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합중국/국방: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육군 무기 추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2CFCA>상비군 ||258,410 명 (2019년) ||
||<#D2CFCA>예비군 ||650,000 명 (2019년) ||
||||<#C4BD9B> [[멕시코 합중국 육군]] ||
||<#D2CFCA>3.5세대 [[전차]] ||0 대 ||
||<#D2CFCA>3세대 [[전차]] ||120대 ||
||<#D2CFCA>2세대 [[전차]] ||400 대 ||
||<#D2CFCA>'''전차 총합''' ||520 대 (2019년) ||
||<#D2CFCA>[[장갑차]](APCs/IFVs) ||1050 대 ([[2011년]]) ||
||<#D2CFCA>[[견인포]] ||250문 (2011년) ||
||<#D2CFCA>[[박격포]] ||400문 (2019년) ||
||<#D2CFCA>[[자주포]] ||250문 (2019년) ||
||<#D2CFCA>[[MLRS]] ||8대 (2019년) ||
||<#D2CFCA>수송 차량 ||2,410 대 ||
||||<#C4BD9B> [[멕시코 합중국 공군]] ||
||<#D2CFCA>'''공군기 총합''' ||240기 ||
||<#D2CFCA>[[헬리콥터]] ||240기(+ 120기)  ||
||<#D2CFCA>'''항공기 총합''' ||712기  ||
||||<#C4BD9B> [[멕시코 합중국 해군]] ||
||<#D2CFCA>[[항공모함]] ||0 척 (2019년) ||
||<#D2CFCA>GFP 기준 [[구축함]][* GFP는 한국이나 통상적인 기준보다 더 큰 배수량의 배를 기준으로 삼는다.] ||3척(+1척) (2019년) ||
||<#D2CFCA>GFP 기준 [[호위함]][* GFP는 호위함이란 단어를 한국 보다 더 큰 배수량의 배를 부를 때 사용한다.] ||4척(+4척) (2019년) ||
||<#D2CFCA>[[초계함]]([[고속정]]) ||52척(+8척)[* GFP는 초계함이나 고속정을 모두 초계함으로 처리했다. 초계함이나 고속정은 대규모 함대전에서 유효한 전력이 아니다. 이것들은 특작부대를 막을 때 한정적으로 유효하다.] (2019년) ||
||<#D2CFCA>[[잠수함]] ||3 척(+5척) (2019년) ||
||<#D2CFCA>'''전투함 총합''' ||172척 ||
= 개요 =
= 개요 =
멕시코 합중국의 군대. 다른 나라와 다르게 합동참모본부가 존재하지 않으며, 대신 3군의 통합군 개념으로 편성된 국방성이 이 기능을 수행한다. 멕시코의 주된 국방 정책은 합중국의 영토, 주권 및 자주 독립의 보전, 재해 발생시 복구 지원 및 공공질서의 유지, 밀입국 단속 및 대(對)마약 작전 수행, 해상 교통, 어로 및 베타적 경제 수역(EEZ)의 보호 및 통제이다. 군사력의 경우, 캐나다보다는 약간 강력한 군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중미 일대에서 대대 규모의 전투력을 투사할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을 갖추고 있다.
GDP 대비 국방비는 대략 2019년 기준 2.5%로, 분쟁이 비교적 많은 편이 아니고, 위에 미국이 있는 것을 감안할 때 GDP 대비 국방비의 비중이 높다고 볼 수 있다. 현재 기갑전력을 축소하고 헬기를 이용해 강습이 가능한 병력 투사 능력을 향상시키려고 하는 등, 선진국형 군대를 위해 발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 육군 ==
||||||||멕시코 육군의 [[전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보유 수량 ||
||[[M-1]]/[[M-1A1]]||[[MBT]] ||[[미국]] ||120대 ||
||[[M-60]]||[[MBT]] ||[[미국]] ||400 대 ||
|||||||| 멕시코 육군의 [[장갑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보유 수량 ||
||[[MX-41A]] ||[[APC]] ||[[미국]] ||300대 ||
||[[MX-41B]] ||[[IFV]] ||[[미국]] ||250 대 ||
||[[M113]]A3 ||[[APC]] ||[[미국]] ||500대 ||
|||||||| 멕시코 육군의 [[자주포]]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보유 수량 ||
||[[M109]]A5 ||[[SPG]] ||[[미국]] ||250대 ||


GDP : 19,200,070,000,000
국방비 : 689,957,000,000
GDP 대비 국방비 : 3.5%


== 육군 ==
|||||||| 멕시코 육군의 [[다연장]]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보유 수량 ||
||[[M270]] ||[[MLRS]] ||[[미국]] ||8문 ||


=== 육군항공대 ===
=== 육군항공대 ===

2019년 11월 13일 (수) 21:16 기준 최신판

상비군258,410 명 (2019년)
예비군650,000 명 (2019년)
멕시코 합중국 육군
3.5세대 전차0 대
3세대 전차120대
2세대 전차400 대
전차 총합520 대 (2019년)
장갑차(APCs/IFVs)1050 대 (2011년)
견인포250문 (2011년)
박격포400문 (2019년)
자주포250문 (2019년)
MLRS8대 (2019년)
수송 차량2,410 대
멕시코 합중국 공군
공군기 총합240기
헬리콥터240기(+ 120기)
항공기 총합712기
멕시코 합중국 해군
항공모함0 척 (2019년)
GFP 기준 구축함 GFP는 한국이나 통상적인 기준보다 더 큰 배수량의 배를 기준으로 삼는다.3척(+1척) (2019년)
GFP 기준 호위함 GFP는 호위함이란 단어를 한국 보다 더 큰 배수량의 배를 부를 때 사용한다.4척(+4척) (2019년)
초계함(고속정)52척(+8척) GFP는 초계함이나 고속정을 모두 초계함으로 처리했다. 초계함이나 고속정은 대규모 함대전에서 유효한 전력이 아니다. 이것들은 특작부대를 막을 때 한정적으로 유효하다. (2019년)
잠수함3 척(+5척) (2019년)
전투함 총합172척

개요

멕시코 합중국의 군대. 다른 나라와 다르게 합동참모본부가 존재하지 않으며, 대신 3군의 통합군 개념으로 편성된 국방성이 이 기능을 수행한다. 멕시코의 주된 국방 정책은 합중국의 영토, 주권 및 자주 독립의 보전, 재해 발생시 복구 지원 및 공공질서의 유지, 밀입국 단속 및 대(對)마약 작전 수행, 해상 교통, 어로 및 베타적 경제 수역(EEZ)의 보호 및 통제이다. 군사력의 경우, 캐나다보다는 약간 강력한 군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중미 일대에서 대대 규모의 전투력을 투사할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을 갖추고 있다.GDP 대비 국방비는 대략 2019년 기준 2.5%로, 분쟁이 비교적 많은 편이 아니고, 위에 미국이 있는 것을 감안할 때 GDP 대비 국방비의 비중이 높다고 볼 수 있다. 현재 기갑전력을 축소하고 헬기를 이용해 강습이 가능한 병력 투사 능력을 향상시키려고 하는 등, 선진국형 군대를 위해 발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육군

멕시코 육군의 전차
이름종류제조국보유 수량
M-1/M-1A1MBT미국120대
M-60MBT미국400 대


멕시코 육군의 장갑차
이름종류제조국보유 수량
MX-41AAPC미국300대
MX-41BIFV미국250 대
M113A3APC미국500대


멕시코 육군의 자주포
이름종류제조국보유 수량
M109A5SPG미국250대


멕시코 육군의 다연장
이름종류제조국보유 수량
M270MLRS미국8문

육군항공대

해군

해군항공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