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 (→논란) |
(→논란) |
||
185번째 줄: | 185번째 줄: | ||
= 논란 = | = 논란 = | ||
ㅋ | |||
= 어록 = | = 어록 = |
2025년 6월 30일 (월) 18:27 판
SGF 자유국 국가 원수 에스티 Эсти Евгений | |||||||||||||||||||||||||||
---|---|---|---|---|---|---|---|---|---|---|---|---|---|---|---|---|---|---|---|---|---|---|---|---|---|---|---|
제 1-3대 총리 | |||||||||||||||||||||||||||
2020년 6월 18일 ~ 2023년 6월 10일 | |||||||||||||||||||||||||||
제 1-2대 최고 인민 회의 의장 | |||||||||||||||||||||||||||
2023년 6월 10일 ~ 2024년 7월 2일 | |||||||||||||||||||||||||||
제 1-3대 국가 원수 | |||||||||||||||||||||||||||
2024년 7월 2일 ~ 2025년 2월 26일 | |||||||||||||||||||||||||||
제 30대 파디샤 | |||||||||||||||||||||||||||
2025년 3월 8일 ~ 2025년 5월 4일 | |||||||||||||||||||||||||||
초대 국가 원수 | |||||||||||||||||||||||||||
2025년 5월 4일 ~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에스티(ㅔ스티)는 SGF 자유국의 건국자이자 정치인이다.
약력
- SGF 국가 원수
- 페넨 베르데 외무성 지도자
- 국가 개발 전선 총서기
- 폴애성 연방 입법 지도자
- 소비에트 공산당 부서기
- 러시아 제국군 육군 이등병
- 아일랜드 내무부 장관
- 시스라이타니아 총리
- SGF 국방군 지도자
- 페넨설라 베르데 당서기
- 하노이국 대통령
- 벨기에 국회 의장
정치사
2020.6.18, SGF 제국 1대 총리(~2.6.18)
2022.6.18, SGF 제국 2대 총리(~12.10)
2022.12.10, SGF 제국 3대 총리(~6.10)
2023.6.10, SGF 인민 공화국 1대 최고 인민 회의 의장(~11
16)
2023.6.10, 공산당 당서기(~5.1.17)
2023.11.16, SGF 인민 공화국 2대 최고 인민 회의 의장(~7.2)
2024.5.16, 노보로시야 3대 서기장
2024.7.2, SGF 자유국 1대 국가 원수(~11.29)
2024.11.29, SGF 자유국 2대 국가 원수(~1.17)
2025.1.17, SGF 자유국 3대 국가 원수(~2.26)
2025.1.17, 국가개발전선 당서기
2025.1.18, 페넨설라 베르데 당서기
2025.1.18, 폴애성 연방 입법 지도자(~1.20)
2025.1.18, SGF 자유국 2대 국방군 원수
2025.1.19, 러시아 제국 육군 입대(~2.5)
2025.1.21, 페넨설라 베르데 외무 지도자
2025.1.26, 아일랜드 내무부 장관(~2.5)
2025.1.27,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스라이타니아 총리
2025.1.28, 하노이국 1대 대통령
2025.1.28, 긴급 체포, SGF 자유국 권한 대행 페넨 베르데, 국가 개발 전선 권한 대행 박찬대, 하노이 권한 대행 탐험트 지목
2025.1.30, 벨기에 브뤼셀 지역구 국회의원 당선(~2.5)
2025.1.31,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비례대표 지역구 국회의원 당선(~2.5)
2025.2.5, 벨기에 국회 의장으로 선출(~2.5)
2025.2.6, 탄누 투바 2대 총리 당선(~2.18)
2025.2.12, 오스트리아 합중국 삼중제국 2대 사관청장(~2.17)
2025.2.12, 유바시리 초대 치안대신(~2.15)
2025.2.12, 아이슬란드 초대 내무부 장관
2025.2.12, 중화제국 황태자(~2.13)
2025.2.12, 오스트리아 합중국군 전략감
2025.2.13, 대한제국 5대 내각총리대신
2025.2.13, 민주협화당 초대 당중앙위원장
2025.2.14, 튀르키예 초대 부통령(~2.26)
2025.2.15, 카스티야 초대 부총통
2025.2.19, 페넌 베르데 2대 총리 당선
2025.2.20, EL 민주 공화국 임시 국가 원수
2025.2.21, 김아론제국 초대 친위대장
2025.2.26, 황 2대 내각총리대신(~2.26)
2025.2.26, 민주혁명당 초대 당수(~2.26)
2025.2.26, 동키예프 연방시 초대 시위원장
2025.2.26, SGF 연방 국가 지도 위원회 의장
2025.2.26, SGF 연방 2.26 참사 발생과 멸망
2025.3.1, 항공철도국 초대 국무총리
2025.3.5, USSE 초대 국방부 장관
2025.3.8, 오스만 제국 제 30대 파디샤
2025.4.26, 디스코드 지사로 임시 이동, 파디샤 권한 대행 오토, 칼리파 권한 대행 네온, 룸 카이세리 권한 개행 시영 지목
2025.4.27, 국가 오스마니아당 당수
2025.4.27, 대한민국 국정원
2025.4.27, 대한민국 국민 저항권 공세 평의회 초대 의장
2025.4.27, 대한민국 제 1사단 1중대 소장
2025.4.28, 뉴펀들랜드 초대 국회의원
2025.4.30, 인도네시아 합중 공화국 초대 대통령
2025.4.30, 래브라다 훈련병
2025.5.1, 독일 제국 초대 총리(~5.4)
2025.5.3, 스위스 연방 제네바 상원의원
2025.5.4, 대만 제 2제국 초대 입법 지휘자
2025.5.4, 바이마르 공화국 초대 국가 수상
2025.5.4, 오스만 자유국 초대 국가 원수(~5.7)
2025.5.7, 오세아니아 전인민당원회의 의장
2025.6.29, 베르니아 제 9대 혁신총리(~6.30)
2025.6.30, 베르니아 파괴
1.28 사태
2025년 1월 18일 3시 경 긴급 체포 당했다. 이에 따라 SGF 자유국과 국가 개발 전선에는 큰 혼란이 발생했다. 영구히 돌아오지 못할 것이라는 추측이 대세이나, 7일간 임시 징역을 받은 것이다. 이에 따라 에스티 예브게니 국가 원수는 SGF 자유국의 에스티 예브게니 행정부 권한 대행으로 페넨 베르데를, 국가 개발 전선 당서기로는 박찬대를, 하노이 대통령 권한 대행으로는 탐험트를 지목했다. 그러나 그 사실은 여러 축에 의해 철저히 은폐되었으며, 그에 따라 1.28 사태의 진실은 아직까지 SGF 자유국에 알려지지 않았다. 2.4일에 석방될 예정이라 한다.
경과
- 1.27, 국가 개발 전선에서 치코리타 당원이 정동영 당원 사퇴를 선동했다. 이에 따라 대응으로 당 지휘부는 선동을 제지하였으나, 정동영 당원이 자진 사퇴했다. 이후 정동영 당원이 당에 제가입 했고, 치코리타 당원은 다시 정동영 당원 사퇴를 선동했고, 이에 대응으로 당 지휘부는 치코리타 당원 사퇴 당내 투표를 개방했고, 이에 따라 당내 분쟁이 이어지다, 치코브파 당원들이 집단 사퇴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 분쟁은 하노이 국에서의 국가 개발 전선 당내 보수파와 치코브파의 분쟁으로 이어져 치코브파가 세천당을 창당하며, 치코리타는 하노이 대선에 출마하고, 국가 개발 전선 터ㅣ출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분쟁이 시작되었다.
- 1.28, 하노이국 대선에서 치코리타가 선거 유세 중 분노해 욕설을 퍼붓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를 하인리히가 경찰청에 신고해 치코리타 세천당 대통령 후보자가 체포되었고, 이에 따라 대통령 후보자 권한이 박탈되었다. 그렇게 순조롭게 흘러가는 것으로 보였으나, 에스티 예브게니 국가 개발 전선 대통령 후보가 이 사실을 퍼트린 것을 명예 훼손이라고 치코리타 후보가 고발하여 에스티 예브게니 대통령 후보자가 체포되면서 큰 혼란이 발생했다. 여러 국가에서 고위직을 겸직중이었던 에스티 예브게니가 체포당하면서, 페넨 베르데와 하노이, SGF에서 혼란이 발생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에스티 예브게니는 권한 대행을 지목하였으나, 댄공에게 알렸으나, 댄공은 SGF 자유국에 알리지 않았고, 추가 통신을 시도했으나 모두 거절했다. 지금은 모두 단절된 상태이다. SGF 자유국 국내에서는 무기 징역 형을 선고받았을 거라는 추측으로 혼란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천천히 붕괴되고 있다. 이 상황은 국가 개발 전선도 마찬가지이다. 1차 항소를 제출했다.
- 1.29, 7시 경 에스티 예브게니가 석방되었으며 이곳에서 만날 수 있다는 거짓 선동이 있었으나 국민들의 불신과 공권력에 의해 3시간 만인 10시에 진압되었다.
- 1.30, 1차 항소가 기각되었다. 2차 항소를 제출했다.
- 1.31, 2차 항소가 기각되었다.
- 2.1, 오전에 2차 선동과 3차 선동이 각각 발발했으나 저녁에 모두 진압되었다.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무소속 | 2020.6.18~2023.6.10 | |
공산당 | 2023.6.10~2025.1.17 | 여당 |
국가 개발 전선 | 2025.1.17~ | 여당 |
국제 정당
국가 개발 전선을 창당한 이후 세계 여러 나라에 국가 개발 전선을 창당했다. 대표적인 국가 개발 전선은 다음과 같다.
- 아틀란티스 국가 개발 전선
- 러시아 제국 국가 개발 전선
-
폴애성 연방 국가 개발 전선 - 이탈리아 제국 국가 개발 전선
- 몬테네그로 국가 개발 전선
- 페넨설라 베르데 국가 개발 전선
- 영국령 인도 국가 개발 전선
- 프잔티움 국가 개발 전선
- 대한민국 국가 개발 전선
- 하노이 국가 개발 전선
- 엘 프레지덴테 국가 개발 전선
- 아일랜드 국가 개발 전선
- 벨기에 국가 개발 전선
논란
ㅋ
어록
평가
왜그살
부정적 평가
애가 모자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