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46번째 줄: | 46번째 줄: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DB0000; color: #FFE400" | 인접국 | ! colspan="2" style="background:#DB0000; color: #FFE400" | 인접국 | ||
| align=left | [[파일:중국 국기|width=27]] [[중화인민공화국]]<br>[[파일:|width=27]] [[몽골인민공화국]]<br>[[파일:|width=27]] [[인도 제국]]<br>[[파일:|width=27]] [[대한국]]<br>[[파일:|width=27]] [[아프가니스탄]]<br>[[파일:|width=27]] [[페르시아 제2공화국]]<br>[[파일:|width=27]] [[터키 연방]]<br>[[파일:발트 연방 국기|width=27]] [[발트 연방]]<br>[[파일:|width=27]] [[폴란드 연합국]]<br>[[파일:|width=27]] [[프로이센 대공국]]<br>[[파일:|width=27]] [[헝가리민주공화국]]<br>[[파일:|width=27]] [[루마니아인민공화국]] | | align=left | [[파일:중국 국기.png|width=27]] [[중화인민공화국(중세관)|중화인민공화국]]<br>[[파일:|width=27]] [[몽골인민공화국]]<br>[[파일:|width=27]] [[인도 제국]]<br>[[파일:|width=27]] [[대부여국]][[파일:태극기.png|width=27]] [[대한국]]<br>[[파일:|width=27]] [[아프가니스탄]]<br>[[파일:|width=27]] [[페르시아 제2공화국]]<br>[[파일:|width=27]] [[터키 연방]]<br>[[파일:발트 연방 국기.png|width=27]] [[발트 연방]]<br>[[파일:|width=27]] [[폴란드 연합국]]<br>[[파일:|width=27]] [[프로이센 대공국]]<br>[[파일:|width=27]] [[헝가리민주공화국]]<br>[[파일:|width=27]] [[루마니아인민공화국]] | ||
|- | |- | ||
|} | |} |
2021년 10월 26일 (화) 00:00 판
소비에트 주권 공화국 연합 Союз Советских Cуверенных Республик | |||||||||||||||||||||||||||
---|---|---|---|---|---|---|---|---|---|---|---|---|---|---|---|---|---|---|---|---|---|---|---|---|---|---|---|
![]() |
![]() | ||||||||||||||||||||||||||
국기 | 국장 | ||||||||||||||||||||||||||
Пролетар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
상징 | |||||||||||||||||||||||||||
국가 | 인터내셔널가 (1922년~1944년) 소련 국가 (1944년~1991년) | ||||||||||||||||||||||||||
국화 | 해바라기 | ||||||||||||||||||||||||||
역사 | |||||||||||||||||||||||||||
| |||||||||||||||||||||||||||
지리 | |||||||||||||||||||||||||||
| |||||||||||||||||||||||||||
인문환경 | |||||||||||||||||||||||||||
| |||||||||||||||||||||||||||
구성공화국 | |||||||||||||||||||||||||||
| |||||||||||||||||||||||||||
정치 | |||||||||||||||||||||||||||
| |||||||||||||||||||||||||||
경제 | |||||||||||||||||||||||||||
| |||||||||||||||||||||||||||
단위 | |||||||||||||||||||||||||||
| |||||||||||||||||||||||||||
외교 | |||||||||||||||||||||||||||
| |||||||||||||||||||||||||||
ccTLD | |||||||||||||||||||||||||||
.su[5] | |||||||||||||||||||||||||||
국가코드 | |||||||||||||||||||||||||||
SU, SUN, 810[6] | |||||||||||||||||||||||||||
국제전화코드 | |||||||||||||||||||||||||||
+7[7] |
- ↑ 블라디미르 레닌은 국가 주도의 공용어라는 개념을 반대했고, 러시아어는 각 민족 간의 소통을 위한 언어였을 뿐이다. 정작 러시아 내에서도 1990년에서야 러시아어를 공용어로 지정했다.
- ↑ 공화국별로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등 구성 공화국 고유 언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었고, 구성 공화국 내 자치구역에서도 별개 공용어 지정이 가능했다. 하지만 러시아어가 공용어로서 실질적으로 기능했기 때문에 이 언어들은 제2국어, 제3국어 역할에 그쳤다.
- ↑ 소비에트 연합은 구성 공화국의 연합체로서 국가연합을 지향하나, 연합 장관회의와 공화국 장관회의 간 관계, 외교권과 국방권을 연합 정부가 가지는 것은 일부 연방제의 성격이 잔존한다고 볼 수 있다.
- ↑ 집산주의 및 국유재산제 → 부분적 자본주의 및 사유재산제
- ↑ 소연합 차원의 공식 사이트에서 주로 사용. 각 구성 공화국은 고유의 최상위 도메인을 가진다.
- ↑ 3개 모두 소비에트 연방 시절의 것을 그대로 쓰고 있다. 이는 최상위 도메인도 마찬가지인데, 소연합의 영어 국호 철자가 거의 변화가 없기 때문.
- ↑ 이는 구성 공화국 공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