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유지하철 노선 | ||||
![]() |
![]() |
![]() |
![]() |
![]() |
군자선 | 도쇼마치선 | 치우단선 | 하라쿠초선 | 주교선 |
![]() |
![]() |
![]() |
![]() |
![]() |
삼전선 | 수호지선 | 계류선 | 부도심선 | 신계방선 |
![]() |
![]() |
![]() |
![]() |
|
산쿄민트라인 | 신도시선 | 공항선 | 난구로선 |
![]() | |||||
---|---|---|---|---|---|
| |||||
![]() | |||||
도유지하철 11000계 전동차 | |||||
노선도 | |||||
[ 펼치기 · 접기 ]
| |||||
노선 정보 | |||||
분류 | 지하철 | ||||
기점 | 시부사역 | ||||
종점 | 일반 개암역 급행 산쿄공항역 | ||||
역 수 | 32개 | ||||
노선 기호 | B | ||||
노선 번호 | 11호선 | ||||
상징색 | 금색 #a99771 | ||||
개업일 | 2006년 4월 18일 | ||||
소유자 | 파일:도유수도시.png | ||||
운영자 | ![]() | ||||
사용차량 | 11000계 전동차 | ||||
차량기지 | 개암 차량기지 | ||||
직통 운전 | 도번전철 신수선 소보하나고속전차 소보하나미라이선 동부급행전철 동부선 동화전철 이루세선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38.4km | ||||
궤간 | 1435mm | ||||
선로구성 | 복선 | ||||
통행방향 | 우측통행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신호방식 | ATC | ||||
최고속도 | 90㎞/h | ||||
개통 연혁 | 2006. 03. 18. 개암↔신완조 2013. 07. 06. 시부사↔신완조 |
![]() |
도유지하철 부도심선 노선도 |
---|
개요
도유수도시 강천구 개암역에서 시부사구 시부사역까지 메트로B 주식회사에서 운영하는 지하철 노선이다. 민간 자본을 유치해 건설하는 BTO 방식으로 계획되었다. 노선명의 유래는 부도심인 시부사, 신관야를 이어주기 때문[1].
상세
도유 지하철 최초로 건설 당시부터 급행열차를 설계에 반영했다. 우선 2006년 개암, 산쿄공항 ~ 신완조 구간이 선개통되었는데, 공항에 들어가는 지하철 노선이 삼전선뿐이라 혼잡도가 상당하여 노선이 계획되었다. 원천 강변을 따라 곧게 뻗은 후 중앙터미널을 거쳐 신완조에 접속한다. 2013년에는 2단계 구간인 신완조 ~ 시부사 구간이 개통되었다. 중북구 구간을 거쳐 도화구 언덕 지형을 통과하며 신관야 3촌역에서 삼전촌을 관통하여 시부사역에 도착한다. 도화구 구간은 고개가 많은 암반 지형이라 TBM 쉴드 터널로 구성되었다. 개통 초기에는 4량 편성으로 운행했고 이어서 6량 증결, 전구간 개통시에 8량화되었다. 유동인구가 많은 시부사, 신관야, 신완조, 중앙터미널, 산쿄공항을 지나므로 전구간이 혼잡하다.
요금
이 노선은 도유지하철 통합 요금제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나 패스카가 도입되면서 도유수도시 구간 한정으로 무제한 이용이 가능하다. 패스카를 이용하지 않고 승차권을 구매하는 경우에는 기본 운임 250환이 적용된다. 또한 패스카 미적용역인 개암역에 승하차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승차권을 구매해야 한다.
운행 계통
- 각역정차
- 부도심선 각역정차
- 부도심선 내부에서 모든 역에 정차하는 운행 계통이다. 시부사역에서 개암역까지 전구간에 정차한다. 급행열차를 먼저 보내기 위해 급행열차 대피역에서 대피 후 운행된다.
- 직통운전 각역정차
- 직통운전 노선 모든 역에 정차한다.
- 부도심선 각역정차
- 급행
- 부도심선에서는 급행으로 운행된다.
- 통근급행 : 통근 시간대에 집중 배차된다.
- A라이너
- 급행보다 정차역 수가 더 적다.
각주
- ↑ 다만 3대 부도심인 신수까지 연결할 계획이었으나 신완조, 중앙터미널, 산쿄공항 방면으로 꺾는 것이 경쟁성 있다고 판단되어 이 같이 결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