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카우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33번째 줄: 33번째 줄:
* 의회해산권
* 의회해산권
* 법안 및 헌법 제정 및 개정안의 최종 승인권
* 법안 및 헌법 제정 및 개정안의 최종 승인권
* 여왕폐하를 대신한 왕령 및 총독령의 공포
* 국왕 폐하를 대신한 왕령 및 총독령의 공포
* etc
* etc
다만 대부분의 권한은 총리가 실질적으로 행사하는 편이고, 임면권 등은 총리나 내각 인사들, 의회의 암묵적 동의 또는 요청이 있는 경우에야 쓰일 수 있다. 조기총선을 위해 총리가 요청하여 총독이 의회를 해산하는 경우처럼 말이다.
다만 대부분의 권한은 총리가 실질적으로 행사하는 편이고, 임면권 등은 총리나 내각 인사들, 의회의 암묵적 동의 또는 요청이 있는 경우에야 쓰일 수 있다. 조기총선을 위해 총리가 요청하여 총독이 의회를 해산하는 경우처럼 말이다.

2022년 2월 14일 (월) 18:51 판

하카우타 국장(2021.10.).png
하카우타 관련 틀
UVN logo white.png
UVN 디폴리틱 세계관 국가목록
[ 펼치기 · 접기 ]
귄메아.png 귄메아 연방 공화국
영국 국기.svg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그리스국기.png 그리스 왕국
DPRNstateflag.png 나루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난방공화국 국기.png 난방공화국
남아프리카.png 남아프리카 연방
대부여국국기.png 대부여국
태극기.png 대한제국
동녕.png 동녕국
러소사1.png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무굴.png 무굴 제국
미국 국기.png 미합중국
발트연방 국기.jpg 발트 코뮌 공화국 연방
백악.png 백악민주공화국
보스니아국기.png 보스니아 공화국
불가리아 왕국 국기.png 불가리아 왕국
브라티나국기.jpg 브라티나 사회주의 인민 연방국
브렌토 국기.png 브렌토 공화국
서아프리카 국기.png 서아프리카 연방
샤모야 국기.png 샤모야 황실제국
Flag of Serbia (1882–1918).svg 세르비아 왕국
아오키 국기.png 아오키국
아이슬란드 국기.png 아이슬란드
아프간국기.png 아프가니스탄 왕국
은하국 국기.png 은하국
이베리아 연합왕국 국기.png 이베리아 연합왕국
일본 국기.png 일본국
스위스 국기.png 스위스 연방
중화민국 국기.png 중화민국
카르타고.png 카르타고
카자이.png 카자흐 이집트
타이란터우.png 타이란터우 공화국
프랑스코뮌국기3.png 프랑스 코뮌 공화국
필리핀 국기.svg 필리핀(디폴리틱)
하시미.png 하시미아라비아 왕국
타이왕국 국기.svg 타이왕국
* 국제기구 및 단체는 제외합니다.
* ㄱ,ㄴ,ㄷ 순으로 작성합니다.
하카우타(이스트 쿡 제도)
Commonwealth of Hakauta(East Cook Islands)
하카우타 국기.png 하카우타 국장(2021.10.).png
국기 국장
I bilefa Ey apongka
믿음 안에서 나는 나아간다
상징
국가 Glory to Hakauta
God Save the Queen
국조 카에와
역사
폴리네시아인의 상륙 및 정착
700년 대
제임스 쿡 선장 일행, 하카우타 발견 및 상륙
1773년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 편입
1787년
핏빛 달의 밤(Blood moon's Night)
1847년 2월 9일
정착민-원주민 전쟁
1847년 12월 29일
타우랑가 조약(Treaty of Tauranga) 체결
1848년 7월 15일
지리
면적 49,022.67km²
수도 테이번
최대도시 테이번
인접국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Flag of New Zealand.svg 뉴질랜드 왕국
인문환경
인구 전체인구 1,703,885명 (2021)
민족 구성 유럽계 79.0%
원주민 10.8%
아시아계 4.5%
기타 5.7%
인구밀도 34.8명/km²
출산율 1.89명
종교 국교없음(정교분리)
공용어 영어, 하카우타어
군대 하카우타 국방군
하위 행정구역
지방(Region) 5개
정치
정치체제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양원제
국가요인 국왕 찰스 3세 (영국국왕/국가원수)
총리 헨리 하버필드 (정부수반)
총독 데이비드 체임벌린
국회의장 마거릿 휴고
대법원장 캐머론 셰필드
여당 하카우타 보수당
경제
경제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명목 GDP 전체 GDP $100,728,569,545
1인당 GDP $59,117
GDP(PPP) 전체 GDP $106,066,841,250
1인당 GDP $62,250
신용 등급 무디스 Aa1
S&P AA
Fitch AA
화폐 공식화폐 하카우타 파운드 (HA £)
ISO 4217 HAP
단위
법정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10
도량형 SI 단위
외교
유엔 가입 1968년
ccTLD
.ha [1]
국가코드
COH [2]
HA [3]
국제전화코드
+67

개요

하카우타(Commonwealth of Hakauta)(이스트 쿡 제도)는 오세아니아 지역에 위치한 섬나라이다. 오세아니아의 대표적인 휴양지이며, 다양한 식생이 보존되어 있어 호주, 뉴질랜드와 함께 오세아니아의 독특한 생태계 연구에 도움이 되고 있다. 인구밀도는 인접국에 비해 높은 편이다. 1, 2차 산업은 내수경제에 의존하며, 3차 산업은 외수경제에 의존하는 경향을 띄는데, 대부분의 수익은 레저, 관광 등의 3차 산업에서 창출된다.

상징

하카우타 국기.png현재 하카우타의 국기
이스트 쿡 식민지기.png영국령 이스트 쿡 제도의 기

하카우타의 국기는 영국령 이스트 쿡 제도 시절의 것에서 야자수와 남십자성의 색을 바꾼 것을 이어서 쓰고 있다. 유니억 잭이 캔턴으로 들어가 있으며, 황색은 태양빛으로 하카우타의 번영과 독립정신을, 야자수는 풍부한 식생과 아름다운 자연을, 남십자성은 선조들의 개척정신에서 비롯된 하카우타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빛나는 미래를 상징한다. 참고로 남십자성은 남반구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이를 국기에 사용함으로서, 항해민족인 미크로네시아, 폴리네시아인 선조들이 진출하여 번성하게 된 오세아니아 지역의 민족적 아이덴디티를 표현한다.

정치

하카우타는 영국의 국왕을 국가원수로 모시며 의원내각제를 채택한 입헌군주국인 영연방왕국이다. 영국 정부의 대리로 하카우타에 파견되는 '총독' 직책도 존재하나, 현재는 상징적 권력으로, 하카우타 국내에서 선출, 임명된다.

국왕

하카우타는 영연방왕국(Commonwealth realms)으로, 영국의 왕을 하카우타의 왕으로 섬긴다. 영국의 왕을 하카우타의 국가원수로 모신 것은 1787년,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의 일부로 편입된 이후로, 그 때부터 현재까지 약 240년 간 이어져 오고 있다. 현재는 엘리자베스 2세가 하카우타의 여왕이자 국가원수이다. 하카우타에서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호칭은 "하느님의 은총에 의한, 이스트 쿡 및 그녀의 다른 왕국들과 영토들의 여왕, 영연방의 수장 엘리자베스 2세(Elizabeth the Second, by the Grace of God, Queen of the Eastern Cook[4] and Her other Realms and Territories, Head of Commonwealth)"

총독

하카우타 국장(2021.10.).png 하카우타의 역대 총독

하카우타의 총독은, 국왕의 대리인으로서 명목상의 국가원수 역할을 한다. 하카우타의 총독은 하카우타 국내에서 후보를 추려 국왕이 임명한다. 상원에서 후보를 선출하고, 하원에서 후보에 대한 동의를 거쳐 국왕의 재가가 떨어지면 그 사람은 비로소 하카우타의 총독으로 취임하게 된다. 하카우타의 총독은 국왕을 대리하여 다음의 권한을 가진다.

  • 하카우타의 총리와 내각관료 임면권
  • 하카우타 국방군의 통수권
  • 의회해산권
  • 법안 및 헌법 제정 및 개정안의 최종 승인권
  • 국왕 폐하를 대신한 왕령 및 총독령의 공포
  • etc

다만 대부분의 권한은 총리가 실질적으로 행사하는 편이고, 임면권 등은 총리나 내각 인사들, 의회의 암묵적 동의 또는 요청이 있는 경우에야 쓰일 수 있다. 조기총선을 위해 총리가 요청하여 총독이 의회를 해산하는 경우처럼 말이다. 물론 상기 권한들은 총독이 독단적으로 사용하여도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다. 다만 우선 국왕의 동의도 필요할 뿐더러, 무엇보다 영연방왕국들은 영국 국왕을 국가원수로 섬기나 실질적 독립국이다. 즉, 국왕은 자국의 국가원수이나 엄밀히 따지면 '영국의 국왕'이고, 이를 대리하는 총독이 자신의 권한이라는 이유로 이를 독단적으로 처리하게 되면 총독 자신의 정치인생도 그 순간으로 끝일 뿐더러, 민심을 상당히 자극할 것이다. 비슷한 일례로, 호주의 '존 커(John Kerr)' 총독이 독자적으로 고프 휘틀럼 총리를 해임하여 상당한 질타를 받은 적 있다.

총리

하카우타 국장(2021.10.).png 하카우타의 역대 총리

의회

하카우타 국장(2021.10.).png 하카우타 하원 원내 구성
Hakautian House of Representatives
[ 펼치기 · 접기 ]
 제2차 하버필드 내각 
2022.01.10(0006.06.09) ~
여왕 폐하의 여당
자민 투명 로고.png
235석
여왕 폐하의 야당
민중민주당 로고2.png
189석
야당
미래우파당 투명 로고 2.png
68석
조화민주당 투명 로고.png
7석
새출발미래당 로고2.png
1석
재적의원  500석 

내각

하카우타 국장(2021.10.).png 하카우타의 국가행정조직

하카우타의 행정부는 2026년 현재,

사법

경제

역사

자세한 내용은 하카우타/역사 참고.

사회

외교

  1. 과거에는 east cook을 의미하는 .ek가 쓰였으나, 공식국호가 "하카우타"로 변경되면서 도메인도 변경되었다.
  2. Commonwealth of Hakauta
  3. Hakauta
  4. 하카우타로의 국명 변경이 반영되지 않아, 일부 국민, 특히 원주민들의 반발이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현재 하원에서 의논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