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족은 중국에서 태어났고 중국 국적을 가진 중국인이다."
8년째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조선족 파 모씨는 자신이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가 "중국인이냐? 한국인이냐?"라며 이같이 답했다. 그러면서 "중국인이지만 한민족이냐고 물으면 한민족이라고 대답한다"고 덧붙였다
주한 중국대사관이 "전통문화(한복)는 한반도의 것이며 중국 조선족의 것"이라 표현하면서 한국 고유의 전통 의상인 한복을 중국 55개 소수민족 중 하나의 문화로 치부하면서 비난은 더욱 거세졌다. 한중 갈등의 중심에는 중국 국적자이면서 한민족인 조선족이 있다. 그렇다면 '조선족은 한국인인가, 중국인인가?'라는 물음과 마주하게 된다.
중국의 조선족은 중국인인가?
조선족은 북한을 지지하는가?
중국의 조선족 정책은 첫 단추부터 잘못되었다
페북메모 1
1) 중국 공부를 하다보면 조선족 엘리트 계층에 속한 사람들이 쓴 글이나 논평, 강의록등을 보게 된다. 여기서 볼 수 있는 조선족과 중국 중앙정부의 보이지 않는 마찰과 타협의 역사를 보게 된다.
2) 조선족 엘리트들은 중국 중앙정부와 마찰을 빚지 않으려 한다. 또한 중국 중앙정부 역시도 조선족 자치에 대해 최대한 간섭하지 않는다. 조선족자치구와 중앙정부가 조선족자치구에 한국 영사관 설치나 남북한 국가 원수의 조선족 방문을 극도로 꺼리고 것이 하나의 예일 것이다. 한국 정부가 연변시를 방문해 조선족자치구 지도자들을 예방했다는 기록은 없다. 북한은 제작년에 한번 김정은이 조선족자치주를 방문한게 전부다.
3) 조선족 엘리트들은 한국 정부가 자신들을 끌어안으려는 시도를 매우 불쾌하게 생각한다는 것은 흥미로운 점이다. 중국 조선족은 나름대로 한반도(또는 조선반도)의 고국문화와 다를 뿐만 아니라 중국내 다른 민족 집단과도 엄연하게 구분되는 독특한 역사적 그리고 문화적 전통을 구축해왔고 아울러 중국조선족이라는 새로운 집단적 정체성(collective identity)를 형성해왔다.
한국에서 조선족은 아무리 애써봤자 이류로 남아질수밖에 없는 운명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매우 거칠고 엄한 경쟁사회인 한국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교육, 인맥 그리고 거기서만이 받아들여지는 그들만의 게임의롤을 알아야만 한다는 것을 알았으며. 이러한 것들 중 그 어느것도 중국의 소수민족인 조선족들이 가지고 있는 것은 없다는 것을 조선족 사회가 너무나 잘 알고 있는 듯 하다.
현상황을 쉽게 말하자면 중국 정부가 아쉽지 않게 우대를 해 주고 있고, 한국으로 가봐야 한국에서도 소수민족 취급받으며 천대받을 운명이니 차라리 현상 유지가 낫다는 결론이 조선족 지도부내에서 있는듯 하다.
4) 한국에 대한 정치적 경계와 견제와 별개로, 조선족은 조선노동당에 대한 언급을 극단적으로 꺼린다. 1980년대 이전의 조선족 자치구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는, 특히 지금의 내 환경에서는 더이상 진행되기 힘들지만, 확실한 자료로서, 증언 확보된 것은 1970년대 중반 시기에 조선노동당을 지지하는 세력과 중국공산당을 지지하는 세력이 첨예하게 대립하였으며, 동북공정의 원인에 대해서 한국의 민족주의보다도, 이 조선노동당을 지지하는 세력에 대해서 극단적인 경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5) 모범적인 소수민족이라고 중국내에서 우대받는 것과 별개로, 중국 중앙정부가 진행하는 동북공정과 한족 이주 정책에 민간 위주로 적극적으로 반항하고 있고, 그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한국 문화를 이용하고 있다. 최근 조선족 미디어가 적극적으로 한국화하는 이유도 어느정도 조선족 자치구의 위기감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조선족 사회가 한국 문화를 받아들이긴 하지만 중국의 경제발전과 동화정책, 변화속에서 무너지는 소수민족을 지키는 수단으로서의 한국문화 진흥을 진행하는 편이다. 변수는 중국의 경제 발전으로, 조선족 사회가 한국에 대한 경계를 하고 있으며, 조선족이 한국에 오는 것은 허가되지만 역은 극단적으로 힘들다는 점이 문제다. 한국인이 중국에 살면 그 사람은 재중동포가 되지 조선족이 되지 않는다.
조선족의 딜레마는 이 곳에 있다. 조선족은 역사과정중에서 남북한과 단절되었고, 북한과의 연대를 유지하는 조총련과 달리 1970년대에 북한과 첨예한 갈등을 형성하며, 그 와중에 중국공산당의 전폭적인 지원아래 남북한과 괴리된 자신만의 집단정체성을 1980-1990년대 즈음에 확실하게 형성하였으며 조선족 사회에 자부심을 가지고 조선족의 정치체계에 만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집단정체성의 형성은 한국에서의 차별을 초래하였으며 그리고 조선족 사회의 박탈감을 가져왔다고 본다. 조선족은 선택에 기로에 놓여있는 것이다. 중국인의 조선족으로 남아 현 상태를 유지할 것인가, 아니면 조선족이 재중동포로서 정체성을 새로 확립할 것인가에 기로에 있다고 본다.