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황제 이원: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table align=right><table width=300><bgcolor=#FFD732><-4><:>{{{#white {{{+1 '''대경제국 황제'''}}}}}}|| ||<-4><:><#FFD732>'''{{{#white 전황제 이원}}}''' || ||<:><-4>...)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table align=right><table width=300><bgcolor=#FFD732><-4><:>{{{#white {{{+1 '''대경제국 황제'''}}}}}}||
{{역대 대경제국 황제}}
||<-4><:><#FFD732>'''{{{#white 전황제 이원}}}''' ||   
{{왕족 정보
||<:><-4>[[파일:전황제 이원.png]]||
|이름    = 이원
||||<width=35%><bgcolor=#FFD732><:>{{{#white '''현직'''}}}||<-2><width=65%> 32대[* [[대경국]] 국왕직까지 포함할 경우], 6대 ||
|원래 이름= 李元
||||<width=35%><bgcolor=#FFD732><:>{{{#white '''재위 기간'''}}}||<-2><width=65%> 2017년 10월 25일~현재 ||
|그림    = 전황제 이원.png
||||<width=35%><bgcolor=#FFD732><:>{{{#white '''연호'''}}}||<-2><width=65%> 옥화(玉和) ||
|그림설명 =
본 문서는 황제 폐하를 설명하는 문서이기에 올림체를 사용했습니다.
|서명    =
==개요==
|문장    = 대경제국 황제기.png
{{인용문|대경제국 제2제국 헌법 제1장 총강 제1조 대경제국 황제폐하는 대경제국 국민으로부터 주권을 책임지심을 명시한다.}}
|문장설명 = 2018년 1월 1일 제정
|작위    = [[대경제국 황제]] 폐하
|재위    = 2017년 10월 25일 ~ (현재)
|전임자  =
|작위2    =
|재위2    =
|대관식  = 2017년 10월 25일
|즉위식2  =
|전임자2  = 청의태상황 [[이유수]]  
|후임자2  = (재위중)
|작위3 = [[황립군]]의 황립군총통수권자
|재위3 = 2017년 10월 24일~현재
|작위4    = [[대경제국]]의 황태제 전하
|재위4    = 2017년 9월 30일~2017년 10월 25일
|작위5    = [[대경제국]]의 친왕 전하 
|재위5    = 1987년 9월 30일~2017년 9월 29일
|총리2    = {{접이식 목록|제목=[[대경제국 총리대신]] |
* [[문재인(대경제국)|문재인]]
}}
|휘      = 이원 (李元)
|별호    = 흠선 (欽善)
|연호    = [[옥화 시대|옥화]] (玉和)
|묘호    =  없음
|존호    = 시윤평무창경헌량반인 친왕(施潤平務彰敬獻良班人 親王)-><br/>성양만민고경숭무청안시강명 황태제(聖梁萬民高敬崇務淸眼視强明 皇太弟)-><br/>고목민찰정사종진덕전 황제(高木民察政事終進悳悛 皇帝)
|시호    = 없음
|능호    = 없음
 
|출생일  = {{출생일과 나이|1962|3|1}}
|출생지  = [[스위스]] [[취리히]]
|사망일  =
|사망지  =
|매장지  =
|능묘    =
 
|왕조    = [[대경제국 황실]]
|가문    = 전주 이씨
|아버지  = [[의종]] 대황제 이강 
|어머니  = 기경태황태후 [[김화]]
|배우자  = [[황후 소씨]]
|자녀    = 이정친왕 [[이후]]<br/>금양내친왕 [[이청혜]]<br/>[[이광]]
|친인척  = 청의태상황 [[이유수]]<br/>정양친왕 [[이고]]<br/>성미내친왕 [[이요양]]<br/>준정친왕 [[이봉]]<br/>옥경공주 [[메건 마클]]
|종교    = 카톨릭(세례명: 베드로)
|복무      =
|복무기간  =
|소속      =
|계급      =  
|지휘      =  
|근무      =  
|참전      =


대경제국의 군주(君主)
|서훈 = 대훈위 금척대수장, 대훈위 서성대수장, 대훈위 이화대수장, 대훈위 은척대수장, 황태자 가례 기념장, 문화장, 황제 폐하 즉위 기념장, 상패
}}


본디 대경의 군주는 1392년 명나라가 태조 고황제 폐하께 ‘태왕(太王)’이라는 봉작을 하사하고 ‘대경국왕(大敬國王)’에 봉하여 ‘대경국 국왕’이 대경의 군주가 되었다. 하지만 1890년, 제국헌법이 제정되고 안종 태황제 폐하께옵서 칭제(稱帝)하신 [[황국제제(혹은 경인제제)]]에 따라 대경의 군주는 [[대경제국 황제]]가 되었다. 현행 황제이신 전황제 이원 폐하는 재작년 10월 25일 오후 3시 30분경을 전후로 하여 즉위함에 따라 10월 23일  23~24일까지 전황제 이원 폐하께옵서 대리청정을 하셨다. [* 당시엔 강명황태제 전하였다.]
==개요==
에 퇴위한 청의태상황 [[이유수]] 폐하께옵서는 태상황에 즉위하셨고(청의태상황) 새로히 즉위하신 전황제 이원 폐하의 연호는 옥화로 정하셨다.
[[대경제국]][[대경제국 황제|황제]]이다.
==타국에서의 칭호==
==생애==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공식 칭호은 대경제국 황제 폐하를 그대로 ‘대경제국 황제’라 읽는다.
===망명지에서 태어나다===
대경제국의 국민은 대경제국 제1제국 시절에는 천자, 제왕(帝王), 대황(大皇), 태황(太皇), 등으로 부르다가 제2제국 헌법에 따라 대경제국 황제 폐하가 공식 칭호로 규정되었다.
===환향===
영어권은 일본의 덴노처럼 ‘Emperor of korea’로 흔히 쓴다. 태국은 황제라는 뜻의 ‘마하라자’라 쓰며 동양에서는 덴노와 함께 유이하게 ‘Emperor’라 불리는 군주이다.
===평범한 황제(皇弟)로써의 삶===
옆나라 일본의 군주가 덴노, 즉 천황(天皇) 하늘의 황제라는 뜻으로 인해 국내에서 대경제국 황제 폐하라는 호칭을 폐지하고 태천황제(太天皇帝) 폐하로 격상하자는 의견이 있었지만 공식적으로 현재는 소멸됐다.
===황태제 책봉===
==역사==
===황제 즉위===
대경제국 황제 폐하는 1890년 [[안종]] 태황제께옵서 [[황국제제]]를 선포하시면서 칭제하셨다. 황제 폐하는 국무원을 통해 정사에 개입할 수 있으셨으나 3차례의 대 일본 전쟁(對日本戰爭)과 제2차 경일전쟁으로 국토가 황폐화가 된다. 이후 공화파 계열의 한반도 해방 정부가 정부에 참여하면서 황제 폐하의 권한이 축소되어갔는데 1946년에는 황제 폐하께옵서 정무를 보실 수 있는 권한과 국무원에서 내각의 정무와 행정에 대해 참관하는 권한을 가진 행정대신이 폐지되는 ‘개제법(改帝法)’이 제정되었고 1948년에는 ‘금권법(禁券法)’이 제정되어 황제 폐하께옵서 독자적으로 화폐를 발행할 수 있는 권한과 국가기밀문서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이 박탈되었다.
===현재===
1954년에는 정녹법(定綠法)이 제정되면서 국무원이 황제 폐하의 명령을 받잡고 녹화사업(綠化事業)을 벌일 수 있는 권한과 국무원의 민혜대신이 환경부의 내정에 간섭할 수 있는 권한이 박탈되었다. 1958년 국가보안법 개정과 함께 국무원의 정무권한을 대폭 축소하는 ‘개무법(改貿法)’이 제정되면서 황제 폐하의 권위는 이로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실추된다.
==개인사==
1960년 [[4.19혁명]]후 민주당은 아예 국무원의 정치적 권한을 완전히 배제시킨 의원내각제 형식의 헌법 제정에 착수하면서 황제 폐하는 여타 의원내각제 국가와 마찬가지로 국가의 상징과 대경제국 국민의 통합에 상징으로 남게 되는것인데 [[5.16 군사 쿠데타]]가 일어나면서 민주당 정권이 축출되었고 이어 박정희 의장이 제정 폐지를 선언하면서 황실 일가는 스위스로 망명하게 된다.
==생활==
황실은 이후 스위스에서 평범한 가정을 이루었고 본국의 제정복고파의 복벽운동에도 불구, 민주화 세력이 정권을 잡을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영원토록 대경제국 황제 폐하의 제정 복고는 물거품이 되는 줄 알았으나..
==정치적 행보==
자세한건 [[경회루 담판]]을 참조하시오. 자세한건 [[대경제국 황실 역사]]를 참조하시오.
==평가==
==권한==
==가족 관계==
1. 대경제국 황제 폐하는 만인이 인정하는 대경제국의 국가원수이시다.
==어록==
2. 대경제국 황제 폐하는 대경제국의 주권과 군 통수권을 가지고 있으시다.
* 2019년 1월 1일 신년사 인용
3. 대경제국 황제 폐하는 국가의 법령부터 칙령, 의정원과 총리대신이 제출하여통과시키려는 법률안에 대해 마땅히 거부권을 행사하실 수 있으시다.
{{인용문|세상이 평화롭다는건 잠시 동안의 달콤함이고 결국은 쓴 맛이 찾아온다. }}
4. 대경제국 황제 폐하는 각료 임명권, 총리대신 임명권, 지방행정구역 행정수반 임명권, 이외의 인사권을 행사하실 수 있으시다.
5. 대경제국 황제 폐하는 특정한 이들에게 봉작과 직책, 훈장, 등등의 명예를 부여, 하사하시거나 박탈하실 수 있으시다.
6. 대경제국 황제 폐하는 제국의전서열의 1위이시므로 마땅한 의전을 받으신다.
7. 대경제국의 모든 영지는 어면히 황제 폐하께옵서 하사하신 땅이므로 마땅히 황제 폐하가 다시 회수하실 수 있으시며 다시 재분봉하실 수 있으시다.
8. 대경제국 황제 폐하와 그 일가, 방계황족은 개정(開情)을 선택적으로 하실 수 있으시다.
9. 제국헌법에서 규정한 국가위기상황시 황제 폐하께옵서는 총리대신의 제청으로 긴급명령권을 발동하실 수 있으시며 그 외에도 자체적으로 발동하실 수 있으시다. 
10. 대경제국 황제 폐하와 그 일가는 면세권을 영구적으로 받으시며 또한 자발적으로 내실 수 있으시다.
11. 대경제국 황제 폐하는 대경제국의 국토법에 따라 정해진 국토의 모든 호랑이, 무궁화, 자두나무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으시며 이를 개개인이나 단체에 무기한 대여하실 수 있으시다.
12. 대경제국 황제 폐하는  ‘대경제국 황제 특권법'을 의정원에 개정안을 하사하시여 개정하실 수 있으시다.
13. 대경제국 황제 폐하는  ‘대경제국 황제 특권법'을 영원토록 누릴 수 있으시다.
==역대 대경제국 황제 폐하==
[[역대 대경제국 황제]]문서를 참조하시오.
==황사==
안종 태황제 폐하의 붕어하시고 강혜황태자 이척 전하가 황제에 즉위하셨다.
건황제 이척 폐하는 의인친왕 이은 전하를 황태자에 책봉하셨다.
건황제 이척 폐하가 붕어하고(순종 성황제) 의민황태자 이은 전하께옵서 황제에 즉위하셨다.
준황제 이은 폐하가 제2차 경일전쟁때 의문사하시고 유언으로 “내 아들들의 제위 계승권을 박탈하라”라는 칙령을 반포하면서(영종 문황제) 그의 직계인 성명대군과 이연대군의 제위 계승권이 박탈되었다.
이에 따라 제위 계승 서열 1위가 된 소경 친왕 이강 전하가 기경태황태후 폐하의 칙서로 황제에 즉위하였다.
강황제 이강은 황태자에 장남인 건료 친왕 이유수 전하를 책봉했지만 곧 이어 5.16 군사 쿠데타로 망명하셨다. 후일 다시 귀국하여 제정이 복고됐지만 복고 1달만에 붕어하시자 민화 황태자 이유수 전하가 황제에 오르셨다.
청의태상황 이유수 폐하는 남성 자녀가 없으시여 형제인 반인 친왕 이원 전하를 황태제에 책봉하셨다. 2018년 청의태상황 이유수 폐하께옵서 강명 황태제 이원 전하에게 양위하셨다.  
==기타==
==기타==
* 고양이 성애자인데 이정친왕 [[이후]]와는 달리 고양이를 무척 사랑해서 별궁을 만들어 전부 고양이로 채워넣으며 그 고양이만도 50마리인데 그 이름들을 다 기억한다. 항상 정무가 끝나면 이 별궁에 들어가서 고양이를 돌본다.
==둘러보기==
{{둘러보기 상자
|이름 = 황족 구성원
|제목 = [[대경제국]] 내정 [[대경제국 황실|황족]] 구성원
|내용속성 = hlist
|내용1 = 종주(種主)
* [[전황제 이원]]
* [[황후 소씨]]([[소혜원]])
|내용2 = 1촌
* 기경태황태후 [[김화]]
* 이정친왕 [[이후]]
* 금양내친왕 [[이청혜]]
* [[이광]]
|내용3 = 2촌
* 청의태상황 [[이유수]]
* 정양친왕 [[이고]]
* 성미내친왕 [[이요양]]
* 준정친왕 [[이봉]]
|내용4 = 3촌
* 애민황태후 [[한덕]]
* 정양친왕비 [[현순희]]
* 성미내친왕서 [[정인제]]
* 준정친왕비 [[이혜랑]]
* 옥경공주 [[메건 마클]]
* 경진공 [[이철]][* 정양친왕자]
* 신성여백 [[이경여]][* 정양친왕녀]
* 여자작 [[이운유]][* 정양친왕녀]
* 여자작 [[이애]][* 정양친왕녀]
* 현공 [[이생]][* 성미내친왕자]
* 이준여공 [[이윤세]][* 성미내친왕녀]
* 준배선경여백 [[이한선]][* 성미내친왕녀]
* 윤훈여자 [[이자애]][* 성미내친왕녀]
* 운공 [[이금]][* 준정친왕자]
* 성공 [[이백희]][* 준정친왕자]
* 대덕여백 [[이명헌]][* 준정친왕녀]
|내용5 = 4촌
* 경진공비 [[이애빈]]
* 신성여백서 겸 희인여백 [[정연서]]
* 여자작서 [[박준부]][* 이운유 정양친왕녀의 남편]
* 여자작서 겸 영흥백 [[성정균]][* 이애 정양친왕녀의 남편]
* 현공비 [[순애나]]
* 이준여공서 겸 남작 [[남궁정경]]
* 준배선경여백 겸 이궁장백 [[이찬정]]
* 윤훈여자서 [[이언]]
* 운공비 [[이송옹]]
* 성공비 [[이신애]]
* 대덕여백서 [[이윤부]]
* 숙정내친왕 [[이혜]][* 영종 2남 1녀중 외동딸]
* 옥경공주서 겸 성준백 [[이분]]
* 준부백 [[이주제]][* 옥경공주의 외동아들]
* 경진공녀 [[이덕]]
* 신성여백자 [[이기현]]
* 신성여백녀 [[이휴혜덕]]
* 여자작자 [[이몽성]][* 정양내친왕녀 이애의 외동아들]
* 현공녀 [[이효성]]
* 이준여공자 [[이문우]]
* 이준여공녀 [[이하연]]
* 준배선경여백자 [[이공당]]
* 성공녀 [[이명아]]
* 대덕여백자 [[이상]]
|내용6 = 5촌   
* 남작 [[이성]][* 성명대군의 장남]
* 여남작 이신성[* 성명대군의 차남]
* 여남작 [[이월윤]][* 성명대군의 외동딸]
* 남작 이윤우[* 이연대군의 외동아들]
* 여남작 이서비[* 숙정내친왕의 장녀]
* 여남작 이수은[* 숙정내친왕의 차녀]
* 여남작 [[이송여]][* 숙정내친왕의 3녀]
* 준부백비 [[이공녀]]
* 수환왕 [[이한]][* 준부백의 장남]
* 준무여왕 [[이은비]][* 준부백의 장녀]
* 남작 [[김문도]][* 경진공녀 이덕의 남편]
* 경성여왕 [[이현애]][* 경진공녀 이덕의 장녀]
* 남작 [[진중연]][* 이준여공녀의 남편]
* 이선왕 이혼옹[* 이준여공녀의 장남]
* 봉무왕 [[이별훈]][* 이준여공녀의 차남]
* 대성자 회송우[* 대덕여백자 이상의 남편]
* 정무공 이임[* [[순종]] 성황제의 동생, [[유순대군]]의 외동아들]
* 순전여공 이제인[* [[순종]] 성황제의 여동생, [[이명공주]]의 외동딸]
}}
==각주==
{{주석}}
[[분류:킹덤 오브 킹덤 세계관]]

2021년 12월 26일 (일) 06:07 기준 최신판

황실 문장.png
대경제국 황제
大敬帝國 皇帝
Emperor of Korea Empire
1대2대3대4대5대6대(재위중)
안종 태황제
(1890 ~ 1918)
순종 성황제
(1918 ~ 1932)
영종 문황제
(1932 ~ 1935)
의종 대황제
(1935 ~ 1961
1987~1988)
청의태상황 이유수
(1988 ~ 2017)
전황제 이원
(2017 ~ 현재)
이원
李元
전황제 이원.png
2018년 1월 1일 제정
2018년 1월 1일 제정
대경제국 황제 폐하
재위 2017년 10월 25일 ~ (현재)
대관식 2017년 10월 25일
전임자 청의태상황 이유수
후임자 (재위중)
총리
황립군의 황립군총통수권자
재위 2017년 10월 24일~현재
대경제국의 황태제 전하
재위 2017년 9월 30일~2017년 10월 25일
대경제국의 친왕 전하
재위 1987년 9월 30일~2017년 9월 29일
별칭
휘(諱) 이원 (李元)
별호 흠선 (欽善)
연호 옥화 (玉和)
묘호 없음
존호 시윤평무창경헌량반인 친왕(施潤平務彰敬獻良班人 親王)->
성양만민고경숭무청안시강명 황태제(聖梁萬民高敬崇務淸眼視强明 皇太弟)->
고목민찰정사종진덕전 황제(高木民察政事終進悳悛 皇帝)
시호 없음
능호 없음
신상정보
출생일 1962년 3월 1일(1962-03-01) (63세)
출생지 스위스 취리히
왕조 대경제국 황실
가문 전주 이씨
부친 의종 대황제 이강
모친 기경태황태후 김화
배우자 황후 소씨
자녀 이정친왕 이후
금양내친왕 이청혜
이광
기타 친인척 청의태상황 이유수
정양친왕 이고
성미내친왕 이요양
준정친왕 이봉
옥경공주 메건 마클
종교 카톨릭(세례명: 베드로)
서훈 대훈위 금척대수장, 대훈위 서성대수장, 대훈위 이화대수장, 대훈위 은척대수장, 황태자 가례 기념장, 문화장, 황제 폐하 즉위 기념장, 상패

개요

대경제국황제이다.

생애

망명지에서 태어나다

환향

평범한 황제(皇弟)로써의 삶

황태제 책봉

황제 즉위

현재

개인사

생활

정치적 행보

평가

가족 관계

어록

  • 2019년 1월 1일 신년사 인용
세상이 평화롭다는건 잠시 동안의 달콤함이고 결국은 쓴 맛이 찾아온다.

기타

  • 고양이 성애자인데 이정친왕 이후와는 달리 고양이를 무척 사랑해서 별궁을 만들어 전부 고양이로 채워넣으며 그 고양이만도 50마리인데 그 이름들을 다 기억한다. 항상 정무가 끝나면 이 별궁에 들어가서 고양이를 돌본다.

둘러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