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63번째 줄: 63번째 줄:
* 국왕이 되기 전에 대리청정을 해본 국왕으로는 2대 [[인종]] 뿐이다. 조선과 텍사스의 전쟁이 발발했던 시기 당시 국왕 [[태조]]는 [[인종]]에게 대리 청정을 약 일주일 간 맡겼으며, 그 결과 [[인종]]은 전쟁을 지휘하며 승리로 이끌었다.
* 국왕이 되기 전에 대리청정을 해본 국왕으로는 2대 [[인종]] 뿐이다. 조선과 텍사스의 전쟁이 발발했던 시기 당시 국왕 [[태조]]는 [[인종]]에게 대리 청정을 약 일주일 간 맡겼으며, 그 결과 [[인종]]은 전쟁을 지휘하며 승리로 이끌었다.


==[[파일:현재2.png|width=30]] 개요==
* 결혼기간이 가장 긴 국왕은 현 주상 이호와 왕후 송씨로 120일을 넘겼다. 2위는 3대 [[성종]]으로 101일이다.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82c87><tablebordercolor=#082c87><rowbgcolor=#082c87> {{{#ffffff '''에드워드 5세의 왕실구성원''' }}} ||
* 폐위 당한후 복권된 왕족은 [[신의왕후]]와 [[휘빈 이씨]]이다. [[신의왕후]]는 왕비로써 본분을 다해지 못했다며 일주일도 못해보고 폐위당했다가 훗날 손주라 볼수 있는 [[성종]]에 의해 복권된다. [[휘빈이씨]]는 왕실 삶이 힘들어 당시 국왕이던 [[태조]]와 왕비 [[신덕왕후]]와 충돌하는 일이 많아졌고 자진해서 폐위를 요청하여 중전이 되지 못한채폐위되었다. 폐빈 이씨라 불러졌으나 훗날 아들인 [[성종]]에 의해 복권된다.
|| 영국 국왕 '''에드워드 5세''' ||
|| 영국 정비 '''캐서린 헨리에타''' ||
|| 영국 계비 '''캐롤라인 아멜리아 엘리자베스''' ||
|| 웨일스 공 헨리 윌리엄 프레더릭 앨버트 ||
|| 웨일스 공비 앤 하이드 ||
|| 웨일스 공비 윌헬미나 샬럿 캐롤라인 ||
|| 웨일스 공자 조지 프레드릭 어니스트 앨버트 ||
|| 웨일스 공자비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다람쥐 ||
|| 왕대비 스티아나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82c87><tablebordercolor=#082c87><rowbgcolor=#082c87> {{{#ffffff '''헨리 3세의 왕실구성원''' }}} ||
* 후궁이 왕비가 된 사례는 2번이나 있다. 태조비인 [[신덕왕후]]와 인종비인 [[현덕왕후]]이다. [[신덕왕후]]는 귀인 출신 간택후궁이였으며 [[신의왕후]]가 폐위되고 왕비자리에 올랐다. [[현덕왕후]]는 숙원 출신 승은후궁이였는데 인종비인 [[정안왕후]]가 정신 질환을 겪다가 끝내 사망하여 왕비자리에 올랐다.
|| 영국 국왕 '''헨리 3세''' ||
|| 영국 정비 '''윌헬미나 샬럿 캐롤라인''' ||
|| 영국 계비 '''애들레이드 아멜리아 루이즈 테레사 캐롤라인''' ||
|| 웨일스 공 조지 프레드릭 어니스트 앨버트 ||
|| 웨일스 공비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다람쥐 ||
|| 웨일스 공자 찰스 필립 아서 조지 ||
|| 왕대비 캐롤라인 아멜리아 엘리자베스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82c87><tablebordercolor=#082c87><rowbgcolor=#082c87> {{{#ffffff '''어니스트의 왕실구성원''' }}} ||
==[[파일:현재2.png|width=30]] 왕실 구성원==
|| 영국 국왕 '''[[어니스트 1세|어니스트]]''' ||
|| 영국 왕비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다람쥐]]''' ||
|| 웨일스 공 찰스 필립 아서 조지 ||
|| 웨일스 공비 에리카 프랜시스 스펜서 ||
|| 에든버러 공작 해리슨 패트릭 ||
|| 에든버러 공작 부인 빅토리아 알렉산드라 앨리스 메리 ||
|| 에든버러 공자 에드워드 윌리엄 리처드 루이 ||
|| 웨식스 백작 허드슨 앨버트 크리스티안 에드워드 ||
|| 웨식스 백작 부인 소피아 앤 앨리스 ||
|| 왕대비 애들레이드 아멜리아 루이즈 테레사 캐롤라인 ||
|| 대왕대비 캐롤라인 아멜리아 엘리자베스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82c87><tablebordercolor=#082c87><rowbgcolor=#082c87> {{{#ffffff '''찰스의 왕실구성원''' }}}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82c87><tablebordercolor=#082c87><rowbgcolor=#082c87> {{{#ffffff '''[[태조]]의 왕실구성원''' }}} ||  
|| 영국 국왕 '''[[찰스 1세|찰스]]''' ||  
|| 조선 국왕 [[태조]] ||  
|| 영국 왕비 '''[[에리카 프랜시스 스펜서]]''' ||  
|| 조선 정비 [[신의왕후]] ||  
|| 에든버러 공작 해리슨 패트릭 ||
|| 조선 계비 [[신덕왕후]]] ||  
|| 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 알렉산드라 앨리스 메리 ||
|| 조선 왕대비 [[의혜왕후]] ||  
|| 케임브리지 공작 에드워드 윌리엄 리처드 루이 ||
|| 조선 왕세자 [[인종|이경]] ||  
|| 케임브리지 공작 부인 캐서린 엘리자베스 미들턴 ||
|| 조선 왕세자빈 [[휘빈 이씨|세자빈 이씨]] ||  
|| 웨식스 백작 허드슨 앨버트 크리스티안 에드워드 ||
|| 조선 왕세자빈 [[정안왕후|세자빈 서씨]] ||  
|| 웨식스 백작 부인 소피아 앤 앨리스 ||
|| 조선 왕세손 [[성종|이제]] ||  
|| 세번 자작 제임스 알렉산더 필립 ||
|| 조선 왕세손빈 [[원경왕후|세손빈 토씨]] ||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품행==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82c87><tablebordercolor=#082c87><rowbgcolor=#082c87> {{{#ffffff '''[[인종]]의 왕실구성원''' }}} ||
|| 조선 국왕 [[인종]] ||
|| 조선 정비 [[정안왕후]] ||
|| 조선 계비 [[현덕왕후]] ||
|| 조선 왕대비 [[신덕왕후]] ||
|| 조선 왕세자 [[성종|이제]] ||
|| 조선 왕세자빈 [[원경왕후|세자빈 토씨]] ||
|| 조선 왕세손 이호 ||


영국 왕실 가족들은 운영부와 시종들로부터 품행 교정을 받고 있다. 영국 왕실 가족들은 품행을 지키며, 위엄있고 우아하게 말해야한다고 한다. 가상국가중 품위 규정은 '''제일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품위 제한은 전혀 없었으나, 윈저 왕조 창립자인 에드워드 3세 국왕때부터 생기기 시작했고 관습들이 쌓이며 지켜야할 품위 규정이 매우 많다고한다.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82c87><tablebordercolor=#082c87><rowbgcolor=#082c87> {{{#ffffff '''[[성종]]의 왕실구성원''' }}} ||
|| 조선 국왕 [[성종]] ||
|| 조선 왕비 [[원경왕후]] ||
|| 조선 대왕대비 [[신덕왕후]] ||
|| 조선 왕대비 [[현덕왕후]] ||
|| 조선 왕세자 이호 ||
|| 조선 왕세자빈 세자빈 송씨 ||
|| 조선 부마 영양위 이광 ||
|| 조선 군주 [[정순 공주[조선]|정순 군주]] ||
|| 조선 군 진평군 ||
|| 조선 군 경원군 ||
|| 조선 군부인 해주군부인 정씨 ||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교육==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82c87><tablebordercolor=#082c87><rowbgcolor=#082c87> {{{#ffffff '''주상 이호의 왕실구성원''' }}} ||
|| 조선 국왕 이호 ||
|| 조선 왕비 왕후 송씨 ||
|| 조선 왕세자 이행 ||
|| 조선 왕세자빈 세자빈 심씨 ||
|| 조선 부마 영양위 이광 ||
|| 조선 공주 [[정순 공주[조선]|정순 공주]] ||
|| 조선 대군 경원대군 ||
|| 조선 대군부인 해주부부인 정씨 ||
|| 조선 군 평원군 ||


영국 왕실 가족들은 태어날때부터 엘리트 교육을 받는다. 왕실 가족들은 철저한 교육을 통해 영국 역사, 규정, 법률, 헌법사 등 다양한 것을 배운다고 한다. 원래 왕실 가족들도 학교를 다녔지만 영국에서 교육제도가 사실상 폐지된 이후, 왕궁 내에서 수업을 받고 있다. 그러한 철저한 교육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성실하게 지키지 않아 국민들에게 욕을 먹었던 대표적인 군주가 [[엘리자베스 6세]].
==[[파일:현재2.png|width=30]] 교육==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왕실 거처==
조선 왕실 가족들은 태어날때부터 엘리트 교육을 받는다. 세자시강원이 존재하여 이곳에서 세자와 세손의 교육을 담당했으나, 부질이 없다는 이유로 2대 [[인종]]때 폐지된다. 그래서 가끔 사헌부나 성균관에서 수업을 받는 일을 제외하곤 왕궁 내에서 세자와 세손은 수업을 받는다.


* '''[[버킹엄 궁전]]''' : 현재 영국 정궁. 국왕과 국왕의 배우자가 거주한다.
==[[파일:현재2.png|width=30]] 왕실 거처==
* [[클래런스 하우스]] : 웨일스 공과 웨일스 공비의 공식 거주지
* [[켄싱턴 궁전]] : 에든버러 일가의 거주지


* [[세인트 제임스 궁전]] : 현재도 버킹엄 궁전과 함께 다양한 공식 행사가 열리는 장소로 사용되고 있으며, 국왕이 사망하면 이곳에서 즉위선포식이 열린다. 추밀원 회의와 사교 시즌 무도회도 이곳에서 열린다.
* '''경복궁''' : 조선의 정궁(법궁)이다. 가장 먼저 지어진 궁궐이자 가장 큰 궁궐이 경복궁에서 대부분의 왕족이 거주하고 있다.


* [[윈저성]] : 웨식스 일가의 거주지
* 창덕궁 : 자연이 어울러진 궁궐이며 크기가 큰 편에 속하며 2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 [[샌드링엄 하우스]] : 사냥용 별장으로, 왕실 가족들이 크리스마스를 보내는 곳이였다. 현재는 왕실 문서와 레갈리아가 보관되어있는 저택이다.
* [[밸모럴성]] : 스코틀랜드에 위치한 왕실 여름 별장


* [[런던탑]] : 왕실 감옥으로 쓰이던 곳이며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 창경궁 : 창덕궁과 붙어있으며 크기가 아담한 편이고 4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 [[웨스트민스터 궁전]] : 현재는 영국의 의회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 '''에든버러 성''' : 에든버러에 위치한 성채이며 왕실의 요새이다.
* '''카디프 성''' : 카디프에 위치한 성채이며 [[웨일스 공]] 책봉식이 거행되는 곳이다.


* '''크림 하우스''' : 신혼용 저택이며 왕실 가족들이 신혼 여행을 보내던 곳이다. 에드워드 4세 국왕때부터 사용하지 않았으며, 현재는 철거된 상태이다.
* 경운궁 : 경운궁의 크기 또한 아담한 편에 속하며 3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초대 [[태조]]부터 2대 [[인종]]까지 이궁 역할을 해왔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역대 가주==
* 경희궁 : 경복궁처럼 크기가 매우 큰 궁이며 5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분류:영국 국왕}}
==[[파일:현재2.png|width=30]] 역대 국왕과 역대 왕비==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관련 문서==


{{분류:대조선국 국왕}}
{{분류:대조선국 국왕}}
{{분류:대조선국 왕비}}
{{분류:대조선국 왕비}}
==[[파일:현재2.png|width=30]] 역대 추존국왕과 역대 추존왕비==
{{분류:대조선국 추존국왕}}
{{분류:대조선국 추존국왕}}
{{분류:대조선국 추존왕비}}
{{분류:대조선국 추존왕비}}

2023년 7월 25일 (화) 14:41 판

조선왕조.png
조선 국왕
[ 펼치기 · 접기 ]
초대
태조
제2대
영종
제3대
단종
조선 왕조
朝鮮王朝
어기.png 전기1.png 현재2.png
어기 조선 전기의 문장 조선 현재의 문장
국호 전주 이씨
창립일 2022년 12월 10일
창건자 태조(太祖)
現 수장 주상 이호
경칭 전하
통치 국호 대조선국
본가 윈저 왕조
조선왕조 창건자 태조의 어진
태조어진.png

현재2.png 개요

대조선국의 왕실 가문이다. 본래 윈저 왕조였으나 태조가 대조선국을 건국하며 오늘날의 조선 왕조가 창건되었다.. 現 수장은 주상 이호이다. 조선 왕조는 카국에서 영향력이 오늘날까지 매우 큰 왕조이며 많은 전통을 고수중이다. 본가 윈저 왕조 시기에는 수십개국을 거느리던 제국의 왕실이였다.

현재2.png 기록

  • 최장기 재위는 3대 성종(2023년 3월 10일 ~ 2023년 7월 1일, 114일)이고 2위는 인종의 아버지인 초대 태조(2022년 12월 04일 ~ 2023년 2월 10일, 69일)이다.
  • 최단 재위는 2대 인종(2023년 2월 10일 ~ 2023년 3월 10일 29일)이다.
  • 최고령 즉위는 4대 현 주상 이호(73)이고, 뒤이어 2대 인종(56), 초대 태조(46)이며, 최연소 즉위는 3대 성종(45)이다.
  • 가장 오래 산 국왕은 역시 제일 오래 재위한 3대 성종(109)이고 2위는 초대 태조(86)이며, 가장 단명한 국왕은 2대 인종(72)이다.
  • 가장 많은 부인(왕후와 빈, 자녀를 두었으나 첩지를 받지 못한 여인까지 모두 포함)을 둔 국왕은 초대 태조와 2대 인종으로 각각 3명을 두었다.
  • 후계자로 가장 오래 있었던 국왕은 4대 현 주상 이호. 2023년 3월 26일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사실상 3월 10일부터 왕세자 생활을 하였기 때문에 114일간 후계자로 있었다.
  • 조선 국경을 넘어 외국에 나갔던 경험이 없는 국왕은 초대 태조뿐이다.
  • 국왕이 되기 전에 대리청정을 해본 국왕으로는 2대 인종 뿐이다. 조선과 텍사스의 전쟁이 발발했던 시기 당시 국왕 태조인종에게 대리 청정을 약 일주일 간 맡겼으며, 그 결과 인종은 전쟁을 지휘하며 승리로 이끌었다.
  • 국왕이 되기 전에 대리청정을 해본 국왕으로는 2대 인종 뿐이다. 조선과 텍사스의 전쟁이 발발했던 시기 당시 국왕 태조인종에게 대리 청정을 약 일주일 간 맡겼으며, 그 결과 인종은 전쟁을 지휘하며 승리로 이끌었다.
  • 결혼기간이 가장 긴 국왕은 현 주상 이호와 왕후 송씨로 120일을 넘겼다. 2위는 3대 성종으로 101일이다.
  • 폐위 당한후 복권된 왕족은 신의왕후휘빈 이씨이다. 신의왕후는 왕비로써 본분을 다해지 못했다며 일주일도 못해보고 폐위당했다가 훗날 손주라 볼수 있는 성종에 의해 복권된다. 휘빈이씨는 왕실 삶이 힘들어 당시 국왕이던 태조와 왕비 신덕왕후와 충돌하는 일이 많아졌고 자진해서 폐위를 요청하여 중전이 되지 못한채폐위되었다. 폐빈 이씨라 불러졌으나 훗날 아들인 성종에 의해 복권된다.
  • 후궁이 왕비가 된 사례는 2번이나 있다. 태조비인 신덕왕후와 인종비인 현덕왕후이다. 신덕왕후는 귀인 출신 간택후궁이였으며 신의왕후가 폐위되고 왕비자리에 올랐다. 현덕왕후는 숙원 출신 승은후궁이였는데 인종비인 정안왕후가 정신 질환을 겪다가 끝내 사망하여 왕비자리에 올랐다.

현재2.png 왕실 구성원

태조의 왕실구성원
조선 국왕 태조
조선 정비 신의왕후
조선 계비 신덕왕후]
조선 왕대비 의혜왕후
조선 왕세자 이경
조선 왕세자빈 세자빈 이씨
조선 왕세자빈 세자빈 서씨
조선 왕세손 이제
조선 왕세손빈 세손빈 토씨
인종의 왕실구성원
조선 국왕 인종
조선 정비 정안왕후
조선 계비 현덕왕후
조선 왕대비 신덕왕후
조선 왕세자 이제
조선 왕세자빈 세자빈 토씨
조선 왕세손 이호
성종의 왕실구성원
조선 국왕 성종
조선 왕비 원경왕후
조선 대왕대비 신덕왕후
조선 왕대비 현덕왕후
조선 왕세자 이호
조선 왕세자빈 세자빈 송씨
조선 부마 영양위 이광
조선 군주 [[정순 공주[조선]|정순 군주]]
조선 군 진평군
조선 군 경원군
조선 군부인 해주군부인 정씨
주상 이호의 왕실구성원
조선 국왕 이호
조선 왕비 왕후 송씨
조선 왕세자 이행
조선 왕세자빈 세자빈 심씨
조선 부마 영양위 이광
조선 공주 [[정순 공주[조선]|정순 공주]]
조선 대군 경원대군
조선 대군부인 해주부부인 정씨
조선 군 평원군

현재2.png 교육

조선 왕실 가족들은 태어날때부터 엘리트 교육을 받는다. 세자시강원이 존재하여 이곳에서 세자와 세손의 교육을 담당했으나, 부질이 없다는 이유로 2대 인종때 폐지된다. 그래서 가끔 사헌부나 성균관에서 수업을 받는 일을 제외하곤 왕궁 내에서 세자와 세손은 수업을 받는다.

현재2.png 왕실 거처

  • 경복궁 : 조선의 정궁(법궁)이다. 가장 먼저 지어진 궁궐이자 가장 큰 궁궐이 경복궁에서 대부분의 왕족이 거주하고 있다.
  • 창덕궁 : 자연이 어울러진 궁궐이며 크기가 큰 편에 속하며 2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 창경궁 : 창덕궁과 붙어있으며 크기가 아담한 편이고 4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 경운궁 : 경운궁의 크기 또한 아담한 편에 속하며 3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초대 태조부터 2대 인종까지 이궁 역할을 해왔다.
  • 경희궁 : 경복궁처럼 크기가 매우 큰 궁이며 5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현재2.png 역대 국왕과 역대 왕비

조선왕조.png
조선 국왕
[ 펼치기 · 접기 ]
초대
태조
제2대
영종
제3대
단종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왕비
[ 펼치기 · 접기 ]
태조비
신덕왕후
태조비
왕후 심씨
이유비
왕후 민씨
이지비
왕후 목씨

현재2.png 역대 추존국왕과 역대 추존왕비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추존 국왕
[ 펼치기 · 접기 ]
추존 왕
환조
추존 왕
효종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추존 왕비
[ 펼치기 · 접기 ]
환조비
의혜왕후
태조비
효공왕후
효종비
인현왕후
헌종비
경인왕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