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대일로는 중국이 진행하는 거대한 다자적 협력 프로젝트를 일컽는 단어로 영어로는 OBOR 또는 BRI라고 불린다. 중국은‘일대일로’ 공동건설 방안은 중국에서 제안했지만, 그 기회와 성과는 각국에 미치고 전 세계에 혜택을 가져오며. 지금까지 중국과 ‘일대일로’ 협력을 체결한 파트너 국가가 140국에 달하고‘일대일로’ 협력 파트너와의 무역액이 누계 9조 2천억 달러가 넘는다고 주장한다. ‘일대일로’는 이미 전 세계에서 가장 광범위하고, 가장 규모가 큰 국제협력플랫폼으로 간주되고 있다.
중국판 마샬플랜 일대일로는 중국 주도의 ‘신 실크로드 전략’으로 2013년 시진핑이 제안했다. 2049년까지 35년간 고대 동서양의 교통로인 현대판 실크로드를 다시 구축해 중국과 주변 국가의 경제·무역을 협력한다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일대’는 육지 기반의 실크로드 경제벨트 계획이고 ‘일로’는 해상기반의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계획이다
미국과 서방세계의 견제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10월 26일 “중국이 유라시아 국가의 일부 정치인들을 뇌물로 매수하려 한다. 이는 미국의 정치적 이익과 상충하는 것”이라고 발언했는데 중국의 패권 체제를 추구하는 일대일로 정책이 미국의 이익에 반하는 것이라는 입장이 명확히 담겨있다.
일대일로의 장점
일대일로의 단점/비판점
- 중국기업들의 행태: 중국기업들이 책임있는 행동을 하지 않고, 중국측의 감독이 철저하지 않다는 비판은 일대일로 시작 직후부터 꾸준히 나오고 있다. 이는 현지의 반중감정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전통적으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중국에 대한 경계심이 매우 높다. 중국 기업들이 후안무치한 일을 일삼고 있기 때문이다. 키르키즈스탄을 포함해 중앙아시아에는 중국이 운영하는 광산이 많다. 야적장에서 어마어마한 먼지가 나오는데 중금속 물질이어서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또 광산 개발을 한다면서 여러 곳을 뚫어 놓고도 나중에 철거나 해체 작업을 하지 않고 그냥 두고 가버린다. 이렇게 광산을 운영하는 중국 기업이 널려 있다. 외국에서 일반적으로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되는 일들을 중국은 그대로 방치하고 진행하고 있는 셈이다.
마셜플랜과의 비교
중국을 위기로 몰고 간 중국의 ‘일대일로’와 미국의 ‘마샬플랜’은 어떻게 다를까. 미국의 마샬플랜은 제2차 세계대전 후 서유럽 나라의 재건과 공산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한 대외원조 계획이다.
마샬플랜에 의한 14개 유럽 국가들은 당시 미국으로부터 돈을 빌려 자신들의 노동력과 기술로 전후 복구 사업을 벌였다. 하지만 일대일로 참여국에는 중국의 기술과 노동력이 투입되기 때문에 당사국의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차관이율도 미국은 저리였지만 중국은 꽤 높은 금리를 받고 있다며, 몰디브의 경우 중국 빚이 GDP의 3분의 2에 달하며 연 12%의 매우 높은 금리에 허덕이고 있다고 밝혔다. 몰디브가 부채 상환을 못하자 중국은 금리를 12%로 인상했고 이는 IMF 이자율보다 더 높다고 덧붙였다.
실패 사례
성공 사례
- 2021년 6월 25일, 중국 국가전력망에서 공사한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 첫 전력사업, 파키스탄 머티어리-라호르 플러스마이너스 660㎸ 직류송전사업이 마무리되어 운영에 들어갔다. 이는 파키스탄 남쪽지역 전력을 북쪽으로 보내는 첫 직류송전로이며, 라호르와 파키스탄 북부 지역의 약 1000만 가구의 전력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고 한다. 이 머티어리-라호르 직류송전사업은 양국 경제회랑이 파키스탄 민생개선과 경제발전을 촉진한 또 하나의 사례로, 이 사업은 파키스탄 민중들이 안정적이고 양질의 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돕고, 파키스탄 남쪽 지역 전력을 북쪽으로 보내는 문제를 해결함으로 전력 구도를 최적화해 의미가 크다
-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은 ‘일대일로’의 중요한 선행 시범사업으로 시작된 이후, 에너지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중대한 진전을 거듭해, 파키스탄 경제사회의 더 빠른 발전을 적극 추진했을 뿐 아니라 지역 상호연계에도 긍정적 촉진 역할을 발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