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월본의 항공사}}
| | #redirect [[월본항공]] |
| {{아시아의 항공사}}
| |
| {{에어본클래스}}
| |
| | |
| ||<-2><:><tablealign=right><tablewidth=350><table bordercolor=#0080B7><#0080B7>{{{#white {{{+2 '''월본항공'''}}}[br]WUBON AIRLINES}}}||
| |
| ||<:><-2><bgcolor=white>[[파일:WAL.png|width=300]]||
| |
| ||<#F6F6F6> '''전신''' ||<(>국제월본항공||
| |
| ||<#F6F6F6> '''사명''' ||<(>월본 항공||
| |
| ||<#F6F6F6> '''약어''' ||<(>WAL||
| |
| ||<#F6F6F6> '''본사''' ||<(>[[조번도]] [[신번연구]][br]신번연 6촌 월본항공빌딩||
| |
| ||<#F6F6F6> '''창립년일''' ||<(>[[1943년]] [[8월 18일]]||
| |
| ||<#F6F6F6> '''업종''' ||<(>항공 운송업||
| |
| ||<#F6F6F6> '''대표''' ||<(>전성민||
| |
| ||<-2><#0080B7> ||
| |
| ||<#F6F6F6> '''항공 동맹''' || [[에어본 캐리어그룹]]||
| |
| ||<#F6F6F6> '''호출 부호''' || VOID[* 그래서 팬암처럼 콜싸인+기체애칭으로 기체가 불린다. 예를 들면 Void Trooper of Machi] ||
| |
| ||<#F6F6F6> '''허브 공항''' || [[서우국제공항]](국내선)[br][[하타국제공항]](국제선)[br][[쇼카이국제공항]][br][[청하국제공항]]||
| |
| ||<#F6F6F6> '''취항지 수''' || 201 ||
| |
| ||<#F6F6F6> '''보유 항공기 대수''' || 272 ||
| |
| | |
| '''월본항공, Wubon Airlines'''는 월본의 3대 항공사 중 한곳이다.
| |
| | |
| ||<table align=left><table width=300px><table bordercolor=#0080B7><#0080B7> '''{{{#white 슬로건}}}''' ||
| |
| || '''{{{#0080B7 지금 날아 비상하자, [br] 월본으로부터}}}''' ||
| |
| | |
| ||<table align=left><table bordercolor=#0080B7><-2> [[파일:WALb727.png|380px]] ||
| |
| ||<bgcolor=#DCDCDC><:> '''보잉 727''' 구도색 ||
| |
| ||<-2> [[파일:WALa332.png|380px]] ||
| |
| ||<bgcolor=#DCDCDC><:> '''에어버스 A330''' 신도색[* 유로화이트가 적용되어 산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 |
| | |
| == 개요 ==
| |
| [[월본]]의 [[플래그 캐리어]]. 1943년 국제월본항공이라는 국영항공사로부터 시작하여 세계대전 당시 민간 수송과 병원기를 운용하였다. [[에어본 캐리어그룹]]에 가맹하고 있으며 [[CORSAIR UNION AIRWAYS|커세어 유니온 항공]]과 [[현성항공]]과 경쟁관계이다. 월본 국내에는 [[조번도]] [[신번연구]]에 본사와 메인레스트룸이 있으며 [[도본특별행정구]]에 월본쇼카이호텔이 있다.
| |
| | |
| == 역사 ==
| |
| <small>(이 문단은 과거의 설정입니다.)</small>
| |
| | |
| 1943년 국영 국제월본항공사로 설립하여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 각지를 연결하였고 아메리카와 유럽까지도 취항했다.
| |
|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태평양전쟁을 비롯한 각지 전장에서 민간수송을 담당했고 부상자 수송을 위한 병원기 운용도 하였다.
| |
| 전후 폭발적으로 늘어난 국내선 수요와 본토 복귀를 위한 국제선 수요가 급증하여 대형기를 빠르게 도입했고, 가장 조밀한 항공편을 편성하였다. 월본 열도에도 철도가 막 보급되던 6~70년대 국내선 수요를 잡기 위해 [[보잉 747]]기를 최대한 많이 도입하였고 그것도 모자라 가장 많은 이코노미석으로 구성하였다.
| |
| | |
| == 마일리지 ==
| |
| 마일리지 제도로 왈패스가 있다.
| |
| | |
| == 노선망 ==
| |
| ||<-2><table width=100%> {{{#0080B7 '''편명'''}}} ||
| |
| ||<#F6F6F6><width=20%> 편명 ||<#F6F6F6> 출발지-도착지||
| |
| || 001, 002편 || ||
| |
| || 000편대 || 신기재 도입 및 노후기재 퇴역용 ||
| |
| || 100~900편대 || 국내선 편성 ||
| |
| || 1000편대 ||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
| |
| || 2000편대 || 남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
| |
| || 3000편대 || 유럽 직항편 ||
| |
| || 5000편대 || 중앙아시아 및 서남아시아 ||
| |
| || 6000편대 || 전세편 ||
| |
| || 7000편대 || 대양주 및 남아메리카 ||
| |
| || 8000편대 || [[청하국제공항]]발 동아시아 ||
| |
| || 9000편대 || 코드쉐어 ||
| |
| | |
| == 보유 기종 ==
| |
| ||<table width=100%><width=30%> {{{#0080B7 '''기종'''}}} ||<width=25%> {{{#0080B7 '''제작사'''}}} || {{{#0080B7 '''사진'''}}} ||
| |
| || [[MP 820|MP 820-100C]] || [[Mplane]] || [[파일:WALmp821c.png|350]] ||
| |
| || [[MP 830|MP 830-100]] || [[Mplane]] || [[파일:WALmp830c.png|350]] ||
| |
| || 보잉 777-300ER || 보잉 || [[파일:WALb773.png|350]] ||
| |
| || 보잉 787-900 || 보잉 || [[파일:WALb789.png|350]] ||
| |
| || A330-200 || 에어버스 || [[파일:WALa332.png|350]] ||
| |
| | |
| == 같이 보기 ==
| |
| | |
| {{월본의 항공사}}
| |
| {{에어본클래스}}
| |
| | |
| [[분류:월본]] [[분류:월본의 기업]] [[분류:월본의 교통]] [[분류:항공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