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4번째 줄: 14번째 줄: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972000; color: #fff" | 국호
+
! colspan="2" style="background:#972000; color: #fff" | 국성
 
| align=left | '''전주 이씨'''
 
| align=left | '''전주 이씨'''
 
|-
 
|-
29번째 줄: 29번째 줄:
 
| align=left | 전하
 
| align=left | 전하
 
|-
 
|-
! colspan="2" style="background:#972000; color: #fff" | 통치 국호
+
! colspan="2" style="background:#972000; color: #fff" | 통치 국가
 
| align=left | 대조선국
 
| align=left | 대조선국
 
|-
 
|-
42번째 줄: 42번째 줄:
 
==[[파일:현재2.png|width=30]] '''개요'''==
 
==[[파일:현재2.png|width=30]] '''개요'''==
  
'''대조선국의 왕실 가문'''이다. 본래 [[윈저 왕조]]였으나 [[대조선국 태조|태조]]가 대조선국을 건국하며 오늘날의 [[조선 왕조]]가 창건되었다.. 現 수장은 '''주상 이연'''이다. 조선 왕조는 카국에서 영향력이 오늘날까지 매우 큰 왕조이며 많은 전통을 고수중이다. 본가 [[윈저 왕조]] 시기에는 수십개국을 거느리던 제국의 왕실이였다. 초대 왕 [[대조선국 태조|태조]]에겐 [[이벽]]이라는 형이 있었는데, 형이 요절하며 왕위에 올랐기에 [[이벽]]이 만약 요절하지 않았더면 역사가 매우 바뀌었을 것이다.
+
'''조선 왕조'''조선 국왕과 그 일을 이른다.
  
==[[파일:현재2.png|width=30]] '''기록'''==
+
==[[파일:현재2.png|width=30]] '''상세'''==
 +
 
 +
조선 이전을 포함하여 조선의 정치인들은 대부분 실각되거나 외세에 의하여 많은 개입을 받았지만, '''조선 국왕을 포함한 역대 국왕들'''은 2014년 1월 1일 시초스티브 국왕이 '''왕조를 창건'''한 이후 오랫동안 왕실이 지속되었기 때문에 외부에 의해서도 개입이 거의 없을 정도로 조선 백성들에겐 있어서 '''절대적인 국가의 상징'''이다. 2014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28일까지, 그리고 2020년 2월 3일부터 오늘날까지 왕조가 나라를 통치한 기간은 실질적으로 '''8년''' 이상에 이른다.
 +
 
 +
==[[파일:현재2.png|width=30]] '''주거'''==
 +
 
 +
* 경복궁 : 조선의 정궁(법궁)이며 가장 먼저 지어진 궁궐이자 가장 큰 궁궐이다. 경복궁은 국왕, 왕비, 대왕대비, 왕대비, 세자, 세자빈, 세손, 세손빈 등 주요 왕실 인사들이 머무르는 궐이며 근정전이 위치하여 '''정치의 중심지'''인 장소이기도 하다.
 +
 
 +
* 창덕궁 : 후원을 포함해 크기가 매우크며 2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창덕궁은 출가한 왕족들이 주로 머물었으며 홍문관, 시강원, 강서원 등 주요 정치기구 및 교육기구가 설치되어있을 정도로 '''경복궁을 다음으로 위상이 높은 궁궐'''이다.
 +
 
 +
* 창경궁 : 창덕궁과 붙어있는 궁궐이며 크기가 아담한 편이고 4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
 
 +
* 경운궁 : 경운궁의 크기 또한 아담한 편에 속하며 3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초대 [[대조선국 태조|태조]]부터 2대 [[대조선국 인종|인종]]까지 '''제2궁 역할'''을 해왔으나 창덕궁의 위상이 커지며 제3궁으로 위치가 밀려났다.
  
* 최장기 재위는 3대 [[성종]](2023년 3월 10일 ~ 2023년 7월 1일, 114일)이고 2위는 [[대조선국 인종|인종]]의 아버지인 초대 [[대조선국 태조|태조]](2022년 12월 04일 ~ 2023년 2월 10일, 69일)이다.
+
* 경희궁 : 경희궁은 크기가 작은편에 속하며 5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경희궁은 '''거처보단 온양'''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있으며 이곳에서 [[의정왕후]]가 온양행중 훙서하였다.
  
* 최단 재위는 2대 [[대조선국 인종|인종]](2023년 2월 10일 ~ 2023년 3월 10일 29일)이다.
+
==[[파일:현재2.png|width=30]] '''재산'''==
  
* 최고령 즉위는 4대 현 주상 이호(73)이고, 뒤이어 2대 [[대조선국 인종|인종]](56), 초대 [[대조선국 태조|태조]](46)이며, 최연소 즉위는 3대 [[대조선국 성종|성종]](45)이다.
+
조선 왕실의 궁궐, 보석, 각종 역사적인 문서들은 모두 조선 국왕 재산에 속한다. 조선 왕실은 조정으로부터 일정한 예산을 형식적으로 지급 받지만, 사실상 예산 또한 국왕이 결정하기에 범위를 크게 잡으면 '''국고가 모두 국왕 재산에 속한다고 볼수 있다.'''
  
* 가장 오래 산 국왕은 역시 제일 오래 재위한 3대 [[성종]](109)이고 2위는 초대 [[대조선국 태조|태조]](86)이며, 가장 단명한 국왕은 2대 [[대조선국 인종|인종]](72)이다.
+
==[[파일:현재2.png|width=30]] '''품행'''==
  
* 가장 많은 부인(왕후와 빈, 자녀를 두었으나 첩지를 받지 못한 여인까지 모두 포함)을 둔 국왕은 초대 [[대조선국 태조|태조]]와 2대 [[대조선국 인종|인종]]으로 각각 3명을 두었다.
+
조선 왕족의 품행은 '''내명부가 관장'''한다. 국왕과 왕실가족의 일상생활 거의 모든 것을 일일이 내명부가 간섭하며 왕족들은 품행에 굉장히 조심한다. 특히, 무엇을 하건 간에 일단 내명부로부터 인가(認可)를 받는 형식이 많으며, 이 같은 경우 국왕 또한 예외가 없는편이다. 내명부의 수장은 중전으로 중전의 업무중 하나가 '''왕족의 품행 관리'''라 볼수 있다.
  
* 후계자로 가장 오래 있었던 국왕은 4대 현 주상 이호. 2023년 3월 26일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사실상 3월 10일부터 왕세자 생활을 하였기 때문에 '''114일'''간 후계자로 있었다.
+
왕실의 품행은 2020년 이전까지 자유로웠지만, 많은 스캔들이 터지자 2021년부터 왕족들의 품행이 교정되기 시작하였다. 2023년 이후에는 국조오례의를 통해 법적으로 품행 의무를 요구하며, 오늘날까지 많은 왕족들이 제한된 생활을 하고 있다.
  
* 조선 국경을 넘어 외국에 나갔던 경험이 없는 국왕은 초대 [[대조선국 태조|태조]]뿐이다.  
+
==[[파일:현재2.png|width=30]] '''교육'''==
 +
 
 +
조선의 모든 왕족과 그의 배우자, 종친마저도 기본적인 교육을 받는편이고 이것은 성인식 이후에도 받는편이다. 다만 까다롭진 않아 궁 내부에서 조용히 교육이 진행되지만 조선의 왕세자, 왕세손은 다른 케이스이다. 홍문관 관료들을 통하여 창덕궁에서 특별한 수업을 받으며 책봉식때는 '''모든 대신들 앞에서 시험'''을 치루기 때문에 늘 긴장해야한다. 또한 다른 왕족들은 품위 교육 정도만 받지만 세자와 세손은 '''정치, 경제, 문화, 외교, 유교 경전''' 등 다양한 내용을 수업 받고 시험을 치루기 때문에 고달픈 편이다. 왕위에 오르면 경연에 참여해야하지만 1달에 1번 있을까 말까라서 왕위에 오른뒤에는 '''비교적 편한편'''이다.
 +
 
 +
==[[파일:현재2.png|width=30]] '''기록'''==
  
* 국왕이 되기 전에 대리청정을 해본 국왕으로는 2대 [[대조선국 인종|인종]] 뿐이다. 조선과 텍사스의 전쟁이 발발했던 시기 당시 국왕 [[대조선국 태조|태조]][[대조선국 인종|인종]]에게 대리 청정을 약 일주일 간 맡겼으며, 그 결과 [[대조선국 인종|인종]]은 전쟁을 지휘하며 승리로 이끌었다.
+
* 최장기 재위는 3대 [[대조선국 성종|성종]](2023년 3월 10일 ~ 2023년 7월 1일, '''114일''')이다.
 +
* 가장 오래 산 국왕은 역시 제일 오래 재위한 3대 [[대조선국 성종|성종]](109)이다.
 +
* 최단 재위는 2대 [[대조선국 인종|인종]](2023년 2월 10일 ~ 2023년 3월 10일, '''29일''')이다.
 +
* 최고령 즉위는 4대 현 주상 이연'''(73)'''이다.
  
* 결혼기간이 가장 국왕은 현 주상 이호로 120일을 넘겼다. 2위는 3대 [[대조선국 성종|성종]]으로 101일이다.
+
* 가장 많은 부인(왕후와 빈, 자녀를 두었으나 첩지를 받지 못한 여인까지 모두 포함)을 둔 국왕은 초대 [[대조선국 태조|태조]]와 2대 [[대조선국 인종|인종]]으로 각각 '''3명'''을 두었다.
  
* 폐위 당한후 복권된 왕족은 [[신의왕후]]와 [[휘빈이씨]]이다. [[신의왕후]]는 왕비로써 본분을 다해지 못했다며 일주일도 못해보고 폐위당했다가 훗날 손주라 볼수 있는 [[대조선국 성종|성종]]에 의해 복권된다. [[휘빈이씨]]는 왕실 삶이 힘들어 당시 국왕이던 [[대조선국 태조|태조]]와 왕비 [[신덕왕후]]와 충돌하는 일이 많아졌고 자진해서 폐위를 요청하여 중전이 되지 못한채폐위되었다. 폐빈 이씨라 불러졌으나 훗날 아들인 [[대조선국 성종|성종]]에 의해 복권된다.
+
* 후계자로 가장 오래 있었던 국왕은 4대 현 주상 이연. 2023년 3월 26일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사실상 3월 10일부터 왕세자 생활을 하였기 때문에 '''114일'''간 왕위 후계자로 있었다.
  
* 후궁이 왕비가 된 사례는 2번이나 있다. 태조비인 [[신덕왕후]]와 인종비인 [[현덕왕후]]이다. [[신덕왕후]]는 귀인 출신 간택후궁이였으며 [[신의왕후]]가 폐위되고 왕비자리에 올랐다. [[현덕왕후]]는 숙원 출신 승은후궁이였는데 인종비인 [[정안왕후]]가 정신 질환을 겪다가 끝내 사망하여 왕비자리에 올랐다.
+
* 조선 국경을 넘어 외국에 나갔던 경험이 없는 국왕은 초대 [[대조선국 태조|태조]]뿐이다.  
 +
* 국왕이 되기 전에 대리청정을 해본 국왕으로는 2대 [[대조선국 인종|인종]] 뿐이다.
  
* 왕이 되지 못한 세자는 1명으로 [[효문 세자]]이다.
+
* 결혼기간이 가장 긴 국왕은 현 주상 이연과 [[의정왕후]]로 '''132일'''이다.
 +
* 폐위 당한후 복권된 왕족은 [[신의왕후]]와 [[휘빈이씨]]이다.
 +
* 후궁이 왕비가 된 사례는 2번으로 태조비인 [[신덕왕후]]와 인종비인 [[현덕왕후]]이다.
  
* 왕비가 되지 못한 세자빈은 2명이다. 1명은 [[현빈심씨]]이고 1명은 [[휘빈이씨]]이다. 현빈 심씨는 왕비가 되기 전 요절하였으며, 휘빈이씨는 왕비가 되기 전 폐위당했다.
+
* 왕이 되지 못한 세자, 세손, 원자, 원손은 [[이벽]]과 [[효문 세자]]이다.
 +
* 왕비가 되지 못한 세자빈은 2명으로 [[현빈심씨]][[휘빈이씨]]이다.  
  
 
==[[파일:현재2.png|width=30]] '''왕실 구성원'''==
 
==[[파일:현재2.png|width=30]] '''왕실 구성원'''==
117번째 줄: 140번째 줄:
 
|| 조선 대군부인 해주부부인 정씨 ||
 
|| 조선 대군부인 해주부부인 정씨 ||
 
|| 조선 부마 덕흥군 ||
 
|| 조선 부마 덕흥군 ||
 
==[[파일:현재2.png|width=30]] '''교육'''==
 
 
조선 왕실 가족들은 태어날때부터 엘리트 교육을 받는다. 세자시강원이 존재하여 이곳에서 세자와 세손의 교육을 담당했으나, 부질이 없다는 이유로 2대 국왕 [[대조선국 인종|인종]]때 폐지된다. 그래서 가끔 사헌부나 성균관에서 수업을 받는 일을 제외하곤 왕궁 내에서 세자와 세손은 수업을 받는다.
 
 
==[[파일:현재2.png|width=30]] '''왕실 거처'''==
 
 
* '''경복궁''' : 조선의 정궁(법궁)이다. 가장 먼저 지어진 궁궐이자 가장 큰 궁궐이 경복궁에서 대부분의 왕족이 거주하고 있다.
 
 
* 창덕궁 : 자연이 어울러진 궁궐이며 크기가 큰 편에 속하며 2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 창경궁 : 창덕궁과 붙어있으며 크기가 아담한 편이고 4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 경운궁 : 경운궁의 크기 또한 아담한 편에 속하며 3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초대 [[대조선국 태조|태조]]부터 2대 [[대조선국 인종|인종]]까지 이궁 역할을 해왔다.
 
 
* 경희궁 : 경복궁처럼 크기가 매우 큰 궁이며 5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파일:현재2.png|width=30]] '''역대 국왕과 왕비'''==
 
==[[파일:현재2.png|width=30]] '''역대 국왕과 왕비'''==

2023년 8월 15일 (화) 23:25 판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국왕
[ 펼치기 · 접기 ]
초대
태조
제2대
인종
제3대
성종
제4대
명종
제5대
문종
제6대
영조
제7대
헌종
제8대
시호 미정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왕비
[ 펼치기 · 접기 ]
태조비
신의왕후
태조비
신덕왕후
인종비
정안왕후
인종비
현덕왕후
성종비
원경왕후
명종비
의정왕후
문종비
의성왕후
영조비
소헌왕후
영조비
정순왕후
헌종비
효순왕후
이향비
폐비 김씨
이향비
왕후 홍씨
조선 왕조
朝鮮王朝
어기.png 전기1.png 현재2.png
어기 조선 초기의 문장 조선 현재의 문장
국성 전주 이씨
창립일 2022년 12월 10일
창건자 태조(太祖)
現 수장 주상 이연
경칭 전하
통치 국가 대조선국
본가 윈저 왕조
조선왕조 창건자 태조의 어진
태조어진.png

현재2.png 개요

조선 왕조는 조선 국왕과 그 일을 이른다.

현재2.png 상세

조선 이전을 포함하여 조선의 정치인들은 대부분 실각되거나 외세에 의하여 많은 개입을 받았지만, 조선 국왕을 포함한 역대 국왕들은 2014년 1월 1일 시초스티브 국왕이 왕조를 창건한 이후 오랫동안 왕실이 지속되었기 때문에 외부에 의해서도 개입이 거의 없을 정도로 조선 백성들에겐 있어서 절대적인 국가의 상징이다. 2014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28일까지, 그리고 2020년 2월 3일부터 오늘날까지 왕조가 나라를 통치한 기간은 실질적으로 8년 이상에 이른다.

현재2.png 주거

  • 경복궁 : 조선의 정궁(법궁)이며 가장 먼저 지어진 궁궐이자 가장 큰 궁궐이다. 경복궁은 국왕, 왕비, 대왕대비, 왕대비, 세자, 세자빈, 세손, 세손빈 등 주요 왕실 인사들이 머무르는 궐이며 근정전이 위치하여 정치의 중심지인 장소이기도 하다.
  • 창덕궁 : 후원을 포함해 크기가 매우크며 2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창덕궁은 출가한 왕족들이 주로 머물었으며 홍문관, 시강원, 강서원 등 주요 정치기구 및 교육기구가 설치되어있을 정도로 경복궁을 다음으로 위상이 높은 궁궐이다.
  • 창경궁 : 창덕궁과 붙어있는 궁궐이며 크기가 아담한 편이고 4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 경운궁 : 경운궁의 크기 또한 아담한 편에 속하며 3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초대 태조부터 2대 인종까지 제2궁 역할을 해왔으나 창덕궁의 위상이 커지며 제3궁으로 위치가 밀려났다.
  • 경희궁 : 경희궁은 크기가 작은편에 속하며 5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경희궁은 거처보단 온양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있으며 이곳에서 의정왕후가 온양행중 훙서하였다.

현재2.png 재산

조선 왕실의 궁궐, 보석, 각종 역사적인 문서들은 모두 조선 국왕 재산에 속한다. 조선 왕실은 조정으로부터 일정한 예산을 형식적으로 지급 받지만, 사실상 예산 또한 국왕이 결정하기에 범위를 크게 잡으면 국고가 모두 국왕 재산에 속한다고 볼수 있다.

현재2.png 품행

조선 왕족의 품행은 내명부가 관장한다. 국왕과 왕실가족의 일상생활 거의 모든 것을 일일이 내명부가 간섭하며 왕족들은 품행에 굉장히 조심한다. 특히, 무엇을 하건 간에 일단 내명부로부터 인가(認可)를 받는 형식이 많으며, 이 같은 경우 국왕 또한 예외가 없는편이다. 내명부의 수장은 중전으로 중전의 업무중 하나가 왕족의 품행 관리라 볼수 있다.

왕실의 품행은 2020년 이전까지 자유로웠지만, 많은 스캔들이 터지자 2021년부터 왕족들의 품행이 교정되기 시작하였다. 2023년 이후에는 국조오례의를 통해 법적으로 품행 의무를 요구하며, 오늘날까지 많은 왕족들이 제한된 생활을 하고 있다.

현재2.png 교육

조선의 모든 왕족과 그의 배우자, 종친마저도 기본적인 교육을 받는편이고 이것은 성인식 이후에도 받는편이다. 다만 까다롭진 않아 궁 내부에서 조용히 교육이 진행되지만 조선의 왕세자, 왕세손은 다른 케이스이다. 홍문관 관료들을 통하여 창덕궁에서 특별한 수업을 받으며 책봉식때는 모든 대신들 앞에서 시험을 치루기 때문에 늘 긴장해야한다. 또한 다른 왕족들은 품위 교육 정도만 받지만 세자와 세손은 정치, 경제, 문화, 외교, 유교 경전 등 다양한 내용을 수업 받고 시험을 치루기 때문에 고달픈 편이다. 왕위에 오르면 경연에 참여해야하지만 1달에 1번 있을까 말까라서 왕위에 오른뒤에는 비교적 편한편이다.

현재2.png 기록

  • 최장기 재위는 3대 성종(2023년 3월 10일 ~ 2023년 7월 1일, 114일)이다.
  • 가장 오래 산 국왕은 역시 제일 오래 재위한 3대 성종(109)이다.
  • 최단 재위는 2대 인종(2023년 2월 10일 ~ 2023년 3월 10일, 29일)이다.
  • 최고령 즉위는 4대 현 주상 이연(73)이다.
  • 가장 많은 부인(왕후와 빈, 자녀를 두었으나 첩지를 받지 못한 여인까지 모두 포함)을 둔 국왕은 초대 태조와 2대 인종으로 각각 3명을 두었다.
  • 후계자로 가장 오래 있었던 국왕은 4대 현 주상 이연. 2023년 3월 26일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사실상 3월 10일부터 왕세자 생활을 하였기 때문에 114일간 왕위 후계자로 있었다.
  • 조선 국경을 넘어 외국에 나갔던 경험이 없는 국왕은 초대 태조뿐이다.
  • 국왕이 되기 전에 대리청정을 해본 국왕으로는 2대 인종 뿐이다.

현재2.png 왕실 구성원

태조의 왕실구성원
조선 국왕 태조
조선 정비 신의왕후
조선 계비 신덕왕후
조선 왕대비 의혜왕후
조선 왕세자 이경
조선 왕세자빈 세자빈 이씨
조선 왕세자빈 세자빈 서씨
조선 왕세손 이제
조선 왕세손빈 세손빈 토씨
인종의 왕실구성원
조선 국왕 인종
조선 정비 정안왕후
조선 계비 현덕왕후
조선 왕대비 신덕왕후
조선 왕세자 이제
조선 왕세자빈 세자빈 토씨
조선 왕세손 이연
성종의 왕실구성원
조선 국왕 성종
조선 왕비 원경왕후
조선 대왕대비 신덕왕후
조선 왕대비 현덕왕후
조선 왕세자 이연
조선 왕세자빈 세자빈 송씨
조선 부마 영양위 이광
조선 군주 정순 군주
조선 군 진평군
조선 군 경원군
조선 군부인 해주군부인 정씨
주상 이연의 왕실구성원
조선 국왕 이연
조선 왕비 의정왕후
조선 왕세자 효문 세자
조선 왕세자빈 의빈 심씨
조선 부마 영양위 이광
조선 공주 정순 공주
조선 대군 경원대군
조선 대군부인 해주부부인 정씨
조선 부마 덕흥군

현재2.png 역대 국왕과 왕비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왕비
[ 펼치기 · 접기 ]
태조비
신의왕후
태조비
신덕왕후
인종비
정안왕후
인종비
현덕왕후
성종비
원경왕후
명종비
의정왕후
문종비
의성왕후
영조비
소헌왕후
영조비
정순왕후
헌종비
효순왕후
이향비
폐비 김씨
이향비
왕후 홍씨

현재2.png 역대 추존국왕과 추존왕비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추존 국왕
[ 펼치기 · 접기 ]
추존 왕
환조
추존 왕
효종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추존 왕비
[ 펼치기 · 접기 ]
환조비
의혜왕후
태조비
효공왕후
효종비
인현왕후
헌종비
경인왕후

현재2.png 역대 대비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왕대비
[ 펼치기 · 접기 ]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대왕대비
[ 펼치기 · 접기 ]

현재2.png 역대 세자와 세자빈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왕세자
[ 펼치기 · 접기 ]
태조 대
이경
인종 대
이제
성종 대
이연
명종 대
이행
문종 대
이역
영조 대
이산
헌종 대
이향
이향 대
이율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왕세자빈
[ 펼치기 · 접기 ]

현재2.png 역대 대리청정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국왕 대리청정
[ 펼치기 · 접기 ]
태조조
인종
영조조
헌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