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로스엔젤레스]]
|-
|{{국기그림|바누아투}} [[에어 바누아투]] || [[포트 빌라 바우어필드 국제공항|포트 빌라]]
|-
|{{국기그림|누벨칼레도니}} [[에어칼린]] || [[누메아 라 톤투타 국제공항|누메아]]
|}
|}
=== 국내선 ===
{{공항 목적지 목록
|{{국기그림|뉴질랜드}} 에어채텀스 | [[채텀 제도|채텀]], 와카타네, 왕가누이, 카피티 코스트
|{{국기그림|뉴질랜드}} [[에어뉴질랜드]] | [[크라이스트처치 국제공항|크라이스트처치]], [[더니든 국제공항|더니든]], [[퀸스타운 공항|퀸스타운]], [[웰링턴 국제공항|웰링턴]], 인버카길 <small>-(2019년 8월 25일 취항)</small>
|{{국기그림|뉴질랜드}} [[에어뉴질랜드]] ([[에어 넬슨]] 운영) | [[블레넘 (뉴질랜드)|블레넘]], [[기즈번 공항|기즈번]], 케리케리, [[넬슨 (뉴질랜드)|넬슨]], [[뉴플리머스]], 파머스톤 노스, 타우포, [[타우랑가]], 왕가레이
|{{국기그림|뉴질랜드}} [[에어뉴질랜드]] ([[마운트쿡 항공]] 운영) | [[네이피어 (뉴질랜드)|네이피어]], 파머스턴 노스, 타우랑가, [[넬슨 (뉴질랜드)|넬슨]], [[뉴플리머스]], [[로토루아 공항|로토루아]]
|{{국기그림|뉴질랜드}} 그레이트 베리어 항공 | [[해밀턴 국제공항|해밀턴]], 카이타야, 노스 쇼어, 오키위, 왕가누이, 휘티앙가
|{{국기그림|뉴질랜드}} [[제트스타 항공|제트스타 뉴질랜드]] | [[크라이스트처치 국제공항|크라이스트처치]], [[더니든 국제공항|더니든]], [[퀸스타운 공항|퀸스타운]], [[웰링턴 국제공항|웰링턴]]
|{{국기그림|뉴질랜드}} [[제트스타 항공|제트스타 뉴질랜드]] ([[이스턴 오스트레일리아 항공]] 운영) | [[넬슨 (뉴질랜드)|넬슨]], [[네이피어 (뉴질랜드)|네이피어]], 파머스턴 노스, [[뉴플리머스]]
}}
=== 화물 노선 ===
{{공항 목적지 목록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콴타스 프레이트]] ({{국기그림|미국}} [[아틀라스 항공]] 운영)<ref name=g>{{웹 인용 |url=http://www.qantas.com.au/cargo/pdf/FreighterSchedule.pdf# |제목=콴타스 프레이트 운항 스케줄 보잉 747F가 아틀라스에어 에서운영 하는 콴타스 노선이고 보잉 767이 익스프레스 프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운영하는 콴타스 노선이다. |확인날짜=2011-10-02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306085612/http://www.qantas.com.au/cargo/pdf/FreighterSchedule.pdf# |보존날짜=2014-03-06 |깨진링크=예 }}</ref> | [[시드니 공항|시드니]], [[로스엔젤레스 국제공항|로스엔젤레스]], [[호놀룰루 국제공항|호놀룰루]], [[오헤어 국제공항|시카고 오헤어]]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콴타스 프레이트]] ([[익스프레스 프레이터스 오스트레일리아]] 운영)<ref name=g/> | [[시드니 공항|시드니]], [[크라이스트처치 국제공항|크라이스트처치]], [[케언스 공항|케언스]]
|{{국기그림|독일}} [[DHL]]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타스만 카고 에어]] 운영) | [[시드니 공항|시드니]], [[누메아 라 톤투타 국제공항|누메아]]
|{{국기그림|싱가포르}} [[싱가포르 항공 카고]] | [[시드니 공항|시드니]], [[멜버른 공항|멜버른]],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싱가포르]]
|{{국기그림|미국}} [[페덱스 익스프레스]] |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광저우]], [[대니얼 K. 이노우에 국제공항|호놀룰루]], [[로스엔젤레스 국제공항|로스엔젤레스]], [[시드니 공항|시드니]]
|{{국기그림|뉴질랜드}} 에어 워크 | [[크라이스트처치 국제공항|크라이스트처치]], [[파머스톤 노스]]
}}


== 사건 및 사고 ==
== 사건 및 사고 ==
181번째 줄: 125번째 줄:
</gallery>
</gallery>


== 각주 ==
<references/>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 [http://www.aucklandairport.co.nz/ 오클랜드 국제공항 (뉴질랜드) 홈페이지]


{{뉴질랜드 왕국 공항}}
{{뉴질랜드 왕국 공항}}
 
----
[[분류:1928년 설립]]
[[분류:뉴질랜드 왕국]]
[[분류:뉴질랜드 왕국의 공항]]
[[분류:뉴질랜드 왕국의 공항]]
[[분류:오클랜드의 교통]]
[[분류:오클랜드의 교통]]
[[분류:1928년 개항한 공항]]
[[분류:오클랜드]]
[[분류:뉴질랜드 왕국의 교통]]

2020년 1월 7일 (화) 20:45 기준 최신판

오클랜드 국제공항
Auckland International Airport

Auckland Airport logo.svg.png

Auckland Airport.jpg
오클랜드 공항 위성사진

IATA: AKLICAO: NZAA
개요
공항종별 민간
시간기준 UTC+12
운영시간 All time
소유기관 Auckland International Airport Limited
운영기관 Auckland International Airport Limited
지역 오클랜드
위치 뉴질랜드 왕국 뉴질랜드 왕국
해발고도 7 m / 23 ft
좌표

남위 37° 00′ 29″ 동경 174° 47′ 30″ / 남위 37.00806° 동경 174.79167° / -37.00806; 174.79167

지도
[[파일:틀:위치 지도 뉴질랜드|240px|AKL (틀:위치 지도 뉴질랜드)]]
<div style="position: absolute; z-index: 2; top: 수식 오류: 알 수 없는 "[" 구두점 문자입니다.%; left: 수식 오류: 알 수 없는 "[" 구두점 문자입니다.%; height: 0; width: 0; margin: 0; padding: 0;">
<div style="font-size: 9pt; line-height: 120%; position: relative; top: -1.5em; width: 6em; 수식 오류: 알 수 없는 "[" 구두점 문자입니다.">AKL
활주로
방향 면적(m*m) ILS 표면
길이
05R/23L 3,635m/11,926ft YES 콘크리트
통계 (2015년 5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승객수 17,118,027
World Aero Data

개요

오클랜드 국제공항(영어: Auckland International Airport, IATA: AKLICAO: NZAA)은 뉴질랜드 왕국의 최대 도시 오클랜드에 있는 공항이다. 뉴질랜드 왕국에서 가장 크고 바쁜 공항이고 매년 약 1300만 명이 이용한다. 마누카우 시(Manukau City)의 서부 외곽에 위치한 망게레(Mangere)에 있다. 오클랜드 특별시(Auckland City)와는 약 21km정도 떨어져 있다. 지역에 많은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뉴질랜드 왕국 경제에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에어 뉴질랜드허브 공항이다.

역사

오클랜드 국제공항의 시작은 오클랜드 에어로 클럽이 활주로를 사용하면서 시작됐다. 1928년 클럽에서 이 땅을 클럽의 비행기 3대를 주기시키기 위해 구매했다. 그 당시 클럽장은 "이곳은 공항이나 비행을 연습하기 매우 좋은 이점들을 가지고 있다. 접근이 용이하며 전선이나 건물, 안개가 없다."라고 기록했다.

1960년 이곳을 오클랜드의 주요공항으로 이용하기 위한 공사가 시작됐다. 활주로는 마누카우항에서 지상으로 옮겨졌다. 첫 비행은 1965년 11월 시드니로 가는 에어 뉴질랜드 DC-8 이었고 공항은 이듬해에 공식으로 개항했다. 1977년 Jean Batten(뉴질랜드의 최초 여성 파일럿의 이름)이란 이름으로 새 국제선터미널을 완공했다.

2001년에 발생한 9.11 테러 이후 2005년에 '안전하지 않은' 공항에서 온 테러리스트들이 사람이 많은 곳에 폭탄이나 무기를 들고 들어올 상황을 막기 위해 터미널을 개·보수했다.


오클랜드 국제공항은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는 1950m짜리 2번째 주 활주로를 북쪽에 신설하였다. [1]

국제선 터미널

출국

체크인 카운터는 국제 터미널 1층 동쪽 끝에 위치하고 있다. 오클랜드 국제 공항은 특이하게 체크인 카운터를 일자로 죽 늘어놨다. 체크인을 한 후 에스컬레이터를 통해 2층으로 올라가서 출국수속을 밟을 수 있다. 출국수속을 밟고 보안검색을 통과한후 탑승 로비에서 면세점을 이용할 수 있다.

입국

여행객들은 비행기에서 내린 후 바로 국제선 터미널 2층으로 온다. 국제선 이용객의 경우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서 1층으로 내려가기 전에 면세점을 이용할 수 있다. 입국 수속과 세관은 1층에서 통과하면 된다.

운항 노선

국제선

항공사 도착지
뉴질랜드 왕국 에어 뉴질랜드 런던(히드로), 로스엔젤레스, 시카고, 휴스턴, 뉴욕(JFK), 서우, 칼리아리
월본 현성항공 서우

국내선

항공사 도착지
뉴질랜드 왕국 에어 뉴질랜드 웰링턴, 크라이스트처치, 채텀제도, 더니든, 퀸스타운, 기즈번, 로토루아

화물 노선

항공사 도착지
뉴질랜드 왕국 에어 뉴질랜드 칼리아리

사건 및 사고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