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 AIR ALPACA: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4번째 줄: 54번째 줄:
   
   
===현역 기재===
===현역 기재===
 
{| class="wikitable"
|-
! 등록기호 !! 제작사 !! 기종 !! 비고
|-
| YR-PAA || 에어버스 || A330-900NEO || 쿠알라룸푸르 노선 투입
|-
| YR-PAB || 에어버스 || A330-900NEO || 홍콩 노선 투입
|-
| YR-PAC || 에어버스 || A330-900NEO || 런던 노선 투입
|-
| YR-PAD || 에어버스 || A330-900NEO ||
|-
| YR-PAE || 에어버스 || A330-900NEO ||
|}
===퇴역 기재===
===퇴역 기재===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74번째 줄: 87번째 줄:
| YR-OOZ || 보잉 || B737-800 || PF 인수 직후 기종 정리 명분으로 처분
| YR-OOZ || 보잉 || B737-800 || PF 인수 직후 기종 정리 명분으로 처분
|-
|-
| YR-PAA || 에어버스 || A321-200 || 경영 안정화 이후 매각
| YR-OZA || 에어버스 || A321-200 || 경영 안정화 이후 매각
|-
|-
| YR-PAB || 에어버스 || A321-200 || 경영 안정화 이후 매각
| YR-OZB || 에어버스 || A321-200 || 경영 안정화 이후 매각
|-
|-
| YR-PAC || 에어버스 || A321-200 || 경영 안정화 이후 매각
| YR-OZC || 에어버스 || A321-200 || 경영 안정화 이후 매각
|}
|}
==운항 노선==
==운항 노선==
86번째 줄: 99번째 줄: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도착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도착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
|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 에버딘 || 에버딘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밸리카고</ref> || A321NEO || PAF800/PAF801<ref name="ICAO">ICAO 코드</ref>, PP800/PP801<ref name="IATA">IATA 코드</ref>
|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 에버딘 || 에버딘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밸리카고</ref> || A321NEO || PAF800/PAF801<ref name="ICAO">ICAO 코드</ref>, PP800/PP801<ref name="IATA">IATA 코드</ref>  
|-
|-
|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 런던 || 런던 히스로 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30NEO || PAF802/PAF803<ref name="ICAO"/>, PP802/PP803<ref name="IATA"/>
|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 런던 || 런던 히스로 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30NEO || PAF802/PAF803<ref name="ICAO"/>, PP802/PP803<ref name="IATA"/>  
|-
|-
|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 런던 || 런던 히스로 공항 || 화물 || B737-400F || PAF804/PAF805<ref name="ICAO"/>, PP804/PP805<ref name="IATA"/>
|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 런던 || 런던 히스로 공항 || 화물 || B737-400F || PAF804/PAF805<ref name="ICAO"/>, PP804/PP805<ref name="IATA"/>  
|-
|-
| [[파일:프랑스 제4제국 국기.svg|20px]]프랑스 파리 || 파리 샤를 드 골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700/PAF701<ref name="ICAO"/>, PP700/PP701<ref name="IATA"/>
| [[파일:프랑스 제4제국 국기.svg|20px]]프랑스 파리 || 파리 샤를 드 골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700/PAF701<ref name="ICAO"/>, PP700/PP701<ref name="IATA"/>  
|-
|-
| [[파일:스페인 국기.png|20px]]스페인 마드리드 ||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500/PAF501<ref name="ICAO"/>, PP500/PP501<ref name="IATA"/>
| [[파일:스페인 국기.png|20px]]스페인 마드리드 ||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500/PAF501<ref name="ICAO"/>, PP500/PP501<ref name="IATA"/>
|-
|-
| [[파일:스페인 국기.png|20px]]스페인 바르셀로나 || 바르셀로나 엘프라트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502/PAF503<ref name="ICAO"/>, PP502/PP503<ref name="IATA"/>
| [[파일:스페인 국기.png|20px]]스페인 바르셀로나 || 바르셀로나 엘프라트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502/PAF503<ref name="ICAO"/>, PP502/PP503<ref name="IATA"/>  
|-
|-
| [[파일:State Ensign of Italy.svg|20px]][[이탈리아 사회 민주 공화국|이탈리아]] 로마 ||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 여객 || B737-9MAX || PAF550/PAF551<ref name="ICAO"/>, PP550/PP551<ref name="IATA"/>
| [[파일:State Ensign of Italy.svg|20px]][[이탈리아 사회 민주 공화국|이탈리아]] 로마 ||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 여객 || B737-9MAX || PAF550/PAF551<ref name="ICAO"/>, PP550/PP551<ref name="IATA"/>  
|-
|-
| [[파일:State Ensign of Italy.svg|20px]][[이탈리아 사회 민주 공화국|이탈리아]] 로마 ||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 화물 || B737-400F || PAF552/PAF553<ref name="ICAO"/>, PP552/PP553<ref name="IATA"/>
| [[파일:State Ensign of Italy.svg|20px]][[이탈리아 사회 민주 공화국|이탈리아]] 로마 ||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 화물 || B737-400F || PAF552/PAF553<ref name="ICAO"/>, PP552/PP553<ref name="IATA"/>  
|-
|-
|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 자그레브 프라뇨 투지만 국제공항 || 여객 || B737-9MAX || PAF880/PAF881<ref name="ICAO"/>, PP880/PP881<ref name="IATA"/>
|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 자그레브 프라뇨 투지만 국제공항 || 여객 || B737-9MAX || PAF880/PAF881<ref name="ICAO"/>, PP880/PP881<ref name="IATA"/>  
|}
|}
====동북아시아 노선====
====동북아시아 노선====

2022년 4월 7일 (목) 03:30 판

PF AIR ALPACA
PF AIR ALPACA
PF AIR ALPACA 로고.png
정식명칭 PF AIR ALPACA
원어명칭 PF AIR ALPACA
국가 루마니아 왕국 국기.png 루마니아
설립일 확인되지 않음
기업규모 대기업
창업주 알파카
업종 항공여객운수업
본사위치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대표자 MINJONG
시가총액
기업 정보
[ 펼치기 · 접기 ]
자본금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자산총액
-
부채총액
-
직원수
-


개요

알파카그룹에서 운영하던 알파카항공을 PF에서 인수하여 만들어진 항공사이다. 원래 알파카항공은 알파카그룹의 루마니아 지사[1]에 소속되어있던 항공사였어서 PF로 넘어간 지금도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헨리 코안더 국제공항이 허브 공항이다.

처음에는 PF AIRWAYS처럼 MCC로 운영되었지만 점점 가격과 서비스를 낮추는 방식으로 현재는 알파카항공이 유럽권 LCC브랜드로 탈바꿈되었으며 주로 동유럽, 남유럽 출발 노선을 담당하고 있다.

IATA 코드는 PP, ICAO 코드는 PAF를 사용하고 있다. 콜사인은 ALPACA이다. MAWB(Master Air Way Bill)은 920를 사용한다.[2]

서비스

LCC인 PF AIR ALPACA는 비즈니스와 이코노미로 두가지의 좌석을 운용한다. 비즈니스 좌석은 160º로 누워서 비행할 수 있다고 한다.[3]

중단거리 노선의 경우 일반적인 LCC처럼 물만 제공해준다. 장거리 노선의 경우 1회의 기내식이 무료 제공되며 이는 PF AERO GOURMET에서 제작한다. 또한 사전에 메뉴를 신청할 수 있다.[4]


보유 기재

구 알파카항공 시절에 협동체로 B737-300, B737-400을 사용하였고 이후 교체로 B737-800을 일부 교체하였다. B737-300,-400을 상당히 오래 사용하였으며 교체가 상당히 늦어졌고 이마저도 -800이다. -8MAX로도 충분히 변경하였을수 있지만 이는 의문이다.

PF에서 인수한 이후에는 기존 B737시리즈를 일부처분하였고 일부는 화물기로 개조하였다. 에어버스사의 A321-200을 3대를 임시로 사용하였다가 A320NEO, A321NEO를 도입하였다. 또한 B737-9MAX도 사용하고 있다.[5]

광동체는 도입을 하지 않다가 매각 되기 직전에 A330-900NEO를 도입하였다. 이후 PF에 인수된 이후 A330NEO를 승무원 교육 문제로 잠시 방치하면서 A350-900을 PF AIRWAYS로부터 구매하였고[6] 승무원 교육이 끝난 이후 다시 A330NEO이 사용 기재로 복귀하였다.

화물기는 B737-400F기종만 보유 중이다. 알파카항공 시절부터 사용해 오던 여객기를 개조하여 사용 중이다. 화물 사업을 적극적으로 할 것은 아닌 것으로 보여 협동체 화물기만 소량 운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현역 기재

등록기호 제작사 기종 비고
YR-PAA 에어버스 A330-900NEO 쿠알라룸푸르 노선 투입
YR-PAB 에어버스 A330-900NEO 홍콩 노선 투입
YR-PAC 에어버스 A330-900NEO 런던 노선 투입
YR-PAD 에어버스 A330-900NEO
YR-PAE 에어버스 A330-900NEO

퇴역 기재

등록기호 제작사 기종 비고
YR-APA 보잉 B737-300 노후화로 퇴역
YR-APB 보잉 B737-300 노후화로 퇴역
YR-APC 보잉 B737-300 노후화로 퇴역
YR-APD 보잉 B737-300 노후화로 퇴역
YR-ARM 보잉 B737-400 노후화로 퇴역
YR-ARN 보잉 B737-400 노후화로 퇴역
YR-OOZ 보잉 B737-800 PF 인수 직후 기종 정리 명분으로 처분
YR-OZA 에어버스 A321-200 경영 안정화 이후 매각
YR-OZB 에어버스 A321-200 경영 안정화 이후 매각
YR-OZC 에어버스 A321-200 경영 안정화 이후 매각

운항 노선

정기 노선

유럽 노선

루마니아 왕국 국기.png부쿠레슈티 발

도착도시 공항 취급 기종 편명
영국 국기.svg영국 에버딘 에버딘국제공항 여객, 화물[7] A321NEO PAF800/PAF801[8], PP800/PP801[9]
영국 국기.svg영국 런던 런던 히스로 공항 여객, 화물[7] A330NEO PAF802/PAF803[8], PP802/PP803[9]
영국 국기.svg영국 런던 런던 히스로 공항 화물 B737-400F PAF804/PAF805[8], PP804/PP805[9]
프랑스 제4제국 국기.svg프랑스 파리 파리 샤를 드 골 국제공항 여객, 화물[7] A321NEO PAF700/PAF701[8], PP700/PP701[9]
스페인 국기.png스페인 마드리드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 여객, 화물[7] A321NEO PAF500/PAF501[8], PP500/PP501[9]
스페인 국기.png스페인 바르셀로나 바르셀로나 엘프라트 국제공항 여객, 화물[7] A321NEO PAF502/PAF503[8], PP502/PP503[9]
State Ensign of Italy.svg이탈리아 로마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여객 B737-9MAX PAF550/PAF551[8], PP550/PP551[9]
State Ensign of Italy.svg이탈리아 로마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화물 B737-400F PAF552/PAF553[8], PP552/PP553[9]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자그레브 프라뇨 투지만 국제공항 여객 B737-9MAX PAF880/PAF881[8], PP880/PP881[9]

동북아시아 노선

루마니아 왕국 국기.png부쿠레슈티 발

도착도시 공항 취급 기종 편명
태극기.png대한국 서울/인천 인천국제공항 여객, 화물[7] A350-900 PAF0010/PAF0011[8], PP0010/PP0011[9]
홍콩 국기.png홍콩 홍콩국제공항[10] 여객, 화물[7] A330-900NEO PAF0006/PAF0007[8], PP0006/PP0007[9]

동남아시아 노선

루마니아 왕국 국기.png부쿠레슈티 발

도착도시 공항 취급 기종 편명
싱가포르국기.jpeg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창이국제공항 여객, 화물[7] A350-900 PAF0062/PAF0063[8], PP0062/PP0063[9]
싱가포르국기.jpeg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쿠알라룸프르 국제공항 여객, 화물[7] A330-900NEO PAF0060/PAF0061[8], PP0060/PP0061[9]

아시아 노선

루마니아 왕국 국기.png부쿠레슈티 발

도착도시 공항 취급 기종 편명
아프가니스탄 국기.png아프가니스탄 카불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 여객 B737-9MAX PAF1000/PAF1001[8], PP1000/PP1001[9]

오세아니아 노선

아프리카 노선

부정기 노선

동북아시아 노선

동남아시아 노선

아시아 노선

오세아니아 노선

아프리카 노선

  1. 현재는 루마니아에서 철수하였다.
  2. 모회사인 PF AIRWAYS는 902를 쓴다.
  3. 광동체 항공기인 A330-900NEO와 A350-900기종에서만 가능하다.
  4. 선택할 수 있는 종류가 몇 없다.
  5. PF계열 항공사 중에서는 최초의 보잉제 여객협동체이다.
  6. 사실상 받아온 것이다.
  7. 7.0 7.1 7.2 7.3 7.4 7.5 7.6 7.7 7.8 밸리카고
  8. 8.00 8.01 8.02 8.03 8.04 8.05 8.06 8.07 8.08 8.09 8.10 8.11 8.12 8.13 ICAO 코드
  9. 9.00 9.01 9.02 9.03 9.04 9.05 9.06 9.07 9.08 9.09 9.10 9.11 9.12 9.13 IATA 코드
  10. 첵랍콕 국제공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