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UPAN AIR
|
|
국가
|
틀:국가
|
분야
|
항공운수업
|
설립
|
1943년 8월 18일
|
대표이사
|
송창서
|
마일리지
|
왈패스
|
항공동맹
|
에어본
|
보유 항공기 수
|
145
|
취항지 수
|
00개국 00개 도시
|
허브공항
|
산쿄국제공항 인산국제공항
|
콜사인
|
WUPAN AIR
|
IATA
|
WA
|
ICAO
|
WAL
|
영업이익
|
|
자산총액
|
|
월본항공(Wupan Air)는 월본국의 플래그 캐리어이며 5성급 퍼스트 클래스를 운영하고 있다.
|
보잉 747-200 스카이컬러 전기형(1978~)
|
|
보잉 777-300ER 스카이컬러 중기형(2008~)
|
개요
월본의 플래그 캐리어. 1943년 국제월본항공이라는 국영항공사로부터 시작하여 세계대전 당시 민간 수송과 병원기를 운용하였다. 항공동맹 에어본캐리어에 가맹하고 있으며 현성항공과 경쟁관계이다. 월본 국내에는 도유 신관야구에 본사와 메인 레스트룸이 있으며 만칸특별행정구에 항공사 전용 쇼카이호텔이 있다.
CI
|
1978~현재
|
역사
1943년 국영 국제월본항공사로 설립하여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 각지를 연결하였고 아메리카와 유럽까지도 취항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태평양전쟁을 비롯한 각지 전장에서 민간수송을 담당했고 부상자 수송을 위한 병원기 운용도 하였다.
전후 폭발적으로 늘어난 국내선 수요와 본토 복귀를 위한 국제선 수요가 급증하여 대형기를 빠르게 도입했고, 가장 조밀한 항공편을 편성하였다. 월본 열도에도 철도가 막 보급되던 6~70년대 국내선 수요를 잡기 위해 보잉 747기를 최대한 많이 도입하였고 그것도 모자라 가장 많은 이코노미석으로 구성하였다.
마일리지
마일리지 제도로 왈패스가 있다.
노선망
월본 항공 노선
|
편명
|
출발지 ↔ 도착지
|
001, 002편
|
|
000편대
|
신기재 도입 및 노후기재 퇴역용
|
100~900편대
|
국내선 편성
|
1000편대
|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
2000편대
|
남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
3000편대
|
유럽 직항편
|
5000편대
|
중앙아시아 및 서남아시아
|
6000편대
|
전세편
|
7000편대
|
대양주 및 남아메리카
|
8000편대
|
이타미국제공항발 동아시아
|
9000편대
|
코드쉐어
|
운용 항공기
월본 항공 운용 기종
|
제작사
|
기종
|
운용 현황
|
보유 대수
|
사진
|
|
DC-8
|
퇴역
|
6
|
|
MD-11
|
퇴역
|
12
|
|
|
B707
|
퇴역
|
15
|
|
B747-SP
|
퇴역
|
4
|
|
B747-200
|
퇴역
|
13
|
|
퇴역
|
20
|
|
B747-400
|
퇴역
|
43
|
|
B747-8
|
운영중
|
● 20
|
|
B737-800
|
부분 퇴역
|
● 30
25
|
|
B767
|
퇴역
|
12
|
|
B777
|
운영중
|
● 30
|
|
B787
|
운영중
|
● 6
|
|
|
A321-200
|
운영중
|
● 25
|
|
A330-200
|
운영중
|
● 20
|
|
A330-300
|
운영중
|
● 20
|
|
사건 사고
프로 스포츠 스폰서
산주지방의 유일한 프로야구 구단으로서 산주 지방의 야구 팬베이스를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특히 온주부는 모기업인 월본항공의 '영지'나 다름없는 곳이기에 월본항공에서 근무하는 직원 및 그 가족들의 지지에 기반한 온주부 내 인기는 절대적인 수준이다. 그러나 산주지방의 인구가 적은 편이고, 확장 역시 가까이 있는 도후지방의 경우 인기구단인 유키 데블즈가 있기에 쉽지 않아 보인다.
같이 보기
에어본 항공동맹
|
|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