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영국: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휘영국 표}} '''휘영국''' (輝榮國, {{llang|en|Kingdom of Hwiyoung, KOH}})은 동아시아의 한반도에 있는 왕국이다. 서쪽으로는 서해를 사이에 두고...)
 
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 국기 ===
=== 국기 ===
[[태극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참조|태극기}}
=== 국가 ===
=== 국가 ===
[[휘영국의 국가|애국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참조|신이여 살피소서}}


=== 국화 ===
=== 국화 ===
[[무궁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참조|무궁화}}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C60C30><-2><:> {{{#white {{{+2 ''' 무궁화 (無窮花) ''' }}} }}}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C60C30><-2><:> {{{#white {{{+2 ''' 무궁화 (無窮花) ''' }}} }}} ||
||<#FFFFFF><-2><:> [[파일:오얏꽃.jpg|width=100%]] ||
||<#FFFFFF><-2><:> [[파일:무궁화.jpg|width=100%]] ||
||<width=20%><#003478> {{{#white ''' 지위 ''' }}} ||관습상 국화||
||<width=20%><#003478> {{{#white ''' 지위 ''' }}} ||관습상 국화||


=== 국장 ===
=== 국장 ===
[[태극이화문]]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참조|태극이화문}}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00px><#C60C30><-2><:> {{{#white {{{+2 ''' 태극이화문 (太極李花紋) ''' }}} }}}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00px><#C60C30><-2><:> {{{#white {{{+2 ''' 태극이화문 (太極李花紋) ''' }}} }}} ||

2019년 7월 16일 (화) 19:37 판

미국
輝榮國
미국 국기.png 미국 국장.png
국기 미국 국장
표어영요영화 (榮耀榮華)
국가신이여 살피소서
파일:KoreaGlobe.png
수도뉴욕
최대 도시뉴욕
정치
국왕도널드 트럼프
귀족원장
대법원장
김찬수
박훈
역사
건국기원전 2333년 10월 3일
 • 미추홀조약1887년 2월 17일
 • 3.1운동1910년 3월 1일
 • 휘영임시정부 수립1910년 4월 11일
 • 공주조약 체결1918년 7월 15일
 • 휘영국 정부 수립1918년 8월 15일
지리
면적222,300 km2
시간대HST (UTC+9)
인문
공용어한국어
지역어제주어
경제
통화원 (KHW)
기타
ISO 3166-1410, HY, HWI
도메인.kh/.휘영
국제 전화+82

휘영국 (輝榮國, 영어: Kingdom of Hwiyoung, KOH)은 동아시아의 한반도에 있는 왕국이다. 서쪽으로는 서해를 사이에 두고 중국이, 동쪽으로는 동해를 사이에 두고 일본이 있으며 북쪽으로는 중국, 러시아와 맞닿아 있다. 수도는 다원특별시이며, 국기는 태극기, 국가는 애국가, 공용어는 한국어이다. 사용 문자는 한글이다.

오늘날의 휘영국은 1885년 영국이 일으킨 거문도 사건을 발단으로 영국의 속령으로 전락하였던 것이 1910년 3.1 운동 이후 세워진 휘영국 재건위원회[1]가 독립투쟁을 거쳐 재건한 국가이다. 1910년 영국은 거센 3.1운동의 영향을 우려해 자치권을 강화, 무마하려 하였으나 왕실이 자치내각을 거부하고 완전 독립을 주장하면서 1918년 제1차 세계대전 종전과 함께 영국과 영구 동맹협정을 맺고 독립했다.

상징

국호

휘영국 국왕 칙령과 타 법률상 정식 국호를 "휘영국"으로 사용하고 있다. 영문으로는 'Kingdom of Hwiyoung'을 줄여 'KH'를 쓴다. 줄여서 kh, 혹은 hwi로 표기한다.

국기

국가

국화

무궁화 (無窮花)
width=100%
지위 관습상 국화

국장

태극이화문 (太極李花紋)
width=50%
지위 공식 국장
제정시기 1933년 2월 10일
근거법령 칙령 제2328호 <국가문장 규정>

역사

틀:휘영국의 역사

자연환경

면적 (영토)

지형

생태

자원

인문환경

인구

언어

종교

교통

행정구역

정치

불문헌법 국가

영국의 영향으로 영미법 체계를 받아들였고, 영국처럼 일반적인 법률과 별도로 구분된 헌법전이 없다. 일반적 개념으로서의 헌법은 국가의 통치 구조와 국민의 기본권을 규정해 놓은, 그 법 공동체의 최상위 규범인데 헌법이 없다는 것은 단순히 성문헌법전이 없다는 의미일 뿐, 다른 나라라면 성문의 헌법으로 규정할 사항들을 규정해 놓은 법률이 당연히 있기 때문에, 영국과 같이 막장 국가라는 의미가 절대 아니다. 물론 원한다면 여느 법처럼 바꿀 수 있지만 민주주의가 이미 뿌리내려서 하지 않는다. 대부분은 일반적인 복수의 법률 형태로 헌법에 해당하는 조문들을 구성하고 있고, 성문법 형태가 아닌 그 외의 사항은 '관습 헌법'에 따른다.

왕실

현재 휘영국 국왕은 이씨 왕조의 이협이다.

휘영국 국왕은 휘영국의 국가원수의 역할을 하며, 국군을 통수하고 휘영국 총리를 임명할 권한을 지니며, 의회해산권, 국사행위에 대한 거부권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입헌군주제 민주주의 국가인만큼 이런 권한은 모두 총리에 위임되어 있거나 총리의 요청이 있을 때에만 발동된다. 따라서 국왕은 상징적 국가원수의 역할만을 수행한다. 불문헌법 국가인 만큼 휘영국 국왕의 역할 역시 관습적으로 규정되어온 것이다.

귀족

행정

국제관계

경제

사회

교육

관련 문서

같이 보기

각주

  1. 후에 휘영국 임시정부로 개칭.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