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쿄국제공항

월본의 공항
후안/아사모토 고산국제공항・・・
산주/도후 선전공항쇼카이국제공항판탄국제공항・・・
수도권 산쿄국제공항인산국제공항・・・
중부 미소노국제공항・・・
신와 이타미국제공항・・・
서안/다난 ・・・
주곤/남도 산칸국제공항・・・
산쿄국제공항(도유)
Sankyo(Toryu) International Airport / 山京国际空港
산쿄국제공항.png
공항 정보
IATA SNK
ICAO RWTR
위치 월본 도유수도시 강천구, 산쿄시 일대
언어별 명칭
월본어 東 流(도 유) 国际空港 (山京(산 쿄)空港)
영어 Toryu International Airport
(Sankyo Airport)
한국어 도유 국제공항 (산쿄 공항)
개항
1936년 3월 17일
활주로
제1활주로 06/24 (3,200m × 45m)
제2활주로 15/33 (3,600m × 60m)
터미널
운영중 산쿄공항 1 터미널 (국내선)
산쿄공항 2 터미널 (국제선)
건설중 화물 터미널
연계교통 삼전선 아이콘.png 삼전선
부도심선 아이콘.png 부도심선
도유국제공항철도
산쿄민트라인
공항버스

산쿄 국제공항(도유) / 山京国际空港 / Sankyo International Airport
도유 국제공항 / 東流国际空港 / Toryu International Airport

개요

월본 도유수도시 강천구와 산쿄시 일대에 위치한 도유의 제1관문 공항이다. 제국시대항공방위대의 격납고와 활주로를 민간공항으로 개항하여 확장한 공항이다. 월본의 대형항공 3사인 월본항공동아항공, 현성항공의 허브공항이다. 국내선 노선 중 산쿄공항-이타미 공항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1980년 인산국제공항의 개항과 함께 국제선이 빠지고 국내선 전용 공항으로 바꾸려 했으나 도심 접근성의 문제로 계획이 취소되었다. 지금은 수도권의 항공 수요가 많아 두 공항이 양분해 운영되고 있고, 산쿄공항은 서우 도심과 가까이있어 심야시간대에는 이용이 제한되어 인산국제공항으로의 출도착수가 더 많다.

역사

항공방위대 기지

1936년에 항공방위대의 수도방위본부 기지로서 건설되었다. 당시 활주로 1면에 격납고 2동이 전부였다. 제국해체 이후 수도와 가장 가까운 이 부대를 민간 공항으로 개항하고 군시설을 서부로 이전하는 방안을 계획했다.

현재

도유국제공항의 2가지 이름. 도유, 산쿄

본 공항의 정식 명칭은 도유국제공항이며 산쿄국제공항으로 불린다. 항공방위대의 수도방위본부로 사용될 당시 이 공항의 이름은 '산쿄공항'이었으며 민간공항으로 개항할때 '산쿄국제공항'으로 확장 개항했다. 개항 당시 인산공항이 없었으므로 도유 수도권의 공항은 이곳으로 유지했기 때문에 '도유국제공항'이라고 이름 부르게 된다.

도심접근성

터미널이 도유수도시에 걸쳐있기 때문에 도유수도시 접근성이 매우 좋다. 터미널과 지하로 4개의 노선이 교차하며 도유와 근교 도시에 곧바로 직행할 수 있게 되었다.

연계 교통

사건사고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