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
|||
56번째 줄: | 56번째 줄: | ||
||<-5><bgcolor=#f0d158> [[파일:Flag of Japan.svg|20px]] [[일본국]] 노선 || | ||<-5><bgcolor=#f0d158> [[파일:Flag of Japan.svg|20px]] [[일본국]] 노선 || | ||
|| [[파일:Flag of Japan.svg|20px]] 도쿄 || 하네다국제공항(RJTT) || 화물 || A321P2F || PAA1100/PAA1101, 0A1100/0A1101 || | || [[파일:Flag of Japan.svg|20px]] 도쿄 || 하네다국제공항(RJTT) || 화물 || A321P2F || PAA1100/PAA1101, 0A1100/0A1101 || | ||
||<-5><bgcolor=#333333> || | |||
||<-5><bgcolor=#f0d158> [[파일:도원경 미나토공화국 국기.svg|20px]] 미나토 노선 || | |||
|| [[파일:도원경 미나토공화국 국기.svg|20px]] [[미쓰이도]] || [[미쓰이 국제공항]] || 화물 || A321P2F || PAA1198/PAA1199, 0A1198/0A1199 || | |||
||<-5><bgcolor=#333333> || | ||<-5><bgcolor=#333333> || | ||
||<-5><bgcolor=#f0d158> [[파일:대부여국 국기.png|20px]] [[대부여국]] 노선 || | ||<-5><bgcolor=#f0d158> [[파일:대부여국 국기.png|20px]] [[대부여국]] 노선 || |
2023년 3월 6일 (월) 13:21 기준 최신판
대한국의 대기업 | |||
[ 펼치기 · 접기 ] |
![]() | |||
[ 펼치기 · 접기 ] |
피에프 항공 아시아 PF AIR ASIA | |||||||||||||||||||||||||||||||||||||||
---|---|---|---|---|---|---|---|---|---|---|---|---|---|---|---|---|---|---|---|---|---|---|---|---|---|---|---|---|---|---|---|---|---|---|---|---|---|---|---|
[[파일:|500px]] | |||||||||||||||||||||||||||||||||||||||
정식명칭 | PF AIR ASIA | ||||||||||||||||||||||||||||||||||||||
원어명칭 | PF AIR ASIA | ||||||||||||||||||||||||||||||||||||||
국가 | ![]() | ||||||||||||||||||||||||||||||||||||||
설립일 | 확인되지 않음 | ||||||||||||||||||||||||||||||||||||||
기업규모 | 중견기업 | ||||||||||||||||||||||||||||||||||||||
창업주 | MINJONG | ||||||||||||||||||||||||||||||||||||||
업종 | 항공화물운송업 | ||||||||||||||||||||||||||||||||||||||
본사위치 | 대한국 인천광역시 | ||||||||||||||||||||||||||||||||||||||
대표자 | MINJONG | ||||||||||||||||||||||||||||||||||||||
시가총액 | |||||||||||||||||||||||||||||||||||||||
기업 정보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PF에서 아시아지역 서비스를 위해 설립한 기업이다. 대한국에서 출발하는 노선을 가지려면 해외기업 지분율이나 한국인 국내이사만 허용되는등 많은 규제가 있기때문에 대한국 현지법인 산하에서 운영하다가 PF AIRWAYS에서 다시 운영한다.
첫 설립 당시 사명은 PF AIR KR로 대한국사업에 집중한것을 보여주었지만 PF AIR ASIA로 바꾸며 아시아 전역에서 할 사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인천국제공항을 허브공항으로 삼고있으며 아직까지 화물노선만 있는지라 사실상 화물항공사로 자리잡고있다.
양양국제공항발 여객노선 취항을 신청하였다. 이로 여객운송이 가능해졌다. 우선 취항은 하되 이후 자회사 설립과 동시에 넘길것으로 보인다. 이후 청해항공이 설립되어 이곳으로 해당노선을 넘겼다.
화물항공사로 자리 잡은 현상태에서 화물노선을 더 확장하고 있다. 전자부품, 배터리 등등 고부가가치의 품목운송 포트폴리오를 매우 다각화하고있다.
서비스
보유 기종
PF AIR ASIA 보유기종 | |
기종 | 댓수 |
A321P2F | - |
A330-200F | - |
A350F | - |
B747-8F | - |
운항 노선
EAEC 노선
인천발 | ||||
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하네다국제공항(RJTT) | 화물 | A321P2F | PAA1100/PAA1101, 0A1100/0A1101 | |
미쓰이 국제공항 | 화물 | A321P2F | PAA1198/PAA1199, 0A1198/0A1199 | |
![]() | ||||
![]() | 삼산국제공항(ZYTL) | 화물 | A321P2F | PAA1000/PAA1001, 0A1000/0A1001 |
![]() | ||||
![]() | 창이국제공항(WSSS) | 화물 | A350F | PAA0900/PAA0901, 0A0900/0A0901 |
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 | ||||
![]() | 창이국제공항(WSSS) | 화물 | A330-200F | PAA0990/PAA0991, 0A0990/0A0991 |
아시아 노선
중화권 노선
인천발 | ||||
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 | ||||
![]() | 칭다오 국제공항 | 화물 | A321P2F | PAA2500/PAA2501, 0A2500/0A2501 |
경유 노선
미주행 1노선 | ||||
출발지 | 경유지 | 도착지 | 경유지 | 출발지 |
![]() | ![]() | ![]() | ![]() | ![]() |
투입기종 | A350F | |||
편명 | PAA0000/PAA0001, 0A0000/0A0001 |
세계일주 1노선 | ||||
출발지 | 경유지 | 도착지 | 경유지 | 출발지 |
![]() | ![]() | ![]() | ![]() | ![]() |
투입기종 | B747-8F | |||
편명 | PAA0010/PAA0011, 0A0010/0A0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