العربية | |
아랍어 | |
주요사용국 |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시리아, 요르단등 아프리카 이북 지역들도 이슬람권의 영향을 많이 받아 아랍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이집트, 수단, 튀니지, 리비아, 알제리, 모로코, 등이 있다. |
원어민 | 약 3억 5,000만 명 |
어족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군 중부셈어 남서셈어 아랍어 |
문자 | 아랍 문자 |
언어 코드 | |
ISO-639-1 | AR |
ISO-639-2 | ARA |
주요 사용 지역 | |
북아프리카(이집트, 알제리, 모로코), 중동(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예멘), 동아프리카(에리트레아, 소말리아) |
개요
아랍어는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를 비롯한 중동 지역에서 주로 쓰이는 언어로,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에 속한다. 형태론적으론 어근을 바탕으로 접사들을 끼워넣어 단어와 문장을 만드는 굴절어에 속한다.
모어 화자 수는 만다린(표준중국어), 영어, 스페인어, 힌디어 다음으로 많은 세계 5위이다. 다만 실제로는 아랍어 화자들의 모어는 암미야(아랍어 방언)이고 푸스하(현대 표준 아랍어)는 제2언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