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경제국 황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1번째 줄:
 
{{대경제국의 헌법기관}}
 
{{대경제국의 헌법기관}}
 
{{왕가 정보
 
{{왕가 정보
|왕가명    = 대경제국 황실<br/>大敬帝國 皇室<br/>Royal Family of Korean Empire
+
|왕가명    = 대경제국 황실<br/>大敬帝國 皇室<br/>Royal Family of Korea Empire
 
|휘장      = 황실 문장.png  
 
|휘장      = 황실 문장.png  
 
|휘장설명  = 대경제국 황실 문장
 
|휘장설명  = 대경제국 황실 문장

2019년 10월 18일 (금) 21:48 판

대경제국의 헌법기관
황실 대경제국 황제, 대경제국 황실, 대경제국 국무원
의정원 대경제국 의정원, 대경제국 귀족원, 대경제국 국민원, 대경제국 감사원
내각 대경제국 총리대신
대경제국 각의, 대경제국 내각, 대경제국 각료, 대경제국 정무대신, 대경제국 행정원, 총리자문회의, 국민경제자문회의
사법 대경제국 대법원, 대경제국 대법원장, 대경제국 대법관, 대경제국 대법관회의
대경제국 각급 법원, 대경제국 법관
대경제국 헌법재판소, 대경제국 헌법재판소장, 대경제국 헌법재판소 재판관
선거 관리 대경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경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대경제국 중앙선거관리위원, 대경제국 각급 선거관리위원회
지방 행정 지방자치단체, 지방의회
대경제국 황실
大敬帝國 皇室
Royal Family of Korea Empire
대경제국 황실 문장
대경제국 황실 문장
국가 대경제국
작위 공작, 후작, 백작, 자작, 남작
설립자 안종 태황제
현재 수장 전황제 이원
건립일 1890년
민족 경국인
본가 대경제국 황실
분가 경인궁 이씨
정영궁 이씨
성경궁 이씨
상평궁 이씨
헌경궁 이씨
수희궁 이씨
이영궁 이씨

 
 
  
 
 
 

   
 
 

개요

대경제국의 황실 가문이다.

대경제국의 황실 가문의 성씨는 전주 이씨(李氏)이며 전주 이씨도 대경제국의 국성이다.

상징

대경제국 황실의 상징중 가화(家花)는 '오얏나무 꽃'이고 가목(家木)은 '자두나무'다. 가조(家鳥)는 '까치'다.

오얏나무 꽃.jpg
가화
오얏나무 꽃
자두나무.jpg
가목
자두나무
까치(대경제국).jpg
가조
까치

문장

이화문(대경제국)문서를 참조하시오.

칭호

  • 황제의 이름을 말하려면 황제의 존호인 '황호(皇號)'까지 껴서 말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의종 대황제의 이름인 '이강'을 부르려면 황제의 황호인 '강황제'까지 붙여서 '강황제 이강'폐하라고 불러야 한다. 고로 현황제(現皇帝)인 전황제 이원도 이에 따라 황호인 '전황제'를 붙여서 '전황제 이원 폐하'로 부르는 것이다. 황제의 경칭은 '폐하'다.
  • 황후는 존호가 없기에 그냥 황후라 부른다. 허나 황태후로 승격할 경우 부여되는 존호를 붙여서 '(존호) 황태후 폐하'로 부르며 이는 태황태후가 되었을 경우에도 똑같다. 황후와 태황후, 태황태후의 경칭은 '폐하'다.
  • 황태자와 친왕, 내친왕은 부여되는 존호를 붙여 태자호(황태자), 친호(친왕), 내친호(내친왕)을 붙여서 '(존호) 황태자(태자)/친왕/내친왕 전하'라 부른다. 황태자와 친왕, 내친왕의 경칭은 '전하'다. 황태손은 경칭은 '전하'를 사용하며 존호는 따로 올리지는 않는데 어차비 책봉되었더라도 곧바로 황태자로 책봉되는 절차를 밣기에 존호를 부여하지 않는다.
  • 친왕비, 내친왕서, 황태자비, 황태손비는 황태자비를 제외하고는 존호가 안부여된다. 황태자비를 부를때에는 '(존호) 황태자비 전하'라고 하며 경칭은 '전하'다.
  • 친왕자, 내친왕자, 친왕자비, 내친왕자비는 존호가 안부여되며 경칭은 '마마'다.
  • 황족이 혼인하여 출궁을 하면 기존 존호를 황실이 인수하고 이후 입궁하면 존호를 환원하며 경칭은 유지하되 '(이름) (경칭)'으로 부른다.
  • 주로 존호를 받는 황족이 사망할 경우 받은 존호가 시호로 올려지는데 존호를 시호로 안올리는 경우는 황제가 있으며 황후가 황태후나 태황태후로 올라간 상태에서 사망할 경우 그때 받은 존호를 붙여 '(존호)황후'로 불린다. 친왕이 사망하면 시호로 '(받은 존호)대군'으로 올라가며 친왕자이 사망하면 시호를 '(XX)군'이 된다. 친왕녀가 사망하면 시호는 '(XX)옹주'가 된다. 내친왕이 사망하면 시호로 '(받은 존호)공주'가 되며 내친왕자는 친왕자가 시호의 형식이 똑같고 내친왕녀도 친왕녀의 형식과 똑같다. 친왕손, 내친왕손이 죽으면 시호는 '(XX)정녀(正女)'(女), '(XX)정군(正君)'(男)으로 올린다.

대경제국 황제

대경제국 황제
전황제 이원
전황제 이원.png
현직32대[1], 6대
재위 기간2017년 10월 25일~현재
연호옥화(玉和)

대경제국 황실의 수장은 대경제국 황제가 겸임한다. 대경제국 황제는 1890년, 황국제제에 따라 황제에 올랐으며 그 후 제정이 폐지됐다가 다시 복고되며 현재에 이르었다.
역대 대경제국 황제에는 안종 태황제, 순종 성황제, 영종 문황제, 의종 대황제, 청의태상황 이유수가 있고 현임 황제는 전황제 이원이다. 안종 태황제는 황위에 있는 동안 제국의 기틀을 마련했고 순종 성황제는 마련된 기틀을 유지 및 보수하는게 초점을 두었다. 영종 문황제때 대경제국의 체제가 완성되면서 어느 정도 안정기를 구가하는 줄 알았는데 제2차 경일전쟁이 발발해버린다. 영종 문황제는 자신이 내리는 마지막 칙령에서 사실상 의종 대황제에게 황위를 양위한다. 황위를 승계받은 의종 대황제는 10년에 걸쳐 일본을 본토에서 몰아냈으나 이후 혼란한 정국이 펼쳐지며 내전이 발발했고 이승만의 독재 정권과 더불어 5.16 군사 쿠데타로 제정이 그냥 날라가버린다. 이후 복벽을 주장하는 제정복고 운동이 일어났으나 민주화 세력에게 밀리면서 복벽을 못할뻔 했는데 군사정권과 협상하여 제정복고를 완수한다. 의종 대황제는 복벽 1년(1988년)만에 죽고 그 뒤를 이어 청의태상황 이유수가 즉위한다. 청의태상황 이유수는 2018년, 이정친왕 이후의 황위계승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전황제 이원에게 황위를 양위하며 지금까지 오게 됐다. 황실에서 황제가 그 정점에 서있는 상태이지만 황제는 국사를 돌보기에 실질적인 황실의 웃어른은 황후인 황후 소씨이다. 황실의 내명부를 관장하며 황제의 조강지처이자 제국의 국모다. 자세한 건 대경젝국 황후 문서를 방문하라.
황제의 정무를 보좌하는 기관은 대경제국 국무원이며 황명을 출납하는 기관은 대경제국 승정원과 내관부다. 황제는 대경제국 국민 통합의 상징
이고 이에 따라 황제의 그 모든 행동은 청렴하며 국민의 존엄을 받아야 한다. 이렇기에 황제에 대한 스캔들은 없지만 사상적 논조는 뚜렷한데 여러
발언들로 인해 전황제 이원청의태상황 이유수의 사상적 차이는 천차만별이다. 전황제 이원은 친미적 성향으로 자유주의 진영과의 공조를 추
구하지만 청의태상황 이유수는 친오적 성향으로 제국 정치-행정 연합과의 공조를 더욱 돈독히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경제적 성향도 전황제 이원은 보수적 성향이고 청의태상황 이유수는 분배, 사회민주주의 성향을 가지고 있다. 이는 두 황제의 발언으로 충분히 알 수 있다. 서로가 형제 관계인데 이렇게 천차만별이.. 아무튼 앞으로도 제국의 국가원수로써 잘 직무를 수행할 것이다.

권한

대경제국 황제의 권한

1. 대경제국 황제 폐하는 만인이 인정하는 대경제국의 국가원수이시다.

2. 대경제국 황제 폐하는 대경제국의 주권과 군 통수권을 가지고 있으시다.
3. 대경제국 황제 폐하는 국가의 법령부터 칙령, 의정원과 총리대신이 제출하여통과시키려는 법률안에 대해 마땅히 거부권을 행사하실 수 있으시다.
4. 대경제국 황제 폐하는 각료 임명권, 총리대신 임명권, 지방행정구역 행정수반 임명권, 이외의 인사권을 행사하실 수 있으시다.
5. 대경제국 황제 폐하는 특정한 이들에게 봉작과 직책, 훈장, 등등의 명예를 부여, 하사하시거나 박탈하실 수 있으시다.
6. 대경제국 황제 폐하는 제국의전서열의 1위이시므로 마땅한 의전을 받으신다.
7. 대경제국의 모든 영지는 어면히 황제 폐하께옵서 하사하신 땅이므로 마땅히 황제 폐하가 다시 회수하실 수 있으시며 다시 재분봉하실 수 있으시다.
8. 대경제국 황제 폐하와 그 일가, 방계황족은 개정(開情)을 선택적으로 하실 수 있으시다.
9. 제국헌법에서 규정한 국가위기상황시 황제 폐하께옵서는 총리대신의 제청으로 긴급명령권을 발동하실 수 있으시며 그 외에도 자체적으로 발동하실 수 있으시다.
10. 대경제국 황제 폐하와 그 일가는 면세권을 영구적으로 받으시며 또한 자발적으로 내실 수 있으시다.
11. 대경제국 황제 폐하는 대경제국의 국토법에 따라 정해진 국토의 모든 호랑이, 무궁화, 자두나무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으시며 이를 개개인이나 단체에 무기한 대여하실 수 있으시다.
12. 대경제국 황제 폐하는 ‘대경제국 헌법 제2장 황제'를 의정원에 개정안을 하사하시여 개정하실 수 있으시다.
13. 대경제국 황제 폐하는 ‘대경제국 헌법 제2장 황제'를 영원토록 누릴 수 있으시다.

대경제국 황족의 권한

황족 구성원

내정황족

내정황족은 황실의 구성원중 현임 황제와 9촌 미만인 구성원을 내정황족이라 부른다. 내정황족은 보통 친왕, 내친왕, 정군, 정녀의 작위를 부여받으며 이외 봉작을 수여받는다.[2] 내정황족은 현재 42명으로 집계된다. 내정황족의 교육은 황립 아카데미가 있고 내정황족중 친왕부나 황태자부에 속하는 시강원이라는 내정황족중 제위계승서열 3위 안에 드는 황족을 특별이 교육하는 교육기관이 존재한다.

방계황족

궁가황족

무궁황족

제명황족

궁가(궁관)

역사

대경제국 황실 역사문서를 참조하시오.

스캔들

비판

기타

  • 황실을 왕실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공식적으로는 황실(皇室)이다.
  • 대경국 국왕직까지 포함할 경우
  • 이외에는 황태자, 황태손도 있다
  • 궁호는 진희궁 이씨였으나 소유지였던 청경 일부 땅을 내각에 무상매각하자 내각이 올린 새로운 궁호를 채택한게 바로 이 헌경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