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모세가 야훼로부터 받은 10가지 계율이기에 '십계명'으로 불린다. 기독교에서는 이 십계명을 위반한 여부를 가지고 대죄이냐 소죄이냐를 판별하기도 한다. 또한, 아브라함이나 야곱 등이 살았던 족장시대에 야훼의 말씀을 기록한 성문화된 경전은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에녹이 에녹서를 썼다고 하나 이는 외경으로 취급받는다.] 십계명은 '말씀'을 담은 최초의 기록이라 할 수 있다.
원래 모세가 40일 동안 시내 산에 있으면서 깨끗한 석판에 하느님의 말씀을 적어서, 기쁘게 들고 산에서 내려왔다. 그런데 내려와 보니 자기 형 아론과 백성들이 금송아지 우상을 만들어 숭배하고 있는 모습이 눈에 들어와서 화가 난 모세는 석판을 던져서 깨버렸다. 이후 모세가 자기 형 아론에게 왜 이런 상황이 발생했냐고 따지니 아론은 할 말이 궁색해서 사람들이 인도할 신을 만들어 달라고 조르길래, 금을 가진 사람들에게 청해 금을 모아서 불에 던졌더니 금송아지가 나오더라고 씨알도 안 먹힐 변명을 했다. 이에 제대로 열받은 모세와 레위인[ 레위 지파가 제사장 지파가 된 이유를 이 일에서 찾는 경우가 있다.]들은 우상을 숭배한 3,000명 가량의 사람들을 숙청해 버린다. 그 후에 모세가 시나이 산에 올라가서 다시 받았다고 한다.
종교적 관점을 제하고 봐도 모세의 행동은 충분히 정당성이 있다. 기껏 고생하면서 하느님의 말씀(=타락하지 않기 위한 행동지침)을 곰곰이 생각하며 새겼건만, 그 사이를 참지 못한 백성들이 그새 금송아지를 만들어서 우상 숭배를 하고 있으니 화가 머리 끝까지 치미는 것도 이상한 일은 아니다. 실제 성서에서는 단순히 석판을 깨고 군사를 모아 우상 숭배자들을 몰살했다는 기록만 남아있지만, 영화 십계에선 한 술 더 떠, 십계명이 적힌 석판을 금송아지에 집어 던지자 금송아지 주변에 있던 땅이 갈라지는 것으로 묘사했다.
원래 성경에 나오는 내용이지만 개신교의 경우 성경을 출판할 때에 따로 발췌하여 부록으로 수록하는 경우가 많으며, 가톨릭 성경에는 부록으로 발췌하진 않고 대신 기도서에 들어있다.[ 이는 기도서의 유무에서 비롯된 차이인데, 가톨릭은 개신교보다 정형화된 기도문이 많기에 따로 기도서를 발행하고 십계명도 여기에 적은 것이다. 즉 개신교 입장에서는 정형화된 기도문이라고 해봐야 어차피 주기도문, 사도신경 정도가 전부이기에, 성경의 부록으로 합쳐서 휴대성을 극대화한것.] 원래 성경 겉표지 안쪽에 십계명을 넣은 이유 자체가 예배 때 외우라고 있는 것이고, 실제로 미국, 영국, 네덜란드 등의 보수적인 장로교나 개혁 교회에서는 오전 예배 시작 때 이것을 낭독하며, 흔히 생각하는 사도신경은 저녁 예배 때 낭독한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예배 순서에서 십계명을 외우는 개신교는 사실 별로 없다.
가톨릭에서도 가톨릭 기도서 내 주요 기도문으로 십계명이 실려 있다.
타 종교에서 비슷한 개념을 들자면, 불교에서 재가인(평신도)이 지켜야 할 규정인 오계가 있을 것이다. 음주를 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것도 평신도에게는 완화되어 술에 취하지 마라고 해석하는 사람들도 있다. 물론 승려들은 술 마시지 마라고 해석한다.] 오계의 내용은 십계명에서도 비슷한 규정을 찾을 수 있다. 오계 이외에도 팔계, 십계 등도 불교에 있으나 너무 빡세서 잘 안 쓰인다.
원문
성경에서 모세의 십계명에 대한 직접적 서술을 한 곳은 출애굽기(탈출기)와 신명기다. 밑의 내용은 출애굽기(탈출기)에 나오는 모세의 십계명에 대한 구절이다.
1 | 이 모든 말씀은 하느님께서 하신 말씀이다 |
2 | "너희 하느님은 나 야훼다. 바로 내가 너희를 이집트 땅 종살이하던 집에서 이끌어낸 하느님이다. |
3 | 너희는 내 앞에서 다른 신을 모시지 못한다. |
4 | 너희는 위로 하늘에 있는 것이나 아래로 땅 위에 있는 것이나, 땅 아래 물 속에 있는 어떤 것이든지 그 모양을 본떠 새긴 우상을 섬기지 못한다. |
5 | 그 앞에 절하며 섬기지 못한다. 나 야훼 너희의 하느님은 질투하는 신이다. 나를 싫어하는 자에게는 아비의 죄를 그 후손 삼 대에까지 갚는다.[ 북이스라엘 왕국에서 자꾸만 왕가가 망하는 것 역시도 우상을 섬겨서(여로보암, 바아사, 예후), 아예 이방신을 섬겨서(아합) 등의 일을 저질러 야훼가 저 꼬라지를 보고 빡쳐서 예언자를 시켜 "너 망할거야" 라고 말하고 진짜 망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개중에는 예후처럼 아예 "니가 저놈들 다 죽여 버리고 니가 왕 해라 그럼 니 다음으로 4대까지 보장해주마" 같이 노골적으로 개입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이것도 조금은 기준이 달라서 유다 왕국은 그래도 다윗에게 한 약속 때문에 자주자주 벌을 주지만 므나쎄 전까지는 나라는 안 망하게 해줬고 빡치게 해도 예를 들어 이방신을 들여왔다고 미치도록 까이는 아합도 나봇의 포도원을 뺴앗았다가 예언자 엘리야가 "니 하는 꼴 보니 니 대에 가문 망함" 이라고 한 것에 싹싹 빌며 사과하자 "좀 봐 줄게 니 다음 대에 망한다." 라고 바꾸었고 므나쎄도 이쪽도 이방신을 들였다고 므나쎄 대에 망할 뻔 했지만 일단 안 망하고 다음 대인 요시야가 조상들의 죄를 뉘우치고 평생동안 열심히 야훼를 섬기자 봐 줘서 요시야 대에는 망하게 하지 않았다고 기술한다. 아무리 요시야가 잘 섬겨도 망할 수 밖에 없던건 워낙 므나쎄가 죄를 많이 저질렀기 때문이라고 기술한다.][ 열왕기에서는 왜 안 망했는지 나오지 않고 역대기에서 중도에 회개하였기 때문이라는 식으로 기술된다. 다만 열왕기에서도 무려 44년이나 재위했다고 언급하여 간접적으로 므나쎄가 죄는 저질렀어도 야훼의 보살핌을 받았다고 언급한다.] |
6 | 그러나 나를 사랑하여 나의 명령을 지키는 사람에게는 그 후손 수천 대에 이르기까지 한결같은 사랑을 베푼다.[ 다윗이 야훼를 잘 섬겨 솔로몬 사후에도 나라가 반쪽으로 갈리긴 했어도 왕관은 지켰고 치드키야에 이르기까지 오래도록 왕위를 지켰다고 기술된다. 물론 그 와중에도 제대로 안 믿는 왕도 있었지만 안 믿는 왕과 믿는 왕이 번갈아 나타나서 어느 정도 유지는 되었다. 물론 므나쎄때는...] |
7 | 너희는 너희 하느님의 이름 야훼를 함부로 부르지 못한다. 야훼는 자기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는 자를 죄 없다고 하지 않는다. |
8 |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하게 지켜라. |
9 | 엿새 동안 힘써 네 모든 생업에 종사하고 |
10 | 이렛날은 너희 하느님 야훼 앞에서 쉬어라. 그 날 너희는 어떤 생업에도 종사하지 못한다. 너희와 너희 아들 딸, 남종 여종뿐 아니라 가축이나 집 안에 머무는 식객이라도 일을 하지 못한다. |
11 | 야훼께서 엿새 동안 하늘과 땅과 바다와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만드시고, 이레째 되는 날 쉬셨기 때문이다. 그래서 야훼께서 안식일에 복을 내리시고 거룩한 날로 삼으신 것이다. |
12 | 너희는 부모를 공경하여라. 그래야 너희는 너희 하느님 야훼께서 주신 땅에서 오래 살 것이다. |
13 | 살인하지 못한다. |
14 | 간음하지 못한다. |
15 | 도둑질하지 못한다. |
16 | 이웃에게 불리한 거짓 증언을 못한다. |
17 | 네 이웃의 집을 탐내지 못한다. 네 이웃의 아내나 남종이나 여종이나 소나 나귀 할 것 없이 네 이웃의 소유는 무엇이든지 탐내지 못한다."[ 아합이 혼쭐난 이유가 이것과도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아합은 궁 근처에 나봇이라는 사람이 소유한 포도원을 탐냈다. 그런데 닥치고 뺏기는 찝찝했던지 나봇에서 값을 잘 쳐 줄테니 팔라고 했으나 그 당시에 이스라엘 사람에게 땅이란 하느님이 내려주신 것이기에 함부로 사고팔 수 없다고 여겨서 나봇이 거절하자 포도원은 탐나는데 먹지를 못해 끙끙대자 아내 이세벨이 그걸 알고는 나봇을 모함하여 죽이고 포도원은 빼앗아 남편에게 주었다. 어찌되었든 나봇의 포도원을 먹은 아합이 희희낙락하며 포도원에 가보니 예언자 엘리야가 빡쳐서 아합에게 니 대에 가문이 망할 거라고 예언을 내린다. 물론 아합이 아차 싶어 싹싹 빌어 그나마 아합의 대에 망하게 되지는 않았다고 하지만 예언대로 아합의 가문은 아합의 아들 대에 폭삭 망하며 심지어 예언대로 아주 비참하게 멸망한다.][ 이세벨도 성경에서 아주 제대로 까이는 사람인데 아예 이방인에 이방신인 바알을 믿으며 남편에게서 종교 문제를 일임받아 이스라엘에서 믿는 야훼 신앙을 탄압하는지라 까이는 정도가 아합보다 더하다.] |
(출애굽기 20장 1~17절, 공동 번역 성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