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버 마르코/월본: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border:2px solid #808080; width:100%; text-align:center;" | style="background:#808080; color:#FFF; font-weight:600;" | 라버 마르코 관련 문서 |- | {{역대 월본 수상}} |} {| class="wikitable" style="float:right; max-width:380px; border:2px solid #808080;" | style="background:#FFFFFF; color:#808080; text-align:center; border-bottom:none; line-height:24px;" colspan=2 | 월본국 제14대 내각총리대신<br><big...)
 
(차이 없음)

2024년 11월 2일 (토) 21:30 기준 최신판

라버 마르코 관련 문서
월본 국장.png 월본 역대 내각총리대신
소류 시대
초대
나호진
17年10-11月
제2-3대
구창모
18年2-6月/6-8月
제4대
모창민
18年8-11月
제5대
육성준
18年11月-19年1月
제6대
이성하
19年1-2月
메이우 시대
제6대
이성하
19年1-2月
제7대
민주우
19年2-3月
제8-9대
하재성
19年3-7月/7-9月
제10대
민주우
19年10月-11月
권한대행
정문석
19年12月-20年2月
세이카 시대
제11대
하은우
20年2月-4月
제12대
한성훈
20年4月-5月
제13대
민주우
20年6月-12月
제14대
라버 마르코
21年1月
제15대
모창민
21年1月
제16대
나의재
21年1月
권한대행
구창모
21年1月-2月
제17대
이해수
21年2月-4月
권한대행
이승배
21年4月-5月
제18대
구창모
21年5月-8月
제19대
전영록
21年9月-11月
제20대
하성일
21年12月-22年1月
제21대
Mirai
22年1月-2月
제22대
윤교익
22年2月-3月
권한대행
윤교익
22年3月-3月
제23대
윤교익
22年3月-4月
헤이와 시대
제24대
타츠바나 요쿠온
22年5月-8月
제25대
전영록
22年9月-11月
제26대
육성준
22年11月-23年1月
제27대
다카기 그네
23年1月-23年2月
제28대
마츠다하루토라
23年2月
혁명정부
최재명
23年2月
경비
시키노사토 유이무
23年2月-年6月
제29-31대
마츠다하루토라
23年6月~24年4月
경비
마츠다하루토라
24年4月-7月
제32대
후미히라 겐페이
24年7月~12月
레이카 시대
제32·33대
후미히라 겐페이
24年7月~12月
제34대
아사모토 강치
24年12月~현재
월본국 제14대 내각총리대신
라버 마르코
아랍어 阿拉語
아랍어 이미지.png
출생 1953년 11월 20일(1953-11-20) (71세)
월본 월본 도유수도시
재임기간 월본 제14대 내각총리대신
2021년 1월 15일
약력 월본 내각총리 (14대)
월본 국회의원 (초선 / 10대)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 자세한 내용은 아랍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개요

라버 마르코는 월본의 전직 정치인이자 제14대 내각총리대신이다.

일생

라버 마르코는 우렉시트 정국 당시 월본으로 유입된 인물이다.[1] 그는 열린월본당을 창당하였고, 10대 총선거에서 제1당 지위를 획득하였다. 라버 마르코는 1월 15일 제1당 당수 자격으로 총리로 선출된 후 사면령[2]을 선포하였다. 사면령 발효 뒤 총리직에서 사퇴하였으며 모창민에게 총리직을 넘겨주었다. 라버 마르코는 이로서 1일 총리라는 별명을 갖게 되었다. 총리직 퇴임 후에는 1월 말 열린월본당과 우리의민주당이 합당하여 전월본개혁당 소속이 되었다.

선거 이력

일시 선거명 소속 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20.2 제10대 총선 틀:열린월본당 17 (42.5%) 당선 초선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틀:열린월본당
2021년 1월
창당, 정계 입문
틀:전월본개혁당
2021년 1월 - 현재
합당

각주

  1. 물론 그 전부터 가상국가 및 월본에서의 입국 사실이 있다.
  2. 나카모토 사토시혁명공산당을 제외한 모든 인물을 사면하는 대사면령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