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1939년 소련, 헝가리, 슬로베니아와 폴란드 분할 점령 | 1939년 소련, 헝가리, 슬로베니아와 폴란드 분할 점령 | ||
1940년 오스트리아 괴뢰화 | 1940년 오스트리아 괴뢰화 | ||
| 면적 = 540,857km² | |||
| 면적 = 540,857km² | |||
| 수도 = 베를린 | | 수도 = 베를린 | ||
| 최대도시 = 베를린 | | 최대도시 = 베를린 | ||
70번째 줄: | 68번째 줄: | ||
| UN 가입여부 = 가입 | | UN 가입여부 = 가입 | ||
| UN 가입일 = 1937년[* 내전으로 히틀러 정권을 축출하고 가입] | | UN 가입일 = 1937년[* 내전으로 히틀러 정권을 축출하고 가입] | ||
| ccTLD = . | | ccTLD = .DOEP | ||
| 국가코드 = | | 국가코드 = DOC | ||
| 국제전화코드 = +743 | | 국제전화코드 = +743 | ||
| 문양 = | | 문양 = 독제국장.png | ||
}} | }} | ||
[목차] | |||
== 개요 == | |||
독일 제국은 중부 유럽에 위치한 전제 군주국이다. | |||
== 국가 상징 == | |||
=== 국기 === | |||
||<table align=left><bgcolor=#ffffff> [[파일:독일 제국 국기.png|width=350]] || | |||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1b5e20><#1b5e20> '''{{{#ffffff 독일 제국의 국기}}}''' || | |||
독일제국 국기, 통칭 흑백적기는 독일 제2제국때부터 사용, 바이마르 공화국 때를 거쳐서 독일의 국기로 사용되었다. | |||
이후 반 히틀러 쿠데타 이후 독일 임시군사정부도 국기로 사용하였다. | |||
=== 국장 === | |||
||<table align=left><bgcolor=#ffffff> [[파일:독제국장.png|width=350]] || | |||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1b5e20><#1b5e20> '''{{{#ffffff 독일 제국의 국장}}}''' || | |||
독일제국 국장, 통칭 흑수리장은 독일 제 2제국,독일 임시군사정부때부터 사용하였다. | |||
=== 국가 === | |||
||<-2><table align=right><width=340px><tablebordercolor=#000><#000> {{{#fff {{{+1 Heil dir im Siegerkranz}}}}}} <br> {{{#fff {{{+1 Himna Kraljevine Jugoslavije}}}}}} || | |||
||<-2><#dd0000> {{{#fff 독일 제국 국가}}} || | |||
||<-2> [[파일:독제국장.png|240px]] || | |||
||<#dd0000><width=120px> {{{#fff 작사가}}} ||<width=220px> 하인리히 해리어즈<br>안툰 미하노비치<br>시몬 옌코 || | |||
||<#dd0000><width=120px> {{{#fff 작곡가}}} ||<width=220px> 미상<br>요시프 루냐닌 || | |||
||<#dd0000><width=120px> {{{#fff 채택}}} ||<width=220px> 1918년 || |
2023년 3월 5일 (일) 23:54 판
독일 제국 Deutsches Reich | |||||||||||||||||||||||||||||
---|---|---|---|---|---|---|---|---|---|---|---|---|---|---|---|---|---|---|---|---|---|---|---|---|---|---|---|---|---|
![]() |
![]() | ||||||||||||||||||||||||||||
국기 | 국장 | ||||||||||||||||||||||||||||
Gott mit uns 하느님이 우리와 함께 하신다 | |||||||||||||||||||||||||||||
상징 | |||||||||||||||||||||||||||||
국가 | 그대에게 승리의 왕관을 | ||||||||||||||||||||||||||||
국화 | 없음 | ||||||||||||||||||||||||||||
국조 | 없음 | ||||||||||||||||||||||||||||
국목 | 없음 | ||||||||||||||||||||||||||||
위치 | |||||||||||||||||||||||||||||
[[파일:]]
| |||||||||||||||||||||||||||||
역사 | |||||||||||||||||||||||||||||
| |||||||||||||||||||||||||||||
지리 | |||||||||||||||||||||||||||||
| |||||||||||||||||||||||||||||
인문환경 | |||||||||||||||||||||||||||||
| |||||||||||||||||||||||||||||
행정구역 | |||||||||||||||||||||||||||||
| |||||||||||||||||||||||||||||
정치 | |||||||||||||||||||||||||||||
| |||||||||||||||||||||||||||||
경제 | |||||||||||||||||||||||||||||
| |||||||||||||||||||||||||||||
단위 | |||||||||||||||||||||||||||||
| |||||||||||||||||||||||||||||
외교 | |||||||||||||||||||||||||||||
| |||||||||||||||||||||||||||||
ccTLD | |||||||||||||||||||||||||||||
.DOEP | |||||||||||||||||||||||||||||
국가코드 | |||||||||||||||||||||||||||||
DOC | |||||||||||||||||||||||||||||
국제전화코드 | |||||||||||||||||||||||||||||
+743 | |||||||||||||||||||||||||||||
![]() |
개요
독일 제국은 중부 유럽에 위치한 전제 군주국이다.
국가 상징
국기
![]() |
독일 제국의 국기 |
독일제국 국기, 통칭 흑백적기는 독일 제2제국때부터 사용, 바이마르 공화국 때를 거쳐서 독일의 국기로 사용되었다. 이후 반 히틀러 쿠데타 이후 독일 임시군사정부도 국기로 사용하였다.
국장
![]() |
독일 제국의 국장 |
독일제국 국장, 통칭 흑수리장은 독일 제 2제국,독일 임시군사정부때부터 사용하였다.
국가
Heil dir im Siegerkranz Himna Kraljevine Jugoslavije | |
독일 제국 국가 | |
![]() | |
작사가 | 하인리히 해리어즈 안툰 미하노비치 시몬 옌코 |
작곡가 | 미상 요시프 루냐닌 |
채택 | 1918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