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94153E>width=40 [br] '''{{{+1 조선/왕사|{{{#red 조선...)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스펙터 유니버스}} | |||
||<-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94153E>[[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at_of_Arms_of_Joseon_Korea.png|width=40]] [br] '''{{{+1 [[조선/왕사|{{{#red 조선의 대원군}}}]]}}}''' || | ||<-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94153E>[[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at_of_Arms_of_Joseon_Korea.png|width=40]] [br] '''{{{+1 [[조선/왕사|{{{#red 조선의 대원군}}}]]}}}''' || | ||
|| [[덕흥대원군|덕흥대원군 이초]] || [[정원군|정원대원군 이부]] || [[전계대원군|전계대원군 이광]] ||<#dcdcdc> '''흥선대원군 이하응''' || | || [[덕흥대원군|덕흥대원군 이초]] || [[정원군|정원대원군 이부]] || [[전계대원군|전계대원군 이광]] ||<#dcdcdc> '''흥선대원군 이하응''' || |
2017년 10월 23일 (월) 17:15 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at of Arms of Joseon Korea.png 조선의 대원군 | |||
덕흥대원군 이초 | 정원대원군 이부 | 전계대원군 이광 | 흥선대원군 이하응 |
파일:대한제국황실.png 운현궁의 역대 주인 | ||||||
운현궁 역사 시작 | ← | 1대 흥선대원군 이하응 | → | 2대 흥친왕 이희 |
대한제국의 추존 친왕 | ||||
흥선헌의대원왕 이하응 | 완효헌친왕 이선 |
파일:흥선대원군 이하응.jpg | |
대한제국의 추존 친왕 | |
작위 | 대원왕(大院王) 살아 있을 때 대원군 작위를 받고 사후 대원왕으로 추증. |
시호 | 흥선헌의대원왕(興宣獻懿大院王) |
군호 | 흥선정(興宣正) →흥선도정(興宣都正) →흥선군(興宣君)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
성 | 이(李) |
휘 | 하응(昰應) |
생몰연도 | 1820년 순조 20년 12월 21일 ~ 1898년 광무 2년 2월 22일 |
출생지 | 한성부 북부 안국방 소안동계 소안동 안동궁 (현 서울 종로구 안국동) |
본관 | 전주 이씨 |
사망지 | 한성부 서서 용산방 공덕리계 염동 아소당 (현 서울 마포구 염리동) 아소당은 대원군이 별장으로 사용한 곳으로 지금의 서울디자인고등학교와 동도중학교 운동장 부지에 걸쳐 있었던 99칸의 대저택이었다. |
국적 | 조선 |
종교 | 유교 → 불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