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정당 정보 양식 | | {{분류:대조선국 국왕}} |
| | 테두리색 = #00afef
| | {{분류:대조선국 왕세자와 왕세손}} |
| | 로고 = 보수당나무.png
| | [[분류:대영제국]] [[분류:대영제국 내각]] |
| | 로고크기 = 170px
| | '''대조선국과 대영제국은 텍사스에 의해 멸망하였습니다''' |
| | 배경색 = #fff
| |
| | 틀 끝색 = #00AFEF
| |
| | 틀 중간색 = #00afef
| |
| | 범례색 = #00afef
| |
| | 글씨색 = #fff
| |
| | 글씨 색 = #ffffff
| |
| | 정당명 = 영국 보수당
| |
| | 원어명 = Conservative and Unionist Party
| |
| | 국가 = [[대영제국]]
| |
| | 약칭 = 보수당, COP
| |
| | 표어 =
| |
| | 창당일 = 2021년 5월 18일
| |
| | 당명 변경 =
| |
| | 통합한 정당 =[[영국 민주연합당|민주연합당]] (2023년 6월 4일 합당)
| |
| | 전신 = 개화저장소<sup>(2023년 4월 9일 당명 변경)
| |
| | 후신 =
| |
| | 해산일 =
| |
| | 중앙당사 = [[대영제국|런던]]
| |
| | 이념 = 자유민주주의, 보수주의
| |
| | 스펙트럼 = 중도우파
| |
| | 리더명칭 = 당대표
| |
| | 리더 = [[홀베크]]
| |
| | 공직자1 명칭 = 부대표
| |
| | 공직자1 = [[이회창 (대영제국)|이회창]]
| |
| | 공직자2 명칭 = 원내대표
| |
| | 공직자2 = 공석
| |
| | 공직자3 명칭 =
| |
| | 공직자3 =
| |
| | 공직자4 명칭 =
| |
| | 공직자4 =
| |
| | 의석1 명칭 = 하원의원
| |
| | 의석1 수 = 0
| |
| | 의석1 최대 = 7
| |
| | 의석1 비율 = 0
| |
| | 의석2 명칭 =
| |
| | 의석2 수 =
| |
| | 의석2 최대 =
| |
| | 의석2 비율 =
| |
| | 의석3 명칭 =
| |
| | 의석3 수 =
| |
| | 의석3 최대 =
| |
| | 의석3 비율 =
| |
| | 의석4 명칭 =
| |
| | 의석4 수 =
| |
| | 의석4 최대 =
| |
| | 의석4 비율 =
| |
| | 의석5 명칭 =
| |
| | 의석5 수 =
| |
| | 의석5 최대 =
| |
| | 의석5 비율 =
| |
| | 의석6 명칭 =
| |
| | 의석6 수 =
| |
| | 의석6 최대 =
| |
| | 의석6 비율 =
| |
| | 당색 = {{정당박스 | 하늘색 (#00AFEF) | #00AFEF | #fff }}
| |
| | 당가 =
| |
| | 국제조직 =
| |
| | 자매정당 =
| |
| | 정책 연구소 =
| |
| | 후원회 =
| |
| | 학생조직 =
| |
| | 청년조직 =
| |
| | 여성조직 =
| |
| | 재외국민조직 =
| |
| | 준군사조직 =
| |
| | 재산총액 =
| |
| | 기타1 명칭 = 당원 수
| |
| | 기타1 = 2명
| |
| | 기타2 명칭 =
| |
| | 기타2 =
| |
| }}
| |
| | |
| [[분류:대영제국]] [[분류:대영제국/정당]]
| |
| | |
| ==개요==
| |
| {{인용문|"Build Back Better."|영국 보수당의 새로운 슬로건}}
| |
| | |
| 영국의 정당. 2023년 5월 기준 집권 여당이며, 국왕폐하의 정부라고 불린다. 2023년 4월 9일 개화저장소에서 영국 보수당으로 당명을 변경하며, 전신으로 따지면 2023년 4월 7일 기준 현존하는 영국의 정당 중 가장 오래된 정당이다.
| |
| | |
| 2020년부터 존재한 영국 보수당을 계승한 정당이다.
| |
| 당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보수주의 성향을 띈다.
| |
| | |
| ==역사==
| |
| ===개빈 9차 내각 시기===
| |
| 영국 보수당의 전신인 개화저장소가 창당되었으며, 5석 중 3석을 획득하여 당시 당대표였던 개빈 당수가 61대 총리로 취임하며 내각이 꾸려졌다.
| |
| 허나 대한제국에서 대영제국으로 국가가 다시 변경되면서 내각에 혼란이 오기도 하였다.
| |
| | |
| 뚜렷한 정책 성과는 보기 어렵다.
| |
| | |
| ===개빈 10차 내각 시기===
| |
| {{인용문|"나라를 나라답게"|개빈 2차 내각의 슬로건}}
| |
| | |
| 압도적인 승리로 22대 총선을 이끈 개빈 당수는 62대 총리로 취임을 하게 된다.
| |
| 당선 당시 90%라는 압도적인 지지율을 가졌으나, 인구 감소 및 경제 위기 등으로 인하여 지지율이 점차 감소하더니 임기 말 27.2% 까지 지지율이 떨어지고 만다.
| |
| | |
| 이에 개빈 내각은 역사속으로 사라지며, 개빈 총리는 정계를 떠나게된다.
| |
| 허나, 영국 보수당의 상임 고문으로 임명되며 정책 검토 등 정계에 상당한 영향력을 아직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 |
| | |
| ===[[이냥 내각]] 시기===
| |
| {{틀:대영제국 23대 의회}} | |
| | |
| {{인용문|"기회가 있는 열망의 나라!"|이냥 내각의 슬로건}}
| |
| | |
| 2023년 4월 8일 이냥 당대표가 이끈 영국 보수당이 23대 총선에서 승리함에 따라, 이냥 당대표가 63대 총리로 취임을 하게 된다.
| |
| | |
| 새벽의 윈저성 화재로 인하여 임기 초반부터 수월하지 않음이 보였다.
| |
| | |
| 또한, 텍사스-유토 전쟁이 발발하며 타국과 활발한 수교를 목적으로 둔 이냥 내각의 외교 정책에 대해 수정이 필요해졌다.
| |
| | |
| 이냥 당대표는 각종 개인 문제와 논란을 스스로 만들어가며 이내 4일 만에 사임하였다.
| |
| | |
| ===[[이승배 내각]] 시기===
| |
| {{인용문|"안정적인 나라 실속있는 정부!"|이승배 내각의 슬로건}}
| |
| | |
| 2023년 4월 13일 이냥 총리가 사임하면서 [[이승배]] 당대표가 64대 총리로 취임하게 된다.
| |
| | |
| 이승배 총리는 내각 부서에 대한 개편과 함께 인재 등용을 최우선으로 실시하였다.
| |
| | |
| 임기 초반 유토와의 전쟁 발발로 어려움이 따를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이를 잘 해결하여 위기를 넘겼다.
| |
| | |
| 또한 경제 재건에 큰 성과를 거둬 암흑기던 영국의 경제가 회복되었으며, 이승배 총리는 엉겅퀴 훈장을 수여받기도 하였다.
| |
| | |
| ===[[이승배 2차 내각]] 시기===
| |
| {{틀:대영제국 24대 의회}}
| |
| | |
| {{인용문|"안정적인 나라 실속있는 정부!"|이승배 2차 내각의 슬로건}}
| |
| | |
| 2023년 5월 8일 이승배 당대표가 이끈 영국 보수당이 24대 총선에서 승리함에 따라 이승배 당대표가 65대 총리로 취임하게 된다. 하지만 선거법 위반이 공론화되며 1시간 34분만에 사임하다.
| |
| | |
| ===[[윤석열 내각]] 시기===
| |
| {{인용문|"국민과 함께, 다시 대영제국!"|윤석열 내각의 슬로건}}
| |
| | |
| 2023년 5월 9일 이승배 당대표 사임하며 윤석열 당수가 선출되며 66대 총리로 취임하게 된다.
| |
| 내각 불신임 후 의회가 해산되어 5일만에 막을 내렸다.
| |
| | |
| ===[[개빈 11차 내각]] 시기===
| |
| {{틀:대영제국 25대 의회}}
| |
| | |
| {{인용문|"재정비의 시간을 가지는 내각"|개빈 11차 내각의 슬로건}}
| |
| | |
| 2023년 5월 17일 개빈 당대표가 이끈 영국 보수당이 25대 총선에서 승리함에 따라 개빈 당대표가 67대 총리로 취임하게 된다.
| |
| | |
| 2023년 6월 4일, 보수당이 점점 해체됨에 따라 국정 동력이 약해져가고있다.
| |
| | |
| [[이냥]]이 전당대회를 당대표의 허가를 받고 개최하여 홍보 효과 등으로 인하여 보수 연합이 결성되며 탈당했던 [[이승배]] 의원의 복당 및 [[영국 스코틀랜드 국민당|스코틀랜드 국민당]]과 선거연대가 이루어졌다. | |
| | |
| ===야당이 되다===
| |
| 이승배 당수가 이끈 영국 보수당이 26대 총선에서 참패를 하게 되고, 이에 야당으로 전락하였다.
| |
| | |
| 영국 보수당이 과하게 기존의 신념을 버리고 진보도, 보수도 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영국과 사이가 나빠져가는 테티스로 방향을 틀자 민심이 더더욱 안좋아졌다.
| |
| | |
| 이승배 당수는 [[청설모]] 총리를 끌어내리는데 성공하였으나, 윌리엄 노동당 의원과 싸우는 중 탈주를 뛰게 되었고, 이에 영국 보수당은 지도부를 잃고 대대적인 탈주 러쉬가 시작되었다.
| |
| | |
| 청설모 총리는 다시 자리로 복귀하게 되었고, 뒤이어 영국을 떠났던 [[이냥]]이 영국과 영국 보수당에 돌아오며 전당대회를 개최, 질서를 바로 잡았고 9대 당대표로 [[개빈]]이 선출되었다.
| |
| | |
| 의석을 모두 잃고 원외정당으로 추방 당했으나, 이냥이 무소속 의원을 설득 끝에 의석은 1석을 겨우 얻어내 원내 복귀에 성공하였다.
| |
| | |
| | |
| | |
| ==역대 당대표==
| |
| {{틀:역대 영국보수당 당대표}}
| |
| | |
| ==역대 선거 결과==
| |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4ea2><rowbgcolor=#004ea2>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대표}}} || {{{#ffffff 의석수}}} || {{{#ffffff 증감}}} || {{{#ffffff 집권}}} || {{{#ffffff 비고}}} ||
| |
| || 2[br]0[br]2[br]3 || [[영국 21대 총선|{{글씨 색|#000|영국 21대 총선}}]] || [[Gavin Williamson|개빈]] || ''' 3 / 5 '''
| |
| || ''' +3 ''' || ''' 개빈 내각 ''' || - ||
| |
| || 2[br]0[br]2[br]3 || [[대영제국 제22대 총선|{{글씨 색|#000|영국 22대 총선}}]] || [[Gavin Williamson|개빈]] || ''' 5 / 7 '''
| |
| || ''' +2 ''' || ''' 개빈 내각 ''' || - ||
| |
| || 2[br]0[br]2[br]3 || [[대영제국 제23대 총선거|{{글씨 색|#000|영국 23대 총선}}]] || [[이냥]] || '''7 / 7 '''
| |
| || ''' +2 ''' || ''' 이냥 내각 ''' || - ||
| |
| || 2[br]0[br]2[br]3 || [[대영제국 제24대 총선|{{글씨 색|#000|영국 24대 총선}}]] || [[이승배]] || ''' 5 / 7 '''
| |
| || ''' -2 ''' || ''' 이승배 내각 ''' || - ||
| |
| || 2[br]0[br]2[br]3 || [[영국 글래스고 보궐선거 |{{글씨 색|#000|영국 글래스고 보궐선거}}]] || [[안철수|윤석열]] || ''' 4 / 7 '''
| |
| || ''' -1 ''' || ''' 윤석열 내각 ''' || - ||
| |
| || 2[br]0[br]2[br]3 || [[대영제국 제25대 총선|{{글씨 색|#000|영국 25대 총선}}]] || [[Gavin Williamson|개빈]] || ''' 4 / 7 ''' || ''' 0 ''' || ''' 개빈 내각 ''' || - ||
| |
| || 2[br]0[br]2[br]3 || [[대영제국 런던 보궐선거|{{글씨 색|#000|영국 런던 보궐선거}}]] || [[Gavin Williamson|개빈]] || ''' 5 / 7 ''' || ''' +1 ''' || ''' 개빈 내각 ''' || - ||
| |
| || 2[br]0[br]2[br]3 || [[대영제국 제26대 총선|{{글씨 색|#000|영국 26대 총선}}]] || [[이승배]] || ''' 2 / 7 ''' || ''' -3 ''' || ''' - ''' || [[영국 스코틀랜드 국민당|스코틀랜드 국민당]]과 선거연대 ||
| |
| || 2[br]0[br]2[br]3 || [[대영제국 카디프-에든버러 보궐선거|{{글씨 색|#000|영국 카디프-에든버러 보궐선거}}]] || [[Gavin Williamson|개빈]] || ''' 1 / 7 ''' || ''' -1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