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유메트로 주교선

도유지하철 노선
군자선 아이콘.png 도쇼마치선 아이콘.png 치우단선 아이콘.png 하라쿠초선 아이콘.png 주교선 아이콘.png
군자선 도쇼마치선 치우단선 하라쿠초선 주교선
삼전선 아이콘.png 수호지선 아이콘.png 계류선 아이콘.png 부도심선 아이콘.png 신계방선 아이콘.png
삼전선 수호지선 계류선 부도심선 신계방선
산쿄민트라인 아이콘.png 수도권 신도시 철도 아이콘.png 도유국제공항철도 아이콘.png 난구로선 아이콘.png
산쿄민트라인 신도시선 공항선 난구로선
도유메트로.png 월본국가철도.png
주교선 아이콘.png 도유메트로 주교선
東流地下鐵 住郊線
Toryu Subway Jukyo Line
도유메트로 주교선 전동차.png
도유메트로 5050계 전동차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도유지하철 주교선 노선도.png
노선 정보
분류 지하철
기점 도오리역
종점 초소령역
역 수 46개
노선 번호 5호선
상징색 청색 #00a2e8
개업일 1965년 6월 10일[개업일 1]
1989년 4월 6일[개업일 2]
소유자 월본국정부.png[구간 1]
도유메트로.png[구간 2]
운영자 월본국가철도.png[구간 3]
도유메트로.png[구간 4]
사용차량 도유메트로 5000계 전동차
도유메트로 5050계 전동차
월본철도 215000호대 전동차
차량기지 중경차량센터
와지차량센터
노선 제원
노선연장 61.07㎞
궤간 1,435mm
선로구성 전구간 복선
통행방향 우측통행(지하철 구간)
좌측통행(국철 구간)
급전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지하철)
교류 25,000V 60 ㎐ (철도공사)
신호방식 ATS, ATC
최고속도 80㎞/h (지하철)
100㎞/h (철도공사)
개통 연혁 1965. 6. 10. 부교↔송주

1965. 6. 10. 부교↔구사
1970. 6. 12 수리
1989. 4. 6. 총수↔도유역
1990. 11. 13. 주조기↔중경
1992. 3. 13. 주조기↔도유역
1992. 6. 18. 초소령↔중경
1993. 3. 23. 온사
2003. 7. 13 군평
2005. 10. 4. 수모산

개업일 각주
  1. '구산선'의 최초 개통일
  2. '수도권 지하철 주교선'의 재개통일
구간 소유자/운영자 각주
  1. 구사선(도오리↔부교), 산원선(부교↔유수천)
  2. 도유지하철 도심구간(총수↔초소령)
  3. 구사선(도오리↔부교), 산원선(부교↔유수천)
  4. 도유지하철 도심구간(총수↔초소령)
도유지하철 주교선 지도형 노선도.png
도유지하철 주교선 노선도

개요

도유지하철 주교선(東流地下鉄 住郊線)은 도유수도시 중북구 밤고개역에서 중경구 초소령역을 잇는 도유메트로의 지하철 노선이다. 노선색은 하늘색이고 노선기호는 J이다.

상세

도유 시내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지하철 노선이다. 건설당시 도유시내 지하철 교통망은 군자선도쇼마치선 뿐이었고 이마저도 제3궤조에 차량한계에 가로막혀 수송력 증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982년 도유 원도심(주교일대)에서 십자(十)로 교차하는 간선교통망을 설계하고 이어 주교선으로 명명되었다. 1989년 4월 6일 총수역~도유역구간이 선개통되고 1년후인 1990년 주조기역~중경역이 추가로 개통되었다. 1991년 지하철 주조선과 직결계획을 갖고 부교-총수구간의 연장공사를 마치고 직결되었다. 월본철도 측은 지하철과 직결을 대비하여 노후 차량인 103계204계의 지하철 대응 차량으로 대체, 신규 투입하였다. 좌측통행을 하는 광역전철 국철선과 우측통행을 하는 지하철선의 서로 다른 운행방식으로 밤고개-유수천구간은 꽈배기굴로 입체교차한다. 상행선기준으로 유수천역에서 출발하여 단선터널이 하행선 터널 위로 입체교차하여 밤고개역 인상선으로 진입하는 방식이다. 이때 두 노선간 전력공급방식 차이로 절연구간이 존재하여 AC-DC 교직절환을 실시한다. 신호체계 또한 전환해야 하는데 부교역에서 ATC로 전환한다. 도유역에서 선화, 국회의사당으로 우회해서 다시 올라가는 이유는 도쇼 황궁이 위치해있기 때문이다.

역사

  • 월본철도 구사선 개통

1965년 구사시 신도시 교통대책 일환으로 수도권 전철 도카이도선 부교역에서 지선으로 구사선이 개통된다. 기존 동부산업선 노반을 복선 전철화한 것이다. 도카이도선의 지선으로 운행되면서 구사역에서 부교역을 경유, 도유역 방향으로 열차가 운행되었다.

  • 산원신도시 추가 조성으로 산원선 개통

1980년대 접어들면서 산원 신도시가 조성되면서 철도 노선 계획이 급부상한다. 국철 부교역에서 산원역까지 연장되었다. 같은 시기 총수역에서 도유역간 주교선 지하철이 개통된다.

  • 국철선과 지하철 직결

1989년 국철과 지하철이 직결계획을 수립하면서 산원선이 더 연장되고 밤고개역에서 직결한다.




사건사고

  • 2002년 1월 18일 한파로 인한 유수천역에서 차량 변압기 고장으로 밤고개역 이북 구간의 운행이 중지되었다. 이로 인해 도오리 방면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회차선이 있던 총수역에서 타절했다.
  • 2005년 7월 23일 구사선 구간에 최대풍속 48m/s의 태풍급 강풍으로 지상 구간의 운행이 17시간 가량 중단되었다.
  • 2006년 12월 23일 도유지하철 소속 573편성이 구사역에서 탈선되었다.
  • 2011년 8월 6일 폭우로 인해 번안천이 범람해 인근의 도논~송주 구간이 침수되어 운행중지 되었다.
  • 2014년 3월 13일 삼전교역 상행선 부근에서 월본철도 소속 204계 제27편성 전동차의 2번째칸이 탈선되어 상행선은 주조기역까지 타절하고 도심구간이 6시간동안 운행중지되었다.
  • 2014년 11월 2일 도유지하철 소속 557편성이 부교역에서 전동차 교류 변압기가 폭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