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펼치기 · 접기 ]
|
| |||||||||
[ 펼치기 · 접기 ] |
![]() 뤼베크 왕국 국왕 |
[ 펼치기 · 접기 ] |
뤼베크 자유 한자 왕국 왕실 홀슈타인뤼베크 가문 Haus von Holstein-Lübeck | |
---|---|
국가 | ![]() |
작위 | ![]() ![]() ![]() ![]() ![]() ![]() ![]() ![]() ![]() ![]() ![]() ![]() ![]() ![]() ![]() |
![]() ![]() ![]() | |
창립일 | 2024년 4월 2일 (+473일, 1주년) |
13~14세기 (설정) | |
창립자 | 제이 로렌츠 폰 홀슈타인뤼베크 |
現 수장 | 제이 로렌츠 폰 홀슈타인뤼베크 |
역사 | • 2024년 4월 2일 뤼베크 공국 건국, 홀슈타인뤼베크 공가 설립 • 2024년 8월 29일 뤼베크 왕국 선포, 홀슈타인뤼베크 왕가로 격상 |
Copyright © Сифрик |
개요
2024년 4월 2일 제이에 의해 설립된 뤼베크 왕국의 왕가이다.
역사

상징

가문명
가문의 이름인 홀슈타인뤼베크(Holstein-Lübeck)는 홀슈타인뤼베크 왕가가 지배하는 지역인 뤼베크와 뤼베크가 위치한 지역인 홀슈타인의 이름을 합친 이름이다.
설정

구성원
공식
공식적으로 뤼베크 왕국 왕실 소속인 인물들이다.
• ![]() • ![]() • ![]() • ![]() |
비공식
공식적인 뤼베크 왕국 왕실 소속은 아니지만, 국왕이자 가주인 제이의 가족인 경우 비공식적으로 왕실의 구성원으로 포함된다.
• ![]() • ![]() |
둘러보기
![]() 뤼베크 왕국 국왕 |
[ 펼치기 · 접기 ] |
![]() 뤼베크 왕국 왕후 |
[ 펼치기 · 접기 ] |
| ||||||||||||||||||||||||||||
[ 펼치기 · 접기 ]
|
![]() 스웨덴 국서 |
[ 펼치기 · 접기 ] |
![]() 스웨덴 왕태자 |
[ 펼치기 · 접기 ] |
![]() 로스토크 대공 | ||||||
[ 펼치기 · 접기 ]
|
![]() 비스마르 대공 | |||||
[ 펼치기 · 접기 ]
|
![]() 페마른 대공 | |||||||
[ 펼치기 · 접기 ]
|
![]() 니코시아 대공 | ||||
[ 펼치기 · 접기 ] |
![]() 단치히 대공 | ||||
[ 펼치기 · 접기 ] |
![]() 라체부르크 공 | ||||
[ 펼치기 · 접기 ] |
![]() 바덴도르프 공 | |||||
[ 펼치기 · 접기 ]
|
![]() 달라르나 공 | ||||
[ 펼치기 · 접기 ] |
![]() 오이틴 후작 | |||||
[ 펼치기 · 접기 ]
|
![]() 클레퍼브뤼크 후작 | ||||
[ 펼치기 · 접기 ] |
![]() 엘블라크 변경백 | ||||
[ 펼치기 · 접기 ] |
![]() 트체프 변경백 | ||||
[ 펼치기 · 접기 ] |
![]() 키프로스 왕국 섭정 | ||||
[ 펼치기 · 접기 ] |
각주
- ↑ 제이의 부계정. 현재는 계정 자체가 삭제되었다.
- ↑ 프로콜란드 왕국의 가문 설정상 제이의 아들로, 이에 따라 뤼베크 왕국의 비공식적인 왕태자 지위를 가지고 있다.
- ↑ 이름에 들어간 베른스는 연누의 뤼베크 왕국에서의 작위인 베른스도르프 백작의 베른스를 따온 것이다.
- ↑ 본래 스웨덴 왕국의 국왕 펠리카 1세 브릐젠의 국서로, 당시 스웨덴 왕국의 왕태자였던 제이의 아버지 설정을 가지고 있었으나, 이후 스톡홀름 조약이 체결됨에 따라 스웨덴 왕국의 국서 직위에서 내려오며 더 이상 제이와의 가족관계가 없어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홀슈타인뤼베크 가문의 구성원 지위도 자연스레 소멸되었다.
- ↑ 당시 라체부르크 후작
- ↑ 키프로스 왕국의 여왕인 페도어와 함께 키프로스 왕국을 건국한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