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현실주의는 국제정치학의 한 이론이다 == 현실주의와 게임이론 == 현실주의자들이 국제적 협력이 한계를 가지며, 그 근거로 게임이론을...)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현실주의는 국제정치학의 한 이론이다
현실주의는 국제정치학의 한 이론이다. 현실주의는 국제정치를 무정부적 상태라고 규정한다. 이 무정부적 상태 에서 국가들의 생존은 보장될 수 없으며, 국가들은 생존을 위해서 세력관 계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결국 국가는 자국의 힘을 키움으로써 자국의 생존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 국가는 내부적으로 군사력 증강과 같은 자강 을 통해, 외부적으로는 동맹의 결성 등의 방식을 통해 힘을 키워나갈 수 있다.


== 현실주의와 게임이론 ==
== 현실주의와 게임이론 ==
현실주의자들이 국제적 협력이 한계를 가지며, 그 근거로 게임이론을 예로 든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오늘날의 현실주의 전통에서 일하는 학자들은 국가가 공통의 위협에 대항하거나 통신 표준을 선택하는 것과 같은 "조정 게임(coordination game)"을 할 때 협력이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현실주의자들은 국제 정치에서 더 널리 퍼져 있고 더 근본적이라는 것을 암시하는 죄수들의 딜레마와 같은 상황에서는 협력이 더 어렵다고 주장한다.
현실주의자들이 국제적 협력이 한계를 가지며, 그 근거로 게임이론을 예로 든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오늘날의 현실주의 전통에서 일하는 학자들은 국가가 공통의 위협에 대항하거나 통신 표준을 선택하는 것과 같은 "조정 게임(coordination game)"을 할 때 협력이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현실주의자들은 국제 정치에서 더 널리 퍼져 있고 더 근본적이라는 것을 암시하는 죄수들의 딜레마와 같은 상황에서는 협력이 더 어렵다고 주장한다.

2022년 8월 29일 (월) 13:07 판

현실주의는 국제정치학의 한 이론이다. 현실주의는 국제정치를 무정부적 상태라고 규정한다. 이 무정부적 상태 에서 국가들의 생존은 보장될 수 없으며, 국가들은 생존을 위해서 세력관 계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결국 국가는 자국의 힘을 키움으로써 자국의 생존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 국가는 내부적으로 군사력 증강과 같은 자강 을 통해, 외부적으로는 동맹의 결성 등의 방식을 통해 힘을 키워나갈 수 있다.

현실주의와 게임이론

현실주의자들이 국제적 협력이 한계를 가지며, 그 근거로 게임이론을 예로 든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오늘날의 현실주의 전통에서 일하는 학자들은 국가가 공통의 위협에 대항하거나 통신 표준을 선택하는 것과 같은 "조정 게임(coordination game)"을 할 때 협력이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현실주의자들은 국제 정치에서 더 널리 퍼져 있고 더 근본적이라는 것을 암시하는 죄수들의 딜레마와 같은 상황에서는 협력이 더 어렵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