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47번째 줄: |
247번째 줄: |
| 2022년 09월 12일에 해체되었으나, 2023년 07월 30일에 재설립되었다. | | 2022년 09월 12일에 해체되었으나, 2023년 07월 30일에 재설립되었다. |
|
| |
|
| [[12.3 테러|2023년 12월 03일]]에 테러를 당했으나, 한 시간 만에 재설립되었다. | | 2023년 12월 03일에 [[12.3 테러|테러를 당했으나]], 한 시간 만에 재설립되었다. |
|
| |
|
| = 상징 = | | = 상징 = |
262번째 줄: |
262번째 줄: |
| = 역사 = | | = 역사 = |
| {{본문|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역사}} | | {{본문|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역사}} |
|
| |
| 2021년 10월 15일 익스테딕 공화국 건국
| |
| 2021년 10월 24일 자유의 정부 출범 (대통령 KDC)
| |
| 2021년 11월 07일 대통령 KDC 탄핵
| |
| 2021년 11월 07일 국무총리 브리튼 권한대행 시작
| |
| 2021년 11월 10일 국무총리 브리튼 사퇴
| |
| 2021년 11월 10일 운영자 Mebius 권한대행 시작
| |
| 2021년 11월 11일 운영자 텐 권한대행 시작
| |
| 2021년 11월 15일 국민의 정부 출범 (대통령 빅파이)
| |
| 2021년 11월 18일 익스테딕 지명 한국어화 실시
| |
| 2021년 12월 14일 대통령 빅파이 퇴임
| |
| 2021년 12월 15일 열린 정부 출범 (대통령 막장)
| |
| 2021년 12월 28일 유토 수호통상국 가입
| |
|
| |
| 2022년 01월 07일 국가비상사태 선포
| |
| 2022년 01월 09일 유토 수호통상국 탈퇴
| |
| 2022년 01월 13일 대강퇴테러 발생
| |
| 2022년 01월 15일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출범
| |
| 2022년 01월 19일 혼연일체 정부 출범 (대통령 뽀옹시)
| |
| 2022년 02월 06일 뽀옹시 대통령 탄핵
| |
| 2022년 02월 11일 제1차 협치정부 출범 (대통령 교차로)
| |
| 2022년 03월 13일 통합의 정부 출범 (대통령 KWIN)
| |
| 2022년 04월 13일 참여정부 출범 (대통령 DALEE)
| |
| 2022년 04월 24일 DALEE 대통령 탄핵
| |
| 2022년 05월 13일 권위의 정부 출범 (대통령 브리튼)
| |
| 2022년 05월 29일 브리튼 대통령 사퇴
| |
| 2022년 06월 13일 모두의 정부 출범 (대통령 mix)
| |
| 2022년 07월 13일 제2차 협치정부 출범 (대통령 교차로)
| |
| 2023년 08월 12일 제3차 협치정부 출범 (대통령 교차로)
| |
| 2022년 09월 11일 제2차 모두의 정부 출범 (대통령 mix)
| |
| 2022년 09월 12일 익스테딕 공화국 멸망
| |
|
| |
| 2023년 07월 30일 익스테딕 공화국 2기 시작 (재건국)
| |
| 2023년 08월 07일 제3차 모두의 정부 출범 (대통령 mix)
| |
| 2023년 08월 27일 mix 대통령 탄핵
| |
| 2023년 09월 05일 시민의 정부 출범 (대통령 시프릭)
| |
| 2023년 09월 15일 시프릭 대통령 탄핵
| |
| 2023년 10월 05일 슈티르너 정부 출범 (대통령 카르야킨)
| |
| 2023년 11월 04일 슈티르너 정부 연임 (대통령 카르야킨)
| |
| 2023년 12월 03일 12.3 테러, 12.3 내란
| |
| 2023년 12월 04일 슈티르너 정부 연임 (대통령 수수)
| |
| 2024년 01월 03일 레히트 정부 출범 (대통령 에리히)
| |
| 2024년 02월 02일 발전 정부 출범 (대통령 텐)
| |
| 2024년 03월 02일 슈티르너 정부 중임 (대통령 카르야킨)
| |
| 2024년 04월 02일 슈티르너 정부 중임 (대통령 카르야킨)
| |
| 2024년 05월 02일 데카르트 정부 출범 (대통령 퍼픽)
| |
|
| |
|
| = 행정구역 = | | = 행정구역 = |
2023년 12월 03일 발발해 2024년 03월 24일에 재개된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의 내전에 대한 내용은 12.3 내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어울림재단의 공식 문서입니다. 어울림재단의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가 적용되지 않으며, 어울림재단의 허가 없는 비상업적・상업적 사용, 배포, 편집을 금지합니다.
|
|
익스테딕 공화국의 공식 문서입니다. 본 문서를 관계자의 허용 없이 무단 편집할 시, 처벌 받을 수 있으니 편집 요청은 관계자에게 문의하십시오.
|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 Unitary Republic of Extedic
|
|
|
국기
|
국장
|
Aesthetic Extedic 익스테딕의 익스테딕
|
|
역사
|
・익스테딕 제국 건국 1609년 10월 15일 ・스칼란드 공국 합병 1829년 10월 24일 ・익스테딕 공화국 건국 1901년 07월 30일 ・스칼란드 공화국 분리[ 본국에서 분리되어 자치령이 되었다.] 1923년 11월 05일
|
지리
|
수도 | 최대도시
|
익스테딕구 (Extedic District)
|
기후
|
서안 해양성 기후
|
면적
|
121,471km² | 세계 98위
|
|
인문환경
|
인구
|
총
|
37,505,731명 | 세계 41위 (2024년)
|
밀도
|
미집계
|
출산율
|
1.79명 (2024년)
|
기대수명
|
81.1세 (2024년)
|
민족
|
익스테딕인 83.7%, 외국인 16.3%
|
공용어
|
익스테딕어
|
지역어
|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
공용 문자
|
로마자
|
종교
|
국교
|
국교 없음
|
분포
|
무종교 52.9%[ 무신론자 28.0%, 불가지론자 24.9%], 그리스도교 29.3%[ 가톨릭 17.6%, 성공회 11.7%], 이슬람 8.6%, 유대교 2.2%, 기타 7.0%
|
군대
|
익스테딕 공화국군
|
|
행정구역
|
|
정치
|
|
경제
|
GDP(명목)
|
총
|
$4,210억 2300만 | 세계 -위 (2024년)
|
1인당
|
$62,000
|
GDP(PPP)
|
총
|
$62,000,000,000,000 | 세계 -위 (2024년)
|
1인당
|
$62,000
|
수출입액
|
수출
|
$620,000,000,000
|
수입
|
$602,000,000,000
|
외환보유액
|
$620,000,000,000
|
신용등급
|
익스테딕국제신용평가 A+
|
화폐
|
공식 화폐
|
유로, PD
|
ISO 4217
|
ETD
|
|
단위
|
|
외교
|
|
ccTLD
|
.et, .etd
|
국가코드
|
ET, ETD
|
국제전화코드
|
+7502
|
차량 통행 방향
|
왼쪽
|
개요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영어 : Unitary Republic of Extedic)은 서유럽의 비스케이 만 익스테딕 제도에 위치한 자주 공화국이다.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의 정치 체제는 자유민주주의를 표방하며, 직접민주주의로 선출된 대통령과 부통령(행정부), 국회(입법부)가 주권을 대신 행사한다.[ 정부통령제와 다당제]
URL
오픈채팅(URL)은 2021년 10월 15일에 설립되었다.
2022년 09월 12일에 해체되었으나, 2023년 07월 30일에 재설립되었다.
2023년 12월 03일에 테러를 당했으나, 한 시간 만에 재설립되었다.
상징
국명
공식적인 국명은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영어 : Unitary Republic of Extedic)이며, 편의를 목적으로 익스테딕 공화국(Republic of Extedic), 익스테딕(Extedic)이라고도 한다.
익스테딕(Extedic)의 어원은 미학(aesthetic)이다.
국기
국장
역사
행정구역
자연 환경
지리
 |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의 인근 지도 |
 |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의 행정 지도 |
기후
인문 환경
문화
언어
인구 통계
인구 |
시기 | 전체 인구 |
2021년 | 36,856,699명(42위) |
2022년 | 37,079,835명(42위) |
2023년 | 37,295,340명(40위) |
2024년 | 37,505,731명(41위) |
정치
외교
경제
행정구역
사회
군사
단위
법정 연호
시간대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