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산국제공항

월본의 공항
후안/아사모토 고산국제공항・・・
산주/도후 선전공항쇼카이국제공항판탄국제공항・・・
수도권 산쿄국제공항인산국제공항・・・
중부 미소노국제공항・・・
신와 이타미국제공항・・・
서안/다난 ・・・
주곤/남도 산칸국제공항・・・
인산국제공항
Insan International Airport / 仁山国际空港
인산국제공항.png
공항 정보
IATA ISN
ICAO RWIS
위치 월본 인산시 창공도
언어별 명칭
월본어 仁 山(인 산) 国际空港
영어 Insan International Airport
(Insan Airport)
한국어 인산 국제공항 (인산 공항)
개항
2003년 7월 4일
활주로
제1활주로 02L/20R (3,800m × 60m)
제2활주로 02R/20L (4,000m × 60m)
제3활주로 03L/21R (4,000m × 60m)
제4활주로 03R/21L (3,800m × 60m)
터미널
운영중 인산국제공항 1터미널
인산국제공항 2터미널
건설중 인산LCC터미널
연계교통 도유국제공항철도
공항버스

인산 국제공항 / 仁山国际空港 / Insan International Airport

개요

월본 인산시에 위치한 도유의 제 2관문이다. 산쿄국제공항의 수송분담과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신공항명목으로 건설되었다. 월본의 대형항공 3사인 월본항공동아항공, 현성항공의 허브공항이다. 산쿄국제공항과는 다르게 외항사들이 비교적 많고 국제선 위주의 출도착이 이루어진다.

신공항 건설

산쿄공항의 활주로 2면[1]과 심야 시간대 운영 중지로 한계가 명확히 드러났다. 물류면에서도 물류 처리 센터부지도 비좁아 일일 처리능력도 발전이 더딘 상태이다. 또한 90년대에 접어들어 민간 항공 수요도 급증되면서 정부는 수도권에 신공항을 건설하기로 한다. 도유 서부, 북부는 산지가 많은 관계로 동쪽에 자리잡게 된다.

터미널

제1터미널

현성항공이 사용중이며 플라이하이 항공사들이 주로 사용한다.

제2터미널

월본항공이 사용중이며 에어본캐리어 항공사와 기타 외항사들이 운항한다.

LCC터미널

(건설 중) 국내 LCC 항공사들이 사용할 예정이다.


도심접근성

도유수도시 도심 접근이 별로 좋지 못하다. 직선거리로 40km 정도 떨어져 있어 연계 교통을 이용해야 한다. 도유국제공항철도를 이용[2]하거나 도심공항버스[3]를 이용해야 한다.

연계 교통

사건사고

주석

  1. 인산공항 제4활주로 개통 이전의 이야기이다.
  2. 약 30여분 소요
  3. 약 1시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