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 =) |
(→권력)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 언론의 설득력은 그 보도가 대부분의 독자들의 관심사와 일치할 때 특히 효과적이다. 이는 특히 미국, 유럽 및 기타 유럽화 국가의 인종 및 민족 문제에 대한 보도의 경우이다. | * 언론의 설득력은 그 보도가 대부분의 독자들의 관심사와 일치할 때 특히 효과적이다. 이는 특히 미국, 유럽 및 기타 유럽화 국가의 인종 및 민족 문제에 대한 보도의 경우이다. | ||
* 연구가 계속해서 보여주듯이, 서유럽에서 소수민족 기자가 있는 신문은 거의 없으며, 더 높은 편집 직위에 있는 소수민족은 말할 것도 없다. 이런 점에서 언론(좌우 모두)은 자격 부족이나 본질적으로 피해자 탓을 하는 문화적 문제에 대한 투명한 주장으로 외국인의 접근과 홍보를 가로막는 다른 엘리트 기관이나 기업체들과 거의 다르지 않다. 그 결과, 뉴스룸, 편집회의, 그리고 뉴스 수집의 루틴은 주로 백인 중심이다 |
2022년 9월 15일 (목) 11:52 판
주의사항: 분야 별로 먼저 정리한 뒤 가나다순 및 ABC순으로 정리해주세요 |
문헌데이터베이스로 돌아가기 |
링크
- https://dare.uva.nl/search?identifier=6a4b8e05-624c-4d77-82c0-c9b53d5745f2
- https://www.academia.edu/19984983/Power_and_the_news_media
본문 내용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연구에서 대중매체가 대중들에게 미치는 다소 강력한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논쟁이 있어왔다. 이러한 입장과 경험적 주장을 검토하는 대신, 이 장은 뉴스 매체의 사회적 권력의 일부 속성을 보다 일반적인 용어로 검토한다. 이 권력은 미디어가 청중에게 미치는 영향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사회의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또는 경제적 권력구조의 더 넓은 틀 안에서 미디어의 역할을 논의한다.
권력
- 권력의 분석에서 또 다른 중요한 개념은 접근성이다. 권력은 일반적으로 가치 있는 사회적 자원에 대한 특별한 접근에 기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일반인에게 있어서, 변호사, 의사 또는 공무원과 같은 공무원이나 전문가와의 접촉과 접근은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면에서 제한된다. 비록 일반인들이 뉴스 매체를 이용할 수 있지만, 그들은 일반적으로 뉴스 내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또한 보통 뉴스 보도의 주요 행위자도 아니다.
- 뉴스 이해 또는 정신 모델 구축이 일반적이고 사회적으로 공유되는 지식의 기능이라면, 그러한 지식의 통제는 간접적으로 이해를 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뉴스 매체와 그것에 접근할 수 있는 정치 또는 다른 엘리트들이 중동에 있는 미국이나 다른 서방 국가들의 이익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독자들의 지식, 따라서 걸프전에 대한 그들의 이해는 제한적일 수 있다. 실제로, 그러한 대중의 이해가 미니멀한 것이 이러한 엘리트들에게 가장 이익이 될 수 있다.
- 언론의 설득력은 그 보도가 대부분의 독자들의 관심사와 일치할 때 특히 효과적이다. 이는 특히 미국, 유럽 및 기타 유럽화 국가의 인종 및 민족 문제에 대한 보도의 경우이다.
- 연구가 계속해서 보여주듯이, 서유럽에서 소수민족 기자가 있는 신문은 거의 없으며, 더 높은 편집 직위에 있는 소수민족은 말할 것도 없다. 이런 점에서 언론(좌우 모두)은 자격 부족이나 본질적으로 피해자 탓을 하는 문화적 문제에 대한 투명한 주장으로 외국인의 접근과 홍보를 가로막는 다른 엘리트 기관이나 기업체들과 거의 다르지 않다. 그 결과, 뉴스룸, 편집회의, 그리고 뉴스 수집의 루틴은 주로 백인 중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